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강대상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과정에는 특히 다양한 전공과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함께 협동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수업은 고객과 기업을 동시에 즐겁게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수업목표 및 개요
인류사회가 산업화 시대를 지나 정보화 사회로 접어든 지도 많은 시간이 지나, 이제는 후기 정보화 시대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이 후기 정보화 사회를 특징짓는 가장 큰 두 가지 요소가 바로 서비스와 디자인입니다. 과거에 유형의 사물로 존재했던 많은 가치와 재화들이 디지털 기술과 만나면서 급속하게 무형화 되었으며,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행동패턴 역시 이에 맞추어 변화했고, 이 과정에서 다양한 서비스들이 우리들의 삶 속에 깊숙하게 침투하였습니다. 또한 많은 일들이 컴퓨터와 저렴한 노동력에 의해 대체되면서 이들에 의해 대체될 수 없는, 사람의 감성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영역인 디자인의 가치 역시 계속해서 높아져 가고 있습니다.
이 강좌의 초점은 새로운 서비스 컨셉을 직접 만들어 내는 과정을 즐기고, 이것을 실제 세상에 내놓기 위해 협업할 수 있는 창의적인 사고를 배양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경영학에서 강조하는 분석적 사고(Critical Thinking)와, 이를 보완하는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를 상황에 맞게 모두 활용할 수 있고, 현장에서 다양한 유형의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협업할 수 있도록 적절한 사례들과 훈련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수업을 통해서 한국에서도 Facebook이나 Google과 같이 사람들에게 새로운 삶의 방식을 제시하고, IDEO사의 Ripple Effect Project와 같이 인류에게 영감을 주는 새로운 서비스를 창조해낼 수 있는 창의적인 리더가 많이 배출되는 것이 이 수업의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선수과목
본 과목을 위한 특별한 선수과목은 없 습니다. 본 과목은 새로운 서비스 컨셉의 개발 및 서비스 기획을 다루기 때문에 프로그래밍이나 디자인에 대한 선행 지식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다만 현재 제공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이러한 서비스를 본인도 기획해 보고자 하는 열의가 있으면 좋습니다. 이에 더해서 사람에 대한 따뜻한 배려와 풍부한 감수성, 새로운 기술에 대한 호기심,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협동 작업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면 좋습니다.
이수증 발급
정해진 성적 규정을 통과한 학습자에 한하여 이수증을 발급해 드립니다. 정해진 성적 규정은 '진도율 60%'이며, 이를 충족했을 경우에 이수증이 발급됩니다.
교수정보
김진우 교수는 1993년에 Carnegie Mellon University에서 HCI (Human Computer Interaction)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1994년부터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에 재직 중입니다. 2002년부터 2003년까지 UC Irvine에서 visiting associate professor로 근무했으며, 2007년부터 2008년까지 경영대학 부학장과 경영학과 학과장으로 봉사했고, 2010년부터 2011년까지 MIT Sloan School에서 visiting scholar로 근무했습니다. 현재 연세대학교 HCI Lab과 창조경영센터를 지도하고 있으며, SBS CH의 사외 이사로 있습니다.
김진우 교수는 삼성전자 디자인 멤버십 자문교수로 있으며, LG 전자 미래기술포럼 자문 교수로 있습니다. 또한 SBS Content Hub의 사외 이사로 근무 중이며, 다음 커뮤니케이션 이사회 의장을 역임한바 있습니다.
김진우 교수는 사진 촬영을 좋아하고 SF 영화 감상을 즐기며 학생들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는 것에 관심이 많습니다. 김진우 교수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http://hci.yonsei.ac.kr 를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아울러 연세대학교 HCI Lab에 대해서 좀더 자세한 사항을 알고 싶은 사람들은 HCI Lab 자유게시판을 참조하기 바랍니다.
조교정보
소속 : 연세대학교 HCI Lab.
이름 : 김보명, 김현영 연구원
e-mail : kmooc_sd@naver.com
교재 및 참고문헌
본 수업의 교재와 참고 문헌은 아래와 같습니다. 주교재의 경우 북큐브를 통해 무료로 다운 받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교재
- 서비스 디자인, 2015
PC 사용자의 경우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교재를 볼 수 있습니다.
모바일 사용자의 경우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교재를 볼 수 있습니다.
참고 도서
_- This is Service Design Thinking, 2010
- Human Computer Interaction 개론, 2012
- A Whole New Mind, Daniel Pink (번역서: 새로운 미래가 온다)
- 10 Faces of Innovation, Tom Kelly (번역서: 이노베이터의 열가지 얼굴)
- Design-Driven Innovation, Roberto Verganti
- Change by Design, Tim Brown
- The Design of Business, Roger Mart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