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한국의 자연과 환경 |
1. 우리나라의 산맥과 지질구조 2. 한반도 산맥도와 산경표 3. 우리나라의 산지 분포와 지형 4. 우리나라의 지질구조의 이해 |
09/01(화) |
2 | 택리지와 현대지리지 |
1. 택리지에 대하여 2. 택리지 속 남한지역 3. 택리지 속 경기도와 한강 유역 4. 현대 지리지 |
09/14(화) |
3 | 한반도의 지질과 지형 이해 |
1. 지질분포와 지형의 이해 2. 퇴적암 지형 3. 화강암 지형 4. 기타 암석 지형 |
09/28(화)
* 21일은 추석 휴강
|
4 | 한반도의 하천 지형 |
1. 한국의 하천 지형 2. 한국의 하천 3. 하도 4. 하천쟁탈 |
10/05(화) |
5 | 한국의 해안지형 |
1. 한국의 해안 2. 침식지형 3. 퇴적지형 4. 해안과 지구온난화의 영향 |
10/12(화) |
6 | 우리나라의 보호구역 제도 |
1. 세계의 보전지역 IUCN 2. Geopark와 습지보호구역 3. 한국의 습지 형성과정 4. 북한지역의 보호구역제도 |
10/19(화) |
7 | 한국의 기후 |
1. 한국의 기후구분 2. 지리적 기후인자 3. 우리나라 기후 특성 요약 4. 일기도와 위성영상 |
10/26(화) |
8 | 중간고사 |
11/02(화) |
9 | 한반도의 기후 변화 |
1. 기후변화의 양상/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약) 2. 기후변화의 연구 방법론(식물) 3. 기후변화의 연구 방법론(동물)과 고문헌 등 기후변화 탐지 4. 늘어가는 기후로 인한 자연재해(홍수/태풍/폭염 등)와 기상 변화 |
11/09(화) |
10 | 한반도의 기후와 생활문화 |
1. 기후요소의 지역적 분포특성 2. 생활 기상 지수 3. 한반도의 기후와 식생활 문화 4. 24절기와 주거에 나타난 기후의 차이 |
11/16(화) |
11 | 한국의 토양지리 |
1. 한국의 토양 조사와 분포 2.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속성 이해/토양형성작용 3. 토양 단면도와 토양관련 웹사이트 / 토양생성 함수 |
11/23(화) |
12 | 한국의 생물지리 |
1. 한국의 식물지리 2. 생태계 개념과 생물지리학의 기원에 대한 설명 3. 생물종의 분포와 지리적 분포 요인 4. 기후변와 식생의 변화 |
11/30(화) |
13 | 북한지역지리와 지리 교육 |
1. 지리교육 교과서를 통한 북한의 지리학 2. 북한의 산맥과 지형연구 3. 북한지역의 지질과 기후 4. 북한지역의 자연환경 요약 |
12/07(화) |
14 | 백두산을 중심으로 본 북한의 자연지리 |
1. 조선인과 외국인의 백두산 조사역사 2. 라우텐자흐의 백두산 연구와 화산 분출사 연구 3. 자연환경 연구의 중심이 된 백두산 4. 백두산 지형연구의 필요성 |
12/14(화)
|
15 | 기말고사 |
12/21(화)
* 12/23 종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