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 소개 Introducing the Course

    수업내용/목표 Course Objectives

    1. 디아스포라(diaspora)의 개념과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meaning of 'diaspora'.
    2. 한국 역사 속에서 디아스포라의 사례를 탐색하고, 그 보편·특수성을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can explore the cases of diaspora in Korean history, and explain its universality or/and specificity.
    3. 디아스포라 학습을 기반으로, 현대 이주민 사회·집단의 차별문제와 그 해결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Based on studies of diaspora, students may seek solution for discrimination issues on migrated society and groups in contemporary times.

    홍보/예시 영상 Promotional Video

    강좌 운영 계획 Course Plan

     

     

    주차
    Week

    주차명
    Weekly Title

    차시
    Session

    차시명
    Session Title

    1

    코리안 디아스포라 입문
    Introduction to the Korean Diaspora

    1-1

    (도입)무엇으로부터 시작할 것인가?
    (Introduction) 'Where shall we start?'

    1-2

    첫 번째 키워드-차이나타운
    The First Keyword : 'Chinatown'

    1-3

    디아스포라의 개념과 디아스포라 민족
    The Definition of Diaspora and Their Group

    1-4

    한국의 중국인 디아스포라-역사적 접근
    The Chinese Diaspora of Korea - A Historical Approach

    1-5

    세 번째 키워드-다문화와 외국인노동자
    The Second and Third Keywords : Multi-culture and Foreign Workers

    1-6

    (소결)다시 디아스포라
    (Conclusion) Diaspora Again

    2

    중국대륙에서 활동한 한국 고대의 디아스포라
    Korean Diaspora in China in Ancient History

    2-1

    (도입)한국 고대사 속의 디아스포라
    (Introduction) Diaspora in Korean Ancient History

    2-2

    고구려 백제 유민의 중국 이주와 삶
    The Migration and Life of Koguryŏ and Paekche Migrants

    2-3

    고구려 백제 유민의 정체성과 중국 민족 정책
    The Identity of Paekche and Koguryŏ Migrants and China's National Policy

    2-4

    재당신라인 사회와 장보고
    Silla Society in Tang and Chang Bo-go

    2-5

    발해 유민의 동향과 정체성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Parhae Migrants

    2-6

    (소결)고대 중국의 한인 디아스포라의 역사와 정체성
    (Conclusion) History and Identity of Korean Diaspora in Ancient China

    3

    고려-조선을향한 귀화인의 역사
    The History of Naturalized Citizens of Koryŏ-Chosŏn

    3-1

    (도입)고려조선과중국의 인적 교류

    3-2

    귀화인이 고려 성립에 끼친 영향

    3-3

    고려-원관계 성립과 케링구공녀

    3-4

    조선 향화인에 대한 대우

    3-5

    향화인의 사례-청해이씨와 전주 주씨

    3-6

    (소결)고려조선과중국의 인적 교류에 대한 의미

    4

    전근대 일본열도 속의 코리안디아스포라

    4-1

    (도입)근대 이전 한반도인의 도일 추이

    4-2

    고대 한반도 정세와 도왜인

    4-3

    신찬성씨록에 보이는 한반도계 씨족

    4-4

    9세기일본 속 신라인 디아스포라

    4-5

    임진왜란 피로인과 그 후손들의 삶

    4-6

    (소결)전근대 코리안디아스포라와 열도사회의 다이버시티

    5

    일본 한인 디아스포라

    5-1

    (도입)제국일본과 재일 한인의 형성

    5-2

    식민지 조선인의 일본도항과 재일 한인의 형성

    5-3

    해방 이후 재일 한인 사회의 형성

    5-4

    해방의 순간 : 귀환과 잔류 사이의 선택

    5-5

    재일 한인 차별과 헤이트스피치

    5=6

    (소결)재일 한인의 현재와 디아스포라

    6

    중국 한인 디아스포라

    6-1

    (도입)재중 한인의 역사적 배경

    6-2

    조선농민 이주와 독립운동 기지 건설

    6-3

    만주사변과 조선인 집단이주

    6-4

    한반도 분단과 조선족의 탄생

    6-5

    중국의 개혁개방과 노동이주의 시대

    6-6

    (소결)재중 한인과 현대 한국인의 일상

    7

    러시아 한인 디아스포라

    7-1

    (도입)러시아 한인디아스포라와 고려인

    7-2

    초기 고려인사회의 형성과 독립운동

    7-3

    연해주 한인 디아스포라의 다이내믹 1

    7-4

    연해주 한인 디아스포라의 다이내믹 2

    7-5

    강제이주와 중앙아시아 고려인 사회

    7-6

    (소결)소련 해체 이후 고려인의 현재

    8

    미국 한인 디아스포라

    8-1

    (도입)로스엔젤레스 폭동 30주년을맞으며

    8-2

    재미 한인 초기 이주사

    8-3

    이민법개정과 재미한인사회의 성장

    8-4

    재미한인사회 현황과 특징

    8-5

    미국의 코리아타운:로스엔젤레스,뉴욕

    8-6

    (소결)재미한인사회의 다원화

    9

    독일 한인 디아스포라

    9-1

    (도입)60~70년대한독 경제 상황

    9-2

    간호인력 모집과 송출

    9-3

    한인의 독일 광산 취업과 이주

    9-4

    재독한인의 체류권 투쟁

    9-5

    광주항쟁과 재독한인사회의 민주화 지원

    9-6

    (소결)독일사회의 일원,한인 커뮤니티

    10

    국제 입양 한인 디아스포라

    10-1

    (도입)해외입양인 숫자의 변화

    10-2

    아동 수출국의 민낯 : 전쟁고아와 혼혈아

    10-3

    해외입양의 작동방식과 담당 기관

    10-4

    해외입양인의 정체성

    10-5

    해외입양인의 뿌리찾기 운동

    10-6

    (소결)해외입양인과의 관계

    강좌운영팀 소개 Introducing Course Management Team

    교수자 Instructor

    윤상원 professor
    윤상원 교수 Prof. Yun Sang-won
    전북대학교 사학과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Dept. of History, Jeonbuk National University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문학박사 PhD in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사학과 석사 MA in History,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문학사 BA in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이동훈 professor
    이동훈 교수 Prof. Lee Dong Hoon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Research Professor, Center for Korean History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문학박사 PhD in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북경대학교 역사학과 역사학석사 MA in History, Beijing University
    고려대학교 동양사학과 문학사 BA in Oriental History, Korea University
    임형수 professor
    임형수 교수 Prof. Lim Hyung-soo
    충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Professor, Dept. of Histo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고려대학교 문학 박사 PhD,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문학 석사 MA, Korea University
    충북대학교 문 학사 BA,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정순일 professor
    정순일 교수 Prof. Chong Soonil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Professor, Dept. of History Education, Korea University

    와세다대학교 아시아지역문화학(일본사) 박사 PhD at Graduate School of Letters, Arts and Science (Japanese History), Waseda University
    고려대학교 동양사(일본사) 석사 MA in Oriental History (Japanese History),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역사교육 학사 BA in History Education, Korea University
    이영호 professor
    이영호 교수 Prof. Lee Young Ho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전문연구원 Researcher,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Dongguk University

    고려대학교 문학 박사 PhD,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문학 석사 MA,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문학 학사 BA, Korea University
    김주용 professor
    김주용 교수 Prof. Kim Joo Yong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Korean Chinese Relations Institute, Wonkwang University

    동국대학교 역사학 박사 PhD in History, Dongguk University
    동국대학교 역사교육학 석사 MA in History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동국대학교 역사학 학사 BA in History, Dongguk University
    배진숙 professor
    배진숙 교수 Prof. Bae Jin Suk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 HK Research Professor, Academy of Mobility Humanities, Konkuk University

    미국 브라운대학교 미국학과 박사 PhD in American Studies, Brown University
    미국 브라운대학교 미국학과 석사 MA in American Studies, Brown University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지역학과 석사 MA in Regional Studies, GSIS, Yonsei University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과 학사 BA in English,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나혜심 professor
    나혜심 교수 Prof. Na Hye-Sim
    고려대학교 독일어권문화연구원 연구원 Researcher, German Studies Institute, Korea University

    독일 지겐대학교 사학과 역사학박사 PhD in History, Universität Siegen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문학석사 MA in History, Sung Kyun Kwan University
    성균관대학교 역사교육학과 문학사 BA in History Education, Sung Kyun Kwan University
    구영은 professor
    구영은 교수 Prof. Koo Youngeun
    튀빙겐대학교 한국학 박사 PhD in Korean Studies, Universität Tübingen

    튀빙겐대학교 한국학 박사 PhD in Korean Studies, Universität Tübingen
    옥스포드대학교 이민연구학 석사 MA in Migration Studies, Oxford University
    고려대학교 역사교육학 학사 BA in History Education, Korea University

    강좌지원팀 Course Support Team

    박건우 Park Geon Woo
    고려대학교 역사학과 석사수료 MA Candidate, Graduate School of History, Korea University
    E-mail: 350charles@korea.ac.kr

    강좌 수강 정보 Course Registration Information

    이수/평가정보 Completion / Assessment Information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Assignment퀴즈 Quiz토론 Discussion중간고사 Midterm기말고사 Final
    반영비율 Ratio35%%%65%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A certificate will be issued to students who achieve a total score of 60% or higher.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Course Level and Requirement(s)

    이 강좌는 유익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This course includes various instructive contents.

    교재 및 참고문헌 Coursebook and Reference(s)

    이 강좌는 여러가지 참고자료가 많이 있습니다. This course includes various references.

    자주 묻는 질문 Frequently Asked Questions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Is there additional coursebook?

    네. 있습니다. Yes, there is.

     

    미리보기

    분야 인문 (인문과학)

    난이도 전공심화

    운영기관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이수증 미발급

    주차 10 주

    학습인정시간 1시간 12분 (12시간 13분)

    수강신청기간 24.04.01 ~ 24.12.01

    강좌운영기간 24.04.01 ~ 24.12.31

    전화번호 -

    자막언어 -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