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주] 강의 소개: 왜 문학, 영화, 법인가?
- [2주] 국가와 시민 1: 국가는 시민의 편인가? 범죄자의 편인가?
- [3주] 국가와 시민 2: 피의자/피고인의 권리와 민주사법의 과제
- [4주] 법조전문직과 사법부: 법률가 집단의 의무
- [5주] 사법부와 판결: 법의로 사회를 바꿀 수 있나?
- [6주] 법의 이념: 정의를 실현하는 법? 사회를 안정시키는 법?
- [7주] 법과 정의: 악법도 법인가?
- [8주] 소송과 정의: 법정에서 정의가 실현될 수 있을까?
- [9주] 법과 도덕: 법은 도덕의 최소한인가? 법은 도덕을 증진하는 도구인가?
- [10주] 민사법과 정의: 법으로 시민의 권리 찾기
- [11주] 시민의 자유와 계약: 지키지 않아도 되는 계약이 있을까?
- [12주] 범죄와 처벌: 범죄자를 처벌해서 안전한 사회를 만들 수 있을까?
- [13주] 형벌로서의 사형제: 사형은 정당하고 효과적인 형벌인가?

문학과 영화를 통한 법의 이해
SookmyungK
Enrollment is Closed
■ 강의 소개
‘법’과 ‘법학’에 대한 기초적인 입문 강좌입니다. 법을 둘러싼 정치적, 사회적, 철학적 맥락(context)을 살펴봄으로써 법/법학에 대한 근본적이고 심층적인 이해를 시도하며, 영화, 문학, 그리고 시사적인 사례들을 통해 흥미롭게 법의 문제를 다루게 됩니다.
This lecture aims at introducing law itself and law as a academic discipline. In particular, this lecture deals with law in political, social, and philosophical context and this leads to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law. To facilitate discussions, film, literature and current events is used as teaching material.
■ 강의 내용
■ 참고 영화/문학 작품
주차 | 강의주제 | 영화/문학 작품 |
2,3 | 국가와 시민 1, 2 | 영화 <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 |
4 | 법조전문조직과 사법부 | 영화 <부러진 화살> |
5 | 사법부와 판결 | 판례 <아름다운 판결> |
6 | 법의 이념 | 소설 <소년이 온다>, 영화 <화려한 휴가>, 영화/만화 <26년> |
7 | 법과 정의 | 소설 <법 앞에서> |
8 | 소송과 정의 | 소설 <소수의견> |
9 | 법과 도덕 | 영화 <래리 플린트> |
10 | 민사법과 정의 | 영화 <에린 브로코비치>, <인사이더>, <시빌 액션> |
11 | 시민의 자유와 계약 | 소설 <베니스의 상인> |
12 | 범죄와 처벌 | 영화 <7번 방의 선물> 또는 <하모니>, <쇼생크 탈출> |
13 | 형벌로서의 사형제 | 영화 <데드 맨 워킹>, <집행자>,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데이비드 게일> 소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
■ 샘플 강의
■ 평가 방법 및 이수 기준
- 수업 참여 및 출석 20%, 중간고사 40%, 기말고사 40%
- 총점 60% 이상 시 이수증 발급
■ 담당 교수

숙명여자대학교 법학부 홍성수 교수
- 고려대학교 법학 학/석사
- 런던 정경대(LSE) Ph.D
- 한국법철학회, 한국법사회학회 총무이사
- 저서: 『말이 칼이 될 때(혐오표현은 무엇이고 왜 문제인가?)』. 어크로스. 2018.
■ 담당 TA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석사과정
황혜미 조교
선나래 조교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