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강의실

최근 수강강좌 목록

현재 진행중인 강좌(청강제외)만 출력됩니다.

최근접속순 최대 10개 강좌만 표시됩니다.

K-MOOC
K-MOOC 학점은행제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한국어
  • 한국어
  • ENGLISH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MOOC 01 강좌 개요 및 목표

    강좌 개요문화적 존재로서의 인간은 자신과 주변 세계에 관하여 사유하고, 그 결과를 표현한다. 자신과 주변 세계에 관한 인간의 사유와 표현에는 다양한 시간적 공간적 배경들이 개입한다. 인간을 역사와 문화 속의 존재로 파악할 수 있는 근거가 여기에 있다. 독일을 비롯한 유럽에서 인간을 역사와 문화 속에서 놓고 이해하며, 이것을 인간학적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으려는 시도들이 최근 몇십년간 활발한 흐름을 이루어왔다. 이러한 흐름은 인간에 관한 이해를 내용으로 삼기 때문에, 인간학적 탐구로 부를 수 있다.
    인간에 관한 완벽한 이해를 시도했던 18세기 이후 현대에 접어들면서까지 인간학은 역사, 종교, 문학, 예술 그리고 문화라는 학제적 영역을 포괄하여 새로운 학문 영역을 이루고 있다. 이런 추세를 반영하여, 이 강좌에서는 다양한 문학작품, 철학적 사상, 예술적 표현, 역사적 사실 등을 예로 하여 각각의 역사 시기에 인간의 모습이 어떻게 반영되고 정의되어 왔는지를 살펴본다.
    인간학의 중요 주제들, 다시 말하면, 육체와 정신, 이성과 열정, 불안, 문명과 몸, 멜랑콜리아, 죽음, 존재론적 비극성, 웃음과 눈물, 언어와 침묵, 숭고, 성스러움, 권태와 순간 등의 개념들이 다루어질 것이다. 이를 통해 인간에 관한 이해가 결국은 역사와 문화의 산물임을 밝히며, 인간의 자유로운 삶과 그 설계를 위한 토대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전체 학습목표
    1. 인간에 관한 이해가 역사와 문화 속에서 어떻게 변화하고 달라지는지를 이해한다.
    2. 육체, 이성, 정신, 죽음과 같은 현상들이 역사와 문화 속에서 어떻게 서로 긴밀히 결합되어 담론으로 형성되는지를 이해한다.


    MOOC 02  주차별 강좌 계획

    역사와 문화 속의 인간
    역사와 문화 속의 인간_강의계획서 내용 안내
    주 차강 의 주 제
    1육체와 정신
    학습 목표: 정신과 육체로 이루어진 인간의 모습이 역사와 문화 속에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살펴봄
    1-1. 인간과 몸
    1-2. 역사와 문화 속에 비친 육체와 정신
    1-3. 영화 [숙희]에 나타난 육체와 정신
    1-4. 포스트 모더니즘: 육체의 복귀
    2이성과 열정
    학습 목표: 역사와 문화 속에서 인간의 이성과 열정이 어떻게 이해되고 표현되는지를 살펴봄
      2-1. 이성과 열정: 칸트의 철학과 괴테의 문학
      2-2. 이성과 열정: 세익스피어의 비극
      2-3. 이성과 열정: 고대 비극과 실러의 미학
      2-4. 이성과 열정-영화 [냉정과 열정 사이]
    3불안
    학습 목표: 역사와 문화 속에서 인간의 불안이 어떻게 이해되고 표현되는지를 살펴봄
    3-1. 불안: 뭉크의 [절규]
    3-2. 불안에 대한 철학적 성찰1
    3-3. 불안에 관한 철학적 성찰2
    3-4. 근대와 불안
    3-5. 근대 예술에 나타난 불안
    4문명과 몸
    학습 목표: 인간이 문명의 길을 걸으면서 몸이 어떻게 억압되는지를 살펴봄
    4-1. 문명과 근대
    4-2. 근대의 본질: 벤야민
    4-3. 영화 [모던 타임스]에 나타난 몸
    4-4. 68운동과 몸
    5멜랑콜리아
    학습 목표: 역사와 문화 속에서 멜랑콜리아가 어떻게 이해되고 표현되는지를 살펴봄
    5-1. 멜랑콜리아란 무엇인가
    5-2. 사투르누스와 멜랑콜리아1
    5-3. 사투르누스와 멜랑콜리아2
    5-4. 뒤러의 멜랑콜리아1
    5-5. 근대에서이 멜랑콜리아
    6죽음
    학습 목표: 역사와 문화 속에서 죽음이 어떻게 이해되고 표현되는지를 살펴봄
    6-1. 그림 [마라의 죽음]
    6-2. 죽음이란 무엇인가?
    6-3. 영화 [미치고 싶을 때의 경우]
    6-4. 종교와 철학에서의 죽음
    6-5. 심성사 맥락에서의 죽음
    7존재론적 비극성 - 근대 이전
    학습 목표: 인간은 왜 고통스럽게 사는가의 문제를 역사와 문화 속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봄
    7-1. 존재론적 비극성
    7-2. 고대 비극에 나타난 존재론적 비극성
    8중간고사
    9존재론적 비극성-근대 이후
    학습 목표: 인간은 왜 고통스럽게 사는가의 문제를 역사와 문화 속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봄
    9-1. 근대 예술에 나타난 존재론적 비극성
    9-2. 실존주의 철학과 부조리 문학1
    9-3. 실존주의 철학과 부조리 문학2
    10웃음과 눈물
    학습 목표: 인간학적 요소로서의 웃음과 눈물의 의미를 알아봄
    10-1. 인간학적 요소로서의 웃음과 눈물
    10-2. 철학적 웃음론
    10-3. 예술에 나타난 웃음
    10-4. 예술에 나타난 울음
    11언어와 침묵
    학학습 목표: 언어와 침묵의 관계를 살펴본다
    11-1. 언어와 침묵의 관계
    11-2. 보편논쟁의 경우
    11-3. 말과 사물
    11-4. 언어로서의 침묵
    12숭고
    학습 목표: 숭고의 감정과 인간의 삶의 관계를 알아본다.
    12-1. 숭고란 무엇인가?
    12-2. 숭고와 예술
    13성스러움
    학습 목표: 성스러움의 감정과 인간의 삶의 관계를 알아본다.
    13-1. 성스러움이란 무엇인가?
    13-2. 성스러움과 예술
    14권태와 순간
    학습 목표: 인간의 삶에 미치는 권태의 의미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순간의 활용에 관하여 살펴 본다.
    14-1. 권태란 무엇인가?
    14-2. 근대와 권태
    14-3. 예술에 표현된 권태
    14-4. 권태와 순간
    15기말고사


    MOOC 03  수강대상 및 학습활동

    • 수강대상
      인문학과 문화학의 핵심 주제로 부상한 인간에 관한 이해에 관심을 가진 예비 대학생, 학부생, 대학원생, 일반 대중

    • 수업구성
      13주 강의, 시험 2주

    • 평가기준
      출석(퀴즈) 40%, TEST 60%

    • 이수증 발급
      평가기준 60% 이상 이수한 학습자

    강좌운영진
    • 김길웅 교수

      suleica@sungshin.ac.kr

      현) 성신여자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 하이브리드교육지원센터

      성신여대 하이브리드교육지원센터

      이메일 : kmooc@sungshin.ac.kr
      전화 : (02)920-7863

    기타·문의처
    02-920-7863

    분야 인문 (언어 · 문학)

    난이도 교양

    운영기관 성신여자대학교

    이수증 미발급

    주차 15 주

    학습인정시간 45시간 00분 (12시간 09분)

    수강신청기간 24.02.14 ~ 24.06.10

    강좌운영기간 24.03.04 ~ 24.06.16

    전화번호 02-920-7863

    자막언어 한국어 외 1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