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주] 심리학 이론과 범죄:
범죄심리학의 정의, 심리학 하위분야와 범죄, 심리학적 이론과 범죄 - [2주] 범죄와 사회심리학:
집단범죄, 강간 통념, 밀양 윤간사건 사례 분석 - [3주] 범죄와 임상심리학:
정신 장애 관련 범죄 사례, 사이코패스&반사회적 성격 장애 - [4주] 살인Ⅰ:
국내 살인 범죄 통계, 살인 범죄자 유형 분류, 국내 살인 범죄 사례 분석 - [5주] 살인Ⅱ:
친족 살인의 원인, 국내 친족 살인 사례 분석, 연쇄 살인 - [6주] 성적 살인:
성적 살인의 정의와 특성, 원인, 성적 살인범 분류 체계 - [7주] 묻지마 범죄:
묻지마 범죄의 정의와 관련 용어, 묻지마 범죄자 유형 분류 - [8주] 성범죄Ⅰ:
국내 성폭력 범죄 통계, 성범죄자의 특성, 성범죄의 원인 - [9주] 성범죄Ⅱ:
성범죄 피해자, 성범죄자 분류 체계, 성범죄자 치료 - [10주] 아동 대상 성범죄:
아동 대상 성범죄자의 특성, 유형 분류, 피해자 증상 및 진술 신빙성 - [11주] 강도:
강도의 정의 및 종류, 특성 및 범행 대상 선정 기준, 강도 범죄자 유형 분류 - [12주] 범죄자 프로파일링:
프로파일링 정의와 목적, 과정, 추론과정에서의 오류와 편향 - [13주] 연계 분석:
연계 분석의 정의 및 가정, 연쇄범 행동 일관성, 행동적 연계 분석 절차 및 타당성

범죄행동의 심리학
SookmyungK
Enrollment is Closed
■ 강의 소개
범죄자의 인지적, 성격적 특성과 범행 동기 및 심리 상태, 범죄 현장에서 나타난 행동, 범죄자들의 개인차에 근거한 유형 분류 등 범죄와 범죄자를 보다 잘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심리학적 원리와 이론을 적용해보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This course focuses on the major theories of criminal behavior. Viewpoints from cognitive, behavioral, social and developmental theorists are discussed and compared with current classification systems. Case examples are used to illustrate the various theories.
■ 강의 내용
■ 샘플 강의
■ 평가 방법 및 이수 기준
- 매 주차 퀴즈를 진행함
- 학기 종료 후 전체 퀴즈 정답율 60% 이상 시 이수증 발급
■ 참고 교재
- 박지선. 『범죄심리학』 그린출판사. 2015
■ 담당 교수
- 서울대학교 심리학 학/석사 - 대법원 양형위원회 전문위원
숙명여자대학교 사회심리학과 박지선 교수
- 영국 University of Liverpool, 수사심리학 석사
- John Jay College of Criminal Justice, CUNY 심리학 박사
- 경찰청 과학수사 자문위원
■ 담당 TA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심리학과 석사과정
홍영은 조교
김혜선 조교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