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강의실

최근 수강강좌 목록

현재 진행중인 강좌(청강제외)만 출력됩니다.

최근접속순 최대 10개 강좌만 표시됩니다.

K-MOOC
K-MOOC 학점은행제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현재 진행중인 수강강좌가 없습니다.

수강신청 하러가기 →
한국어
  • 한국어
  • ENGLISH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수업내용 Contents

    한국 외교 역사에서 활약한 대표적인 인물과 이들의 업적을 학습한다. 또한, 이 인물들을 통해 한국 외교의 역사들을 학습한다.
    Students study the representative figures in diplomatic history of Korea and their achievements. Additionally, students can explore diplomatic history of Korea through these historical figures.

    학습목표 Objectives
    • 한국 외교 역사에서 활약한 대표적인 인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will be able to explain the key figures who played significant roles in Korea's diplomatic history.

    • 한국 외교 역사에서 활약한 인물들의 업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will explore the achievements of these historical figures within the context of Korea's diplomatic history.
    • 한국 외교 역사에서 활약한 인물들을 통해 외교의 성패가 역사에 미친 영향을 논할 수 있다.
      Students can discuss the impact of the diplomacy on history through historical figures.

    주차별 학습목표 및 강좌 운영 계획 Weekly Objectives and Course Plan

    1

    김춘추
    Kim Ch'unch'u

    김춘추의 생애와 그가 살았던 당시 신라의 정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
    Students will learn about Kim Ch'unch'u's life and the political situation of Silla at the time when he lived.

    고구려와 일본에 대한 김춘추의 외교 활동을 확인할 수 있다.
    Students will understand Kim Ch'unch'u's diplomatic activities with Koguryŏ and Japan.

    7세기 국제 정세와 김춘추의 대당 외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will discuss the background and the results of Kim Ch'unch'u's dispatches to Koguryŏ and Japan.

    1-1

    이번 시간 수업에서는...
    Introduction

    1-2

    김춘추의 생애와 정치 활동
    Kim Ch'unch'u's Life and Political Activities

    1-3

    김춘추의 대고구려, 대일본 외교 활동
    Kim Ch'unch'u's Diplomatic Activities with Koguryŏ and Japan

    1-4

    김춘추의 대당 외교와 그 성과
    Kim Ch'unch'u's Diplomatic Activities with Tang and the Achievements

    1-5

    수업을 마무리 하며...
    Conclusion

    2

    서희
    Sŏ Hŭi

    고려 태조대 대외 관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foreign relationships of King T'aejo in the early Koryŏ Dynasty.

    10세기 후반 동아시아 국제 정세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다.
    Students can discuss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East Asia in the late 10th century.

    거란의 1차 고려 침략과 서희의 외교 담판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will explore the first Khitan invasion of Koryŏ and Sŏ Hŭi's diplomatic negotiations.

    2-1

    이번 시간 수업에서는...
    Introduction

    2-2

    고려 태조대 대외 관계
    Foreign Relations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

    2-3

    10세기 후반 동아시아 국제 정세와 고려
    International Situation in East Asia and in Koryŏ in the Late 10th Century

    2-4

    고려-거란 전쟁과 서희의 외교 담판
    The War Between Koryŏ and Khitan and Sŏ Hŭi's Diplomatic Negotiations

    2-5

    수업을 마무리 하며...
    Conclusion

    3

    신숙주
    Shin Sukchu

    조선 전기 외교 분야에서 빼어난 활약을 한 신숙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will learn about Shin Sukchu, who played an outstanding role in diplomacy in the early Chosŏn Dynasty

    조선의 외교를 위해 북쪽으로는 중국과 여진, 남쪽으로는 일본까지 오갔던 신숙주의 외교활동의 역동성을 이야기할 수 있다.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Shin Sukchu's diplomatic activities as he traveled to the north to meet the Jurchen in China and to the South to meet Japan.

    자신의 외교 활동을 『해동제국기』라는 책으로 엮어 후대의 외교관들에게 도움을 주려 한 신숙주의 노력을 이야기할 수 있다.
    Students will discuss Shin Sukchu's efforts to help future diplomats by recording his diplomatic activities into a book called Haedongjegukki.

    3-1

    이번 시간 수업에서는...
    Introduction

    3-2

    외교관의 필수 소양, 언어를 위한 노력
    The Efforts to Learn Foreign Languages, an Essential Skill for Diplomats

    3-3

    국경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다
    Shin Sukchu's Activities in the Border Problems

    3-4

    통신사 활동과 해국제국기
    Diplomatic Mission to Japan and the Compilation of Haedongjegukki

    3-5

    수업을 마무리 하며...
    Conclusion

    4

    사명당
    Samyŏngdang

    임진왜란 시기의 의승군과 관군을 비교할 수 있다.
    Students will be able to compare the Righteous Buddhist Army (Ŭisŭnggun) and the Government Army (Kwan-gun) during the Imjin War.

    사명당과 가토 기요마사의 회담 과정을 통해 임진왜란 당시 사명당의 외교활동을 이야기 할 수 있다.
    Students will explore the diplomatic activities of Samyŏngdang during the Imjin War by analyzing the negotiations between Samyŏngdang and Kato Kiyomasa.

    조선과 일본 국교 회복에 앞서 정보 수집을 위해 파견된 사명당의 용기와 평화를 위한 노력을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will be able to explain the courage and peace efforts of Samyŏngdang, who was dispatched to gather information before the restor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osŏn and Japan.

    4-1

    이번 시간 수업에서는...
    Introduction

    4-2

    사명당이 의승군을 일으키다
    Samyŏngdang Raising the Righteous Buddhist Army (Ŭisŭnggun)

    4-3

    일본 장수 가토 기요마사와의 회담
    Meeting Between Samyŏngdang and Kato Kiyomasa

    4-4

    조선과 일본의 국교회복을 위해 바다를 건너다
    Crossing the Sea to Restore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osŏn and Japan

    4-5

    수업을 마무리 하며...
    Conclusion

    5

    최명길
    Ch'oi Myŏnggil

    1600년대 초중반 조선을 둘러싼 동아시아 국제관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will be able to expla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between East Asia and Chosŏn in the early and mid 1600s.

    명과 후금 사이에서 현실적인 외교 전략을 모색한 최명길의 노력을 파악할 수 있다.
    Students can understand Ch'oi Myŏnggil's efforts to find a realistic diplomatic strategy between Ming and Later Jin.

    청과의 전쟁에서 패배한 조선의 국가로서의 생존을 위해 목숨을 걸었던 최명길의 용기와 희생정신을 이해할 수 있다.
    Students will discuss the courage and spirit of sacrifice of Ch'oi Myŏnggil, who risked his life to help survival of Chosŏn, which had lost the war against Qing.

    5-1

    이번 시간 수업에서는...
    Introduction

    5-2

    국왕을 위해 후금과 담판하다
    Negotiating with the Late Jin Dynasty for King Injo

    5-3

    최명길, 찢긴 국서를 붙이다 : 병자호란
    Choi Myŏnggil, Fixing a Ripped Royal Letter

    5-4

    자신의 위치에서 신념을 지킨 외교관
    A Diplomat Who Kept His Faith in His Position

    5-5

    수업을 마무리 하며...
    Conclusion

    6

    김홍집
    Kim Hongjip

    1880년 조선을 둘러싼 대외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정치적 목적에서 고려했던 균세정책에 관해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will study why Kim Hongjip considered a "policy of balance" for the political purpose of overcoming the external crisis surrounding Chosŏn in 1880.

    균세정책 달성을 위해 전략적 관점에서 우선적으로 추진했던 대미수교 과정을 이야기할 수 있다.
    Students will explore strategical promotion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자주적인 무역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고려했던 관세자주권을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will discuss Kim Hongjip's consideration of tariff sovereignty to establish an independent trade policy for economic purposes.

    조선 정부에서 관세자주권에 입각한 관세정책의 수립 과정을 이야기할 수 있다.
    Students will examine the subsequent process of establishing a tariff policy based on tariff sovereignty in the Chosŏn government.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의 체결 내용과 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will explain the 1882 Treaty with the United States and its effectiveness.

     

    6-1

    이번 시간 수업에서는...
    Introduction

    6-2

    조선의 대미수교의 정치적 목적 균세정책 도입
    Introduction of the Balance Policy: the Political Purpose of Chosŏn's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6-3

    조선의 대미수교의 경제적 목적 -관세자주권 확보-
    Securing Autonomy in Customs: the Economic Purpose of Chosŏn's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6-4

    김홍집, 전권부대신으로 조미조약 체결에 참여
    Kim Hongjip Participating in the Signing of the United States–Korea Treaty of 1882

    6-5

    수업을 마무리 하며...
    Conclusion

    7

    헤이그 특사
    Special Envoy to The Hague

    한국이 헤이그 특사를 파견한 이유와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will be able to explain why and how Korea sent Special Envoy to The Hague.

    헤이그 특사의 활동과 그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will explore the activities of Special Envoy to The Hague and its implications.

    헤이그 특사 활동 후 한국이 처한 상황 변화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can examine the changes in Korea's situation after the activities of Special Envoy to The Hague.

    7-1

    이번 시간 수업에서는...
    Introduction

    7-2

    헤이그 특사의 파견 이유와 배경
    The Significance and Background Behind the Dispatch of Special Envoy to The Hague

    7-3

    헤이그 특사의 파견과 활동
    The Dispatch and Activities of Special Envoy to The Hague

    7-4

    헤이그 특사, 그 후
    The Aftermath of Special Envoy to The Hague

    7-5

    수업을 마무리 하며...
    Conclusion

    8

    김규식
    Kim Kyu-sik

    김규식이 파리강화회의와 극동피압박민족대회 참가하면서 독립외교를 실행했던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will be able to explain how Kim Kyu-sik practiced independence diplomacy by participating in the Paris Peace Conference and the Far East Peace Conference.

    1920년대 이후 민족협동전선운동을 전개하면서 주로 중국을 대상으로 한중외교와 국제연대를 추진했던 상황을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Korean-Chinese diplomacy and international solidarity were promoted mainly with China during the national cooperative front movement since the 1920s.

    해방 이후 미소 분할 점령 상태에서 외교에 바탕한 통일민족국가 수립운동을 전개했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can explain the meaning of the movement to establish a unified national state based on diplomacy during the time of the division and occupation by the U.S. after liberation.  

    8-1

    이번 시간 수업에서는...
    Introduction

    8-2

    파리강화회의와 극동 피압박민족대회 참가

    Participation in the Paris Peace Conference in 1919 and in the Far East Peace Congress in 1922

    8-3

    민족협동전선운동과 한중 외교
    The National Cooperative Front Movement and Korea-China Diplomacy

    8-4

    외교에 바탕한 통일민족국가 수립운동
    Movement to Establish a Unified National State Based on Diplomacy

    8-5

    수업을 마무리 하며...
    Conclusion

    9

    조소앙
    Cho So-ang

    학문 수학과 독립운동 참여를 통해서 인류 보편의 사해동포주의를 갖게 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Cho So-ang's concept of human cosmopolitanism through his academic career and his participation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대동단결선언, 대한독립선언서 등을 기초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했던 맥락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참여, 외교 활동의 일환으로 만국사회당대회에 참가했던 상황을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can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based on the Declaration of Unity and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his participation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context of his participation in the Universal Socialist Party Congress as part of his diplomatic activities.  

    1930년대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제적 승인을 위해 중국 내에서 외교 활동을 전개한 것을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can explain diplomatic activities in China for the international approval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since the 1930s.

    9-1

    이번 시간 수업에서는...
    Introduction

    9-2

    일본 유학과 중국에서 독립운동

    Study Abroad in Japan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9-3

    대한민국임시정부 활동과 만국사회당대회 참가
    Activities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and Participation in the 1920 World Socialist Party

    9-4

    대한민국임시정부 승인 외교의 전개
    Development of Approval Diplomacy for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9-5

    수업을 마무리 하며...
    Conclusion

    10

    장면
    Chang Myŏn

    장면(張勉)의 청년기 활동을 통하여 그가 해방 이후 외교관이 될 수 있었던 배경을 이야기할 수 있다.
    Students will be able to discuss how Chang Myŏn became a diplomat after liberation through his youth activities.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한국의 대유엔 외교를 통해 분단 국가의 초기 외교를 비평할 수 있다.
    Students can criticize the early diplomacy after the division through Korea's diplomacy with the United Nation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in 1948.

    대한민국의 초기 외교전략과 6·25전쟁 개전 직후 한국의 대유엔 외교를 설명할 수 있다.
    Students will explain Korea's initial diplomatic strategy and Korea's diplomacy with the United Nations right after the outbreak of Korean War.

    10-1

    이번 시간 수업에서는...
    Introduction

    10-2

    미국 유학을 다녀온 종교계 교육자, 장면
    Chang Myŏn a Religious Educator Studied in the United States

    10-3

    194812, 유엔 제3차 총회의 한국 인정 외교

    Korea's Diplomacy of Acknowledgment at the Third General Meeting of the United Nations in December 1948

    10-4

    정부 수립 초기 한미관계와 초대 주미대사 장면
    Korea-U.S. Relations and Chang Myŏn as the First Ambassador to the U.S. in the Early Days of the Government's Establishment

    10-5

    수업을 마무리 하며...
    Conclusion


    이수/평가정보 Completion / Assessment Information
    과제명
    Assignment
    퀴즈
    Quiz
    토론
    Discussion
    중간고사
    Midterm
    기말고사
    Final
    반영비율
    Ratio
    50%%%50%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A certificate will be issued to students who achieve a total score of 60% or higher.


    강좌운영진
    • 교수자 Instructor

      김선미(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Kim Seon-Mi (Curator, National Museum of Korea)

    • 교수자 Instructor

      김경태(전남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Kim Kyong Tae (Professor, Department of History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교수자 Instructor

      한승훈(부산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Han Seunghoon (Professor, Department of History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교수자 Instructor

      양진아(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사)
      Yang, Jin-Ah (Lecturer,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Korea University)

    • 교수자 Instructor

      조형열(동아대학교 역사문화학부 교수)
      Cho Hyong Yerl (Professor, History Department, Dong-A University)

    • 교수자 Instructor

      이주호(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Lee Joo-Ho (Researcher,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 교수지원팀 Course Support Team

      박건우(고려대학교 역사학과 석사수료)
      Park Geon Woo (MA Candidate, Graduate School of History, Korea University)


      350charles@korea.ac.kr

    분야 인문 (인문과학)

    난이도 전공심화

    운영기관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이수증 미발급

    주차 10 주

    학습인정시간 31시간 20분 (09시간 40분)

    수강신청기간 24.05.28 ~ 24.08.30

    강좌운영기간 24.05.28 ~ 24.09.30

    전화번호 010-5670-9677

    자막언어 한국어 외 2건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