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내용/목표
오늘의 한국은 민주주의가 단지 법제도로서만 아니라 시민의 삶의 각 영역에까지 실현되는 방식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본 강좌는 민주시민이 가져야 할 시민적 교양으로서의 정치철학의 주요 개념과 사상을 학습하고, 이를 한국인의 정치적 삶과 연결하여 해설하면서 시민 스스로가 올바른 정치적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의 함양을 목표로 합니다.
주차 | 강의 주제 | ||
---|---|---|---|
1 | 왜 한나 아렌트를 공부하는가? | ||
2 | 정치란 도대체 무엇인가? | ||
3 | 정치없이 인간다운 삶이 가능한가? | ||
4 | 명령대로 한 일에 나의 책임이 있는가? | ||
5 | 악한 세상에서 올바르게 살아가는 방법은 있는가? | ||
6 | 홀로코스트에 유대인의 책임이 있는가? | ||
7 | 억압하면 모두 전체주의인가?, 중간고사 | ||
8 | 정치는 필요악인가? | ||
9 | 시끄러운 정치판을 잠재울 진리는 없는가? | ||
10 | 정치가가 있는데 시민까지 나서야 하는가? | ||
11 | 국가는 폭력의 기관인가? | ||
12 | 헌법이 왜 중요한가? | ||
13 | 국가는 국민을 속여도 되는가? | ||
14 | 올바른 정치적 판단을 위하여 | ||
15주차: 기말고사 |
평가요소 | 퀴즈 | 중간고사 | 기말고사 | 과제 | 토론참여 |
---|---|---|---|---|---|
반영비율 | 12% | 20% | 20% | 32% | 16% |
한국의 정치적 현실에 대한 고민을 갖고 있고, 이를 이해하고 올바른 방향정립을 하기를 원하는 이면 누구나 강의를 들을 수 있다. 강의 수준은 고등학교 졸업 정도의 학력 혹은 책을 즐겨 읽고 토론 방송 등을 흥미있게 들을 수 있는 수준이면 충분히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이 강의를 통해 대학교양 수준의 정치철학에 대한 소양을 가질 것을 기대할 수 있으며, 선수요건은 없다.
우리는 왜 한나 아렌트를 읽는가(한길사, 2018)
한나 아렌트의 생각(한길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