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고 싶은 강좌를 찾아보세요.

추천 강좌

    다국어 설정

    강좌소개
    강좌소개

    | 수업내용 / 목표

    18세기 1차 산업혁명을 시작으로 인류의 기술발전과 산업화·도시화는 빠르게 발전해왔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로 가는 현재, 이러한 기술의 발전과 인간의 사회활동에 따른 다양한 전 지구적/지역적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본 강좌는 현재 우리가 직면한 대기(미세먼지, 기후변화, 산성비), 물 문제(물 부족, 녹조), 토양 및 지하수(비료, 살충제), 폐기물 처리(발생량, 플라스틱, 자원화, 방사성 폐기물) 등 국내외 다양한 환경문제들에 대한 유익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본 강의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다양한 참고 영상, 애니메이션, 최신뉴스 기사 등이 활용되었습니다.

    특히 문제시된 환경재앙에 따른 우리들의 대처에 대해 수강생들 각각의 의견을 제시하고 이를 그룹 토론으로 활성화시켜 더욱 생동감 넘치는 강의가 진행될 것입니다.

    본 강좌는 수강생들이 최신환경이슈들에 대한 기초적 이론지식과 현존하는 다양한 우리의 대응기술 및 방법의 이해를 도모해주고, 나아가 날로 발전하는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어떻게 하면 우리가 쾌적하고 지속 가능한 환경 속에서 살아갈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들에 대해서 스스로 생각할 시간을 가지게 도와줄 것입니다.

    | 홍보/예시영상

    강좌 운영 계획
    주차 수업 내용 학습 활동
    1 강의소개
    2 대기 문제 I (대기오염물질, 산성비, 오존층)

    - 우리가 주시해야 하는 대기오염물질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설명할 수 있다.

    - 산성비와 오존층 파괴의 원인에 대해 이해하고, 피해 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대기 문제 II (기후변화)

    - 우리의 지구기후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설명할 수 있다.

    - 지구온난화에 의한 피해 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대기 문제 III (미세먼지)

    - 미세먼지의 정의 및 미세먼지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미세먼지에 의한 피해 내용과 미세먼지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물 문제 1 (물부족)

    - 세계적인 물 부족 현상과 우리나라 물 부족 현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물 부족 현상에 대해 이해하고, 극복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6 물 문제 II (수질오염)

    - 수질오염의 정의 및 수질오염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조류번식과 수질오염의 연관성 및 조류번식에 따른 수질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7 물 문제 III (오염수 처리 및 물 재이용)

    - 하폐수처리의 정의 및 하폐수처리의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지속가능한 미래도시를 위한 효율적 물 관리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저영향개발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LID 정책방향과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8 중간고사
    9 자원고갈 문제

    - 자원의 정의 및 대표적인 지구의 자원과 자원의 소비현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6가지 주요 자원 고갈 현황 및 재생가능 자원/에너지의 개발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10 폐기물 처리문제 I

    - 폐기물 발생 현황 및 다양한 폐기물 처리문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폐기물의 잘못된 처리에 의한 피해 내용과 안전한 폐기물 처리방법과 폐기물 자원화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11 폐기물 처리문제 II (플라스틱)

    - 플라스틱이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 플라스틱 소비현황과 폐기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와 플라스틱 폐기물을 처리를 하기 위한 대처 방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2 폐기물 처리문제 III
    (원자력 에너지 및 방사성 폐기물)

    - 원자력의 정의 및 우리나라 원자력 에너지의 현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방사성 물질과 방사성 폐기물의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 대표적인 원전 사고와 방사능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대처방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3 토양 및 지하수 오염 문제

    - 토양 및 지하수의 가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토양 및 지하수 오염 법적 기준과 현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오염된 토양 및 지하수의 복원 기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4 소음 공해&빛공해

    - 소음의 정의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소음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방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빛 공해의 정의와 종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빛 공해에 의한 여러 피해 내용 및 빛 공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들을 설명할 수 있다.

    15 마무리
    16 기말
    강좌 운영팀 소개

    | 교수자

    %EB%B0%B0%EC%84%B1%EC%A4%80_%EC%A6%9D%EB%AA%85%EC%82%AC%EC%A7%84.jpg

    배성준 교수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공학부 교수

    | 강좌지원팀

    학습 지원

          이정호 | dlwjdgh135@gmail.com
          이수민 | leesoomin1002@naver.com

          강의내용 및 수강에 대한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게시판 질의응답이나 메일로 문의주시면 답변해드리겠습니다.

    운영 지원

          건국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교수학습센터 | E-mail: konkukmooc@konkuk.ac.kr

          해당강좌 관련하여 행정적 문제, 기술적 문제 등 기타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게시판 질의응답이나 메일로 문의주시면 24시간 내에 신속하게 답변해드리겠습니다.
    강좌 수강 정보

    | 이수/평가정보

    평가유형 성적반영여부
    (점수가중치)
    평가횟수
    (평가시기)
    평가 내용 및 방법
    퀴즈 50% 13회(매주) 퀴즈 참여 여부를 통해 강의 수강 여부 판단함
    과제 10% 1회(15주) 주제에 적합한 과제 제출 여부 평가함
    중간고사 20% 1회(8주) 정답률을 합격으로 판단함
    기말고사 20% 1회(15주) 정답률을 합격으로 판단
    이수기준 60점 - 총점 100점 중 60점 이상 획득한 경우 강좌 이수 인정

    |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본 강좌를 듣기 위하여 선수 학습을 해야 하는 과목은 따로 없습니다.

    | 교재 및 참고문헌

    본 강좌를 위해 따로 준비해야 하는 교재는 없습니다.

    분야 공학 (기타)

    난이도 -

    운영기관 건국대학교

    이수증 발급

    주차 19 주

    학습인정시간 15시간 00분 (08시간 27분)

    수강신청기간 25.02.24 ~ 25.04.19

    강좌운영기간 25.03.04 ~ 25.06.24

    전화번호 02-450-3900

    자막언어 -

    강좌언어 한국어(ko)

    추천강좌
    같은기관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