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 소개

    수업내용/목표

    이 강의는 1987년 민주화 이후 대한민국 국회가전반적으로 어떻게 구성되고 운영되어 왔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강의에서 국회의 구성과 운영은국회의 제도와 제도 안에서 움직이는 정치 행위자의 행태 등 두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한다. 제도와 정치 행위자의행태 사이의 상호작용을 살펴보면서 대한민국 국회의 성장과 한계를 조명한다.

    홍보/예시 영상

    강좌 운영 계획

    주차

    주차명

    (주제)

    주차별 학습 목표

    차시

    차시명

    학습내용

    1

    대한민국 국회 들어가기

    한국의 국회를 이해하기 위한 배경지식으로 독립 이후 한국의 정치사를 권력구조의변천에 초점을 맞추어 간략히 살펴본다.

    1-1

    강의목표

    1-2

    강의주제별 소개

    1-3

    독립과 제1공화국

    1-4

    박정희의 제3공화국

    1-5

    유신체제와 제5공화국

    1-6

    6공화국:87년 체제

    2

    국회의원 선거제도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제도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천되어왔는지, 그리고 현행 국회의원 선거제도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살펴본다.

    2-1

    선거제도란 무엇인가?

    2-2

    선거제도의 유형

    2-3

    한국의 선거제도 변천과정: 제헌국회~16대국회

    2-4

    17대국회~20대국회: 1 2표병립형  

    2-5

    21대국회: 준연동형 선거제도

    2-6

    공직선거법과 국회의원의 선거운동

    3

    의원의 충원

    대한민국에서 국회의원 충원이 어떠한 제도적 절차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지이해한다. 또한 그와 같은 충원의 결과 어떠한 종류의 의원들이 국회를 구성하게 되는지살펴본다.

    3-1

    정치적 충원이란?

    3-2

    대의민주주의에서 정당 공천의 의미

    3-3

    공천제도의 유형: 하향식 vs. 상향식

    3-4

    현행 국회의원 후보자 공천제도

    3-5

    공천방식으로서의여론조사

    3-6

    어떤 의원이 충원되는가?

    4

    국회의 구성과 리더십

    대한민국 국회의 원구성과 쟁점, 교섭단체의 정의와 권한, 국회의장의 리더십 성격에 대해 알아본다.

    4-1

    국회 개원(開院)과원구성

    4-2

    원구성의 쟁점

    4-3

    교섭단체

    4-4

    국회의 리더십 선출    

    4-5

    국회의장의 직무와 권한

    4-6

    국회의장의 리더십: 중립적 vs 당파적

    5

    국회 상임위원회 제도

    국회 상임위원회 중심주의, 유형과 업무, 위원배분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5-1

    상임위원회 중심주의

    5-2

    상임위원회 유형과 소관사항

    5-3

    특별위원회와 소위원회

    5-4

    상임위원회 위원 배정: 이익분배이론

    5-5

    상임위원회 위원 배정: 정보확산이론

    5-6

    상임위원회 위원 배정: 정당이익이론

    6

    국회 입법과정

    법안 발의에서 상임위원회 심사, 본회의 심의절차 등 입법이 이루어지는 구체적 과정을알아본다.

    6-1

    법안의 발의

    6-2

    상임위원회 법안 심사: 일반적 절차

    6-3

    상임위원회 법안 심사: 예외적 절차

    6-4

    본회의 심의절차

    6-5

    본회의 심의의 특징

    6-6

    국회 입법과정의 특징

    7

    국회의 예산 결산 심의과정

    국회의 예산·결산심의가 필요한 이유를 알아보고 어떠한 절차를 거쳐 이루어지는 알아본다.

    7-1

    국회의 예산 결산 심의가 왜 필요한가?

    7-2

    국회의 재정통제권

    7-3

    정부의 예산안 편성 절차

    7-4

    국회 예산심의 과정: 예비심사

    7-5

    국회 예산심의 과정: 예결위의 종합심사

    7-6

    국회 결산심의 과정

    8

    국회의 대행정부 견제기능

    권력의 분립과 권력 간 견제와 균형을 원칙으로 하는 대통령제를 채택한 대한민국에서국회와 행정부 간의 상호견제를 어떻게 제도화하였는지 살펴본다. 또한국회의 대통령이나 행정부에 대한 견제가 어떤 측면에서 한계를지니고 있는지 알아본다.

    8-1

    대통령제의 권력분립과 견제와 균형

    8-2

    입법에 관한 대통령의 권한

    8-3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견제수단

    8-4

    행정부에 대한 국회의 견제수단: 국정감사와 국정조사

    8-5

    행정부에 대한 국회의 견제수단: 대정부 질문

    8-6

    위임입법에 대한 국회의 통제

    9

    국회와 사법부

    삼권분립의 원칙 속에서 사법부와 입법부가 서로를 견제하기 위해 어떠한 제도적수단을 지니고 사용하는지 알아본다.또한 정치의 사법화가 대의민주주의 발전에 있어 어떠한문제점을 지니는지 이해한다.

    9-1

    삼권분립과 사법부의 역할

    9-2

    국회에 대한 사법부의 견제 권한: 위헌법률심판과 헌법소원심판

    9-3

    국회에 대한 사법부의 견제 권한: 권한쟁의심판

    9-4

    사법부에 대한 국회의 견제 권한: 사법부의 구성과 운영

    9-5

    사법부에 대한 국회의 견제 권한: 법관의 탄핵

    9-6

    정치의 사법화

    10

    국회의원 윤리와 정치자금

    국회의원의 윤리적 의무가 어떻게 규정되어 있고, 이를위반하였을 때 어떠한 징계절차가 마련되어 있는지 살펴본다. 또한정치자금의 모금과 지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본다.

    10-1

    의회정치와 의원윤리

    10-2

    국회의원의 의무와 윤리 관련 규정 체계

    10-3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10-4

    국회의원 윤리 위반 사유와 징계 처리 실태

    10-5

    민주주의와 정치자금

    10-6

    한국의 정치자금 모금 및 지출

    강좌운영팀 소개

    교수자

    최준영 professor
    최준영 교수
    · 소속 :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 학력 :
    - 플로리다주립대학교 정치학 박사

    · 연구분야 : 정치학

    강좌지원팀

    손수현 TA
    손수현 TA
    · 소속 :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학력 :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E-mail: k-academy@inha.ac.kr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퀴즈

    토론

    출석

    빈영비율

    40%

    40%

    20%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이 강좌는 유익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재 및 참고문헌

    별도의 참고 교재는 없습니다. 학습자료가 제공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없습니다.

    분야 사회 (사회과학)

    난이도 -

    운영기관 인하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소

    이수증 발급

    주차 10 주

    학습인정시간 32시간 56분 (13시간 50분)

    수강신청기간 24.03.01 ~ 26.02.28

    강좌운영기간 24.03.01 ~ 26.02.28

    전화번호 032-860-8265

    자막언어 영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