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시민을 위한 도시학 개론 동영상

시민을 위한 도시학 개론




Enrollment is Closed

“도시의 주인은 시민입니다.”

그러나 많은 시민들이 스스로를 도시의 주인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주인의 역할을 다하지 않은 채 살아갑니다. 따라서 이 강좌는 도시의 주인으로서 시민의 역할을 익히기 위해 도시와 도시학에 대한 개론적 지식을 학습하고, 도시를 움직이는 힘들과 구체적인 사례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 강좌의 목표는 일반대중들에게 자신이 도시의 주인, 즉 <시민>임을 깨닫고 시민으로 살아가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데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각자 살아가는 마을에서 <마을시민> 또는 <주민>으로서 능동적 살아가도록 초대하고자 합니다. 또한,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 덴마크, 일본 등 해외 사례 고찰을 통해 세계적인 도시혁신 실험들의 흐름을 파악합니다.

도시 주인로서의 시민의 역할을 이해하여 실제 자신이 거주하는 도시에서 시민의 역할을 실천할 수 있다.








강좌목차


1. 정석 (2016), 도시의 발견 –행복한 삶을 위한 도시 인문학, 서울: 메디치
2. 정석 (2013), 나는 튀는 도시보다 참한 도시가 좋다, 서울: 효형출판사

Course Staff Image #1
정석 교수(jeromeud@naver.com)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jerome363

· 학력

- 서울대학교 도시공학 박사(1994)
- 서울대학교 도시공학 석사(1988)
- 서울대학교 도시공학 학사(1985)


· 주요경력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2014-)
- 경원대학교 도시계획학과 교수(2007-2014)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동북아도시연구센터장(2004-2007)
- 싱가폴국립대학교 방문학자(2006)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시설계연구팀장(2003-2004)
- 북경시성시규획설계연구원 방문학자(2002)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위원(1994-2007)

· 저서 및 번역서

- 「도시의 발견 –행복한 삶을 위한 도시 인문학」, 메디치(2016)
- 「나는 튀는 도시보다 참한 도시가 좋다」, 효형출판(2013)
- 「저성장시대의 도시정책」, 정석 외 20인, 한울(2011)
- 「집은 인권이다」, 정석 외 30인, 이후(2010)
- 「세계의 도시디자인」, 정석 외 49인, 보성각(2010)
- 「도시설계」, 정석 외 21인, 보성각(2001)
- 「21세기의 환경과 도시」, 정석 외 21인, 민음사(2000)
- “북경 역사문화명성 보호계획 연구”, 정석 역,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4)
- “커뮤니티존 실천 매뉴얼”, 정석 외 2인역,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3)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
  1. Subject

    Engineering
    (Civil Construction & Urban Engineering)
  2. 강좌 내용의 어려운 수준을 의미합니다. 교양, 전공기초, 전공심화 순으로 난이도가 증가합니다.

    Course difficulty

    intermediate
  3. 강좌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기관입니다. 컨소시엄으로 운영 시, 대표기관의 명칭이 나타납니다

    Institution

    UNIVERSITY OF SEOUL
  4. 운영 기관의 전화번호 입니다.

    Phone

    02-6490-6026
  5. 강좌의 구성 주차 수를 의미합니다. (강좌를 충실히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주당 학습시간을 의미합니다.)

    Course Week
    (Estimated Effort)

    08week
    (주당 04시간 00분)
  6. 본 강좌 이수자에게 인정되는 학습시간으로 해당 강좌의 동영상, 과제, 시험, 퀴즈, 토론 등의 시간을 포함합니다. (강의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재생 시간의 총 합계입니다.)

    Accredited learning time
    (Video Duration)

    35시간 00분
    (24시간 00분)
  7. 수강신청이 가능한 기간으로 해당 기간 내에만 수강신청이 가능합니다.

    Registration Period

    2017.08.31 ~ 2017.11.15
  8. 강좌가 운영되고 교수지원이 이루어지는 기간입니다. 이수증은 강좌운영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Classes Period

    2017.09.14 ~ 2017.11.16
  9. ※ 만족도 응답 표본 수 미달 등 일정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별점이 공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