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기관 목록
강좌소개
강좌 소개
홍보/예시 영상
강좌 운영 계획
주차 | 주차명 (주제) |
주차별 학습 목표 | 차시명 |
---|---|---|---|
1 | 대중의 국민화 : 북한에 대한 이해와 북한 체제의 특성 | 북한에 대한 이해와 북한 체제의 특성에 대해 학습한다. | |
강의소개 | |||
북한을 바라보는 시각 | |||
북한 체제의 특성 | |||
북한 정치체제에 대한 다양한 논쟁들 | |||
전체주의 정치체제와 북한 체제 | |||
대중의 국민화: <어떤 나라> 다큐멘터리 | |||
2 | 보천보전투 역사적 사실과 역사적 허구 | 북한의 역사를 다루면서 북한이 어떤 과정을 거쳐 공산화가 되었고, 김일성이 어떻게 권력을 획득하게 되었는지 역사적 맥락을 이해한다.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과정 | |||
김일성체제 구축 | |||
보천보의 횃불(1948년) | |||
보천보 전투 승리기념탑(1967년) | |||
보천보 전투 승리기념탑(1967년) | |||
연구방법론: 시각정치적 언어의 도상해석학 | |||
3 | 주체사상: 유일사상체제와 미학적 대칭 구조 | 주체사상: 유일사상체제와 미학적 대칭 구조에 대한 논의를 통해 북한 정치의 특색을 이해한다. | |
주체사상의 형성과정 | |||
주체사상과 유일사상체계 | |||
평양의 도시구조 | |||
<주체사상탑>(1982년)의 미학적 특징 | |||
짐멜의 미학적 접근 | |||
위대한 사상가와 위대한 계승자의 대칭 구조 | |||
4 | 신정정치: 북한 김일성 초상화에 드러나는 얼굴의 권력 | 북한의 정치체제의 특성 중 하나인 신정정치적인 특성을 이해한다. | |
북한의 신정정치 | |||
김일성의 두 신체 | |||
김일성의 정치적 얼굴 | |||
초상사진과 초상화 | |||
김일성 수령형상 작품의 미학적 특성 | |||
김일성 초상화의 인물형상 | |||
5 | 세습권력: 김정일-김일성 이미지 유사성과 차별화 | 김일성에서 김정일로 권력이 세습되는 과정에서 지도자의 이미지가 어떻게 시각화되었는지 학습한다. | |
김일성-김정일 리더십 재현 | |||
김일성-김정일의 정통성 유지 전략: 권력세습 정당화 | |||
김일성-김정일의 정통성 유지 전략: 같은 꿈을 꾸는 지도자 | |||
김일성-김정일의 이미지 차별화 전략: 김일성-만민의 태양, 김정일-21세기의 태양 | |||
김일성-김정일의 이미지 차별화 전략: 김일성-아버지, 김정일-지도자 | |||
김일성-김정일의 이미지 차별화 전략: 김일성-듣는 자, 김정일-말하는 자 | |||
6 | 사회정치적 생명체: 북한 인민의 환영적 신체 | 북한 인민들은 북한에서 어떻게 시각적으로 재현되는지 살펴본다. | |
인민의 두 신체 | |||
주체사상과 사회정치적 생명체 | |||
주체형의 공산주의적 인간형 | |||
긍정적 주인공 전형 | |||
인민의 신체 사례 | |||
인민의 신체 비교: <지난 날의 용해공들>과 <볼가강에서 배끄는 인부들> | |||
7 | 수령 형상 창조 원칙: 지도자와 인민의 정치적 관계 | 북한에서 지도자와 인민의 관계가 시각적인 도상에서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 |
신화적 사유와 시각정치적 재현 | |||
중심-주변 | |||
통일-다양 | |||
본색-비본색 | |||
능동-수동 | |||
지배-피지배 | |||
8 | 주체사실주의: 신화적-초현실적 리얼리즘 | 북한의 미술 ‘신화적-초현실주의적 리얼리즘’에 대해 살펴본다. | |
북한 리얼리즘의 특성 | |||
소련의 영향 | |||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주체사실주의 | |||
내용: 신화적 리얼리즘-사실과 환영의 중첩 | |||
내용: 신화적 리얼리즘-살아있음과 죽음의 중첩 | |||
형식: 초현실주의적 리얼리즘 | |||
9 | 천리마·만리마 속도전: 북한의 경제와 인민의 동원 | 북한의 선전화 <동무는 천리마를 탔는가?>라는 작품을 중심으로, 김일성 시기의 천리마와 최근 김정은까지의 만리마 속도전에 대한 다양한 선전화를 살펴본다. | |
북한의 경제체제 | |||
북한의 천리마·만리마 운동의 전개과정과 천리마 선전화의 의미 | |||
선전화<동무는 천리마를 탔는가>도상해석 | |||
주체의 호명 : 이데올로기적 “주체”와 주체들 | |||
서구 징병 포스터와 북한의 <만리마> 선전화 도상 | |||
천리마 도상을 변형한 선전화 사례 | |||
10 | 정치적 풍경화: 기억과 망각의 정치적 장치 | 북한에서 말하는 혁명의 성지인 백두산, 그리고 구호나무, 붉은 하늘과 다리, 파도 등의 다양한 정치적 풍경화를 살펴본다. | |
북한의 정치적 풍경화 | |||
기억과 망각의 정치적 장치, 물화 | |||
정치적 풍경화 : 백두산 | |||
정치적 풍경화 : 백두산 | |||
정치적 풍경화 : 다리/파도 | |||
강의 마무리 |
강좌운영팀 소개
교수자
![]() |
박상희 교수
· 소속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 학력 인하대학교 정치학 박사 · 연구분야 서양정치사상 |
---|
강좌지원팀
![]() |
손수현 TA
· 소속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학력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k-academy@inha.ac.kr |
---|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 퀴즈 | 출석 | 총점 |
---|---|---|---|
반영비율 | 80% | 20% | 100% |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이 강좌는 유익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재 및 참고문헌
별도의 참고 교재는 없습니다. 학습자료가 제공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