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인문고전이란 무엇이며 어떤 점에서 성서가 인문고전인가?
|
1차시: 성서의 낯선 세계에 발을 들여놓는 사람들을 위한 성서 입문
|
|
2차시: 세계사 속의 성경, 성경연대기와 지도
|
|
퀴즈
|
|
2
|
구약 성서의 복합적 구성 개관
|
1차시: 구약성서의 장르 구분
|
|
2차시: 모세오경과 첫 책 창세기
|
|
퀴즈
|
|
3
|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의 이해
|
1차시: 출애굽기 탐구
|
|
2차시: 레위기와 민수기 탐구
|
|
토론
|
|
퀴즈
|
|
4
|
신명기 역사서의 독특성
|
1차시: 신명기와 모세오경 요약
|
|
2차시: 여호수아부터 사사기까지
|
|
퀴즈
|
|
5
|
이스라엘 역사의 결정적 변곡점을 다루는 사무엘상하와 열왕기상하
|
1차시: 사무엘상하
|
|
2차시: 열왕기상하
|
|
토론
|
|
퀴즈
|
|
6
|
패배한 바둑을 복기하듯 과거사를 재해석하는 역대기, 에스라-느헤미야
|
1차시: 역대기상하
|
|
2차시: 에스라-느헤미야
|
|
퀴즈
|
|
7
|
사회비판적이고 권력감시적인 지식인들의 공적 비판담론으로서의 예언서
|
1차시: 주전 8세기 예언자들의 중심 과제
|
|
2차시: 아모스와 호세아
|
|
토론
|
|
퀴즈
|
|
8
|
주전 8세기 남유다 예언자인 이사야와 미가, 유다왕국 멸망기와 바벨론 포로기의 중심 예언자인 예레미야와 에스겔
|
1차시: 이사야와 미가
|
|
2차시: 예레미야와 에스겔
|
|
퀴즈
|
|
9
|
바벨론 유배시대가 구약성서에 끼친 영향에 대한 다각적 분석
|
1차시: 가나안 땅 정착에서 상실까지의 이스라엘 역사
|
|
2차시: 바벨론 포로기의 의의: 파국적 재난에 대한 다양한 응답
|
|
퀴즈
|
|
10
|
왕국 멸망기와 바벨론 포로귀환시대 예언자들의 예언
|
1차시: 주전 7~6세기 소예언자들 - 요엘, 오바댜, 요나, 나훔, 하박국, 스바냐
|
|
2차시: 주전 6~5세기 예언자들 - 학개, 스가랴, 말라기
|
|
퀴즈
|
|
11
|
구약성서 성문서의 중심 주제
|
1차시: 시편, 잠언
|
|
2차시: 욥기, 전도서, 예레미야 애가
|
|
퀴즈
|
|
12
|
성문서의 개방성, 보편성, 국제성에 대한 예시적 접근
|
1차시: 다니엘과 에스더
|
|
2차시: 룻기와 아가서
|
|
퀴즈
|
|
13
|
구약성서를 한 권의 책으로 읽으려는 시도의 난점과 유익
|
1차시: 기승전결의 드라마로 읽는 구약성서
|
|
2차시: 인문고전으로서의 성서 읽기 - 악과 고난의 문제에 대한 구약성서의 인문학적 접근
|
|
퀴즈
|
|
14
|
인문고전으로서의 구약성서 읽기 사례 제시
|
1차시: 인문고전으로서의 성서 읽기 사례 - 바벨론 홍수 설화의 빛 아래서 본 노아 홍수 이야기
|
|
2차시: 인문고전으로서의 성서 읽기 사례 - 구약성서의 윤리학과 정치철학
|
|
퀴즈
|
|
15주차: 기말고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