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수업내용

    • 로봇 및 자동화 설비를 제어 및 운용을 위한 프로그래밍 방식인 PLC제어의 기본적인 개요 및 활용법을 익히고 응용 프로그래밍을 통한 주변 장치의 제어를 실습을 통하여 학습한다. 


    학습목표

    • 로봇 및 설비 제어를 위한 PLC제어 방식의 개요 및 기본적인 사용법을 학습

    • 설비 운용을 위한 PLC제어 프로그래밍 기법 및 응용 방법 학습


    주차별 학습주제

    • 1주차 : 산업현장의 PLC 적용에 대한 필요성 및 적용 사례에 대한 이해, PLC 프로그래밍을 위한 수치 정보의 표현 방법 및 관련 정보에 대한 학습

    • 2주차 : PLC의 정의 및 구조, 분류 방식에 대한 기본 개요를 학습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PLC의 선정 방법에 대한 학습

    • 3주차 : PLC의 메모리 및 프로그래밍 방식의 종류와 프로그램의 구조 등의 특징을 이해하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통합환경에 대하여 학습

    • 4주차 : PLC 프로그래밍을 위한 통신 및 파라미터 등의 환경 설정 방법, 프로그램 확인을 위한 시뮬레이터 사용법에 대하여 학습

    • 5주차 : PLC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본 회로의 작성 방법 및 동작을 이해하고 타이머의 기본 사용법과 활용 사례를 예제를 통하여 학습

    • 6주차 : 타이머의 응용 및 카운터의 활용 방법을 이해하고 PLC 프로그램의 기본 명령어 사용법을 학습

    • 7주차 : PLC의 데이터 종류 및 표현 방법, 수치 데이터의 변환/연산 명령어의 종류와 활용법을 학습

    • 8주차 : 중간 평가를 통해 1~7주차까지의 학업 성취 결과를 평가하고 부족한 부분을 파악함으로써 학습 방향을 설정

    • 9주차 : PLC 프로그램의 순차제어 방식에 대해 이해하고 예제를 통해 순차제어 프로그램 구현 방법을 학습

    • 10주차 :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PLC제어의 응용사례(신호등)을 직접 구현함으로써 순차제어 프로그램 작성 방법을 학습

    • 11주차 : 디지털 수치 입출력 장치의 종류 및 사용법을 학습하고 생활 속 PLC제어 응용 사례를 통한 프로그래밍 능력을 함양

    • 12주차 : PLC제어 프로그래밍을 위한 소형공정 장치의 하드웨어를 알아보고 공정별 제어 프로그램 작성을 통해 제어 프로그램 개발 능력 향상

    • 13주차 : 소형공정 장치에 사용된 다양한 센서의 종류를 알아보고 이를 활용한 공정별 제어 프로그램 작성 방법 학습

    • 14주차 : 1축 서보모터 제어를 위한 위치결정유닛 환경 설정 방법 및 위치제어 프로그램 개발 방법 학습

    • 15주차 : 기말 평가를 통해 전체 PLC 제어 프로그램 개발 능력의 성취 정도에 대한 결과를 파악하고 필요에 따라 재학습을 실시


    교수자 소개

    • 현) 영진전문대학교 AI융합기계계열 로봇자동화과 교수 - 전자기학 및 로봇/자동화설비 제어를 위한 PC기반제어 프로그래밍/PLC제어/공유압제어 등의 교과목을 강의

    • 전) 자동화설비 개발 전문 회사 소속의 책임 연구원으로서 주로 영상처리 및 PC기반제어 프로그램을 활용한 설비 제어 프로그램 개발자로 근무

    • 연구분야 : 신경회로망 또는 퍼지를 활용한 제어 알고리듬 개발


    이수기준

    • 과제(20%)/중간평가(40%)/기말평가(40%)의 이수 과정의 평가를 통해 환산점수가 총 60점 이상인 경우 이수 가능.

    분야 공학 (전기 · 전자)

    난이도 전공기초

    운영기관 한국연구재단 산업교육센터

    이수증 미발급

    주차 15 주

    학습인정시간 00분 (14시간 05분)

    수강신청기간 24.07.22 ~ 24.08.31

    강좌운영기간 24.08.01 ~ 24.09.30

    전화번호 053-940-5682

    자막언어 -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