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 소개

    수업내용/목표

    1.한국사상사의전개과정을시기별로소개함으로써한국사의변곡점에서사상의 변화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2. 주요 연구를 쟁점별로 살펴보고, 한국 사상사적 맥락을 분석할 수 있다.
    3. 한국 사상사를 토대로 한국의 정체성과 특수성을 이해하고, 세계사적 관점에서 한국사의 위치를 파악할수있다.

    홍보/예시 영상

    강좌 운영 계획

     

     

    주차

    주차명

    차시

    차시명

    1

    불교 수용과 고대 국가 형성

    1-1

    (도입)삼국 불교 공인의 정치적 함의

    1-2

    불교와 토착신앙의 갈등과 포섭

    1-3

    새벽[始旦]’원효의 불교 대중화

    1-4

    화엄초조의상의 전교(傳敎)

    1-5

    전륜성왕을 자처한 삼국의 국왕

    1-6

    (소결)고대 국가 형성과 불교

    2

    국가 예속적인 고려 불교

    2-1

    (도입)고려시대 불교의 정치 예속

    2-2

    보살계제자(菩薩戒弟子)고려 국왕의 통치

    2-3

    승정(僧政)의운영

    2-4

    호국,기양적(祈禳的)불교 의례의 성행

    2-5

    대장경(大藏經)과교장(敎藏)의판각

    2-6

    (소결)고려시대 불교의 특징과 의미

    3

    고려 불교의 다양성

    3-1

    (도입)신라 불교의 계승과 확장

    3-2

    선종 구산(九山)의성립과 고려 중심으로의 불교계 재편

    3-3

    고려 전기의 화엄종과 유가업

    3-4

    고려 후기의 수선사와 백련사

    3-5

    원간섭기 불교계의 변화와 성리학의 불교 비판에 대한 대응

    3-6

    (소결)다양한 불교 사상이 발전한 고려

    4

    유교의 전래와 정치적 역할

    4-1

    (도입)동아시아에서 유교의 의미

    4-2

    삼국시대 유교 문화의 수용

    4-3

    남북국시대 유교 문화의 전개

    4-4

    신진 사대부와 신유학의 수용

    4-5

    신유학의 불교 비판

    4-6

    (소결)유교 수용의 한국사적 의의

    5

    유교국가 조선의 사상과 문화

    5-1

    (도입)도학의 형성

    5-2

    예교 국가의 확립

    5-3

    도학의 정립

    5-4

    성리학의 심화

    5-5

    본성과 감정에 대한 논쟁

    5=6

    (소결)조선시대 유학의 전개와 특징

    6

    근대의 맹아,전통의 응축:실학

    6-1

    (도입)실학의 의미

    6-2

    중화 의식과 유교 문화

    6-3

    북학파의 이용후생학

    6-4

    성호학파와 서학

    6-5

    정약용의 사천학

    6-6

    (소결)유교 수용의 한국사적 의의

    7

    전통과 근대의 접점 : 서학과 동학

    7-1

    (도입)조선후기 사상계의 새로운 변화

    7-2

    서양에 관한 인식과 서학의 수용

    7-3

    천주실의와천주학의 수용

    7-4

    동학의 성립과 그 사상적 특성

    7-5

    동학농민운동과 척왜양사상

    7-6

    (소결)조선 후기 사상계의 전환기적 특성

    8

    문명과 야만,개항기의 사상적 특징

    8-1

    (도입)19세기세계질서의 재편

    8-2

    개화파의 형성과 분화

    8-3

    애국계몽운동과 사회진화론

    8-4

    위정척사사상의 형성과 전개

    8-5

    아시아주의와안중근의 동양평화론

    8-6

    (소결)개항기와 한말의 사상적 특징

    9

    일제강점기 사상계의 분화

    9-1

    (도입)일제시대 사상계의 분화와 특징

    9-2

    민족주의 계열의 현실인식과 지향

    9-3

    사회주의 사상의 수용과 전개

    9-4

    1930년대조선학연구

    9-5

    식민지 극복과 변절 사이

    9-6

    (소결)일제강점기 사상계의 특수성

    10

    민주화 운동과 사상

    10-1

    (도입)한국 현대사와 사상

    10-2

    해방공간의사상 지형

    10-3

    1950년대냉전 시대와 사상계

    10-4

    1960~70년대민주주의운동과 종교

    10-5

    1980~90년대민주주의와 변혁 운동

    10-6

    (소결)대한민국 근현대사에서의 사상의 의미 및 [총괄평가시험]

    강좌운영팀 소개

    교수자

    박윤진 professor
    박윤진 교수
    고려대학교/한경대학교 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학사
    이욱 professor
    이욱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 철학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 문학석사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학사
    류시현 professor
    류시현 교수
    광주교육대학교 부교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한국근현대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개화일제시대사)
    고려대학교 사학과 학사

    강좌지원팀

    조교
    조교
    한국대학교 전산학 박사과정
    E-mail: abc@example.com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이수/평가정보
    과제명퀴즈토론중간고사기말고사
    반영비율35%%%65%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이 강좌는 유익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재 및 참고문헌

    이 강좌는 여러가지 참고자료가 많이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네. 있습니다.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네. 있습니다.

    제목

    소제목

    내용

     

    미리보기

    분야 인문 (인문과학)

    난이도 전공심화

    운영기관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이수증 미발급

    주차 10 주

    학습인정시간 1시간 12분 (13시간 19분)

    수강신청기간 23.06.26 ~ 24.03.30

    강좌운영기간 23.11.01 ~ 24.03.31

    전화번호 -

    자막언어 -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