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OC 01 강좌개요 및 목표
우리의 언어생활에서 7할을 차지하는 한자어는 단순히 의사소통의 도구일 뿐만 아니라, 우리문화의 정체성을 파악할 수 있는 소중한 가치가 내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문화원형의 한자어들을 다양한 주제별로 학습하여 ‘우리 것’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건전한 비판적 사고를 길러봅니다.
MOOC 02 강좌소개
홍보동영상
오래 되었다고 낡은 것만 있을까요?
오래되어서 익숙해지고, 다듬어진 것들도 많습니다.
바로 문화와 전통, 그리고 우리의 언어인 한자어가 그렇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문자의 7할 이상이 한자어니만큼,
동아시아 문화원형의 근간을 이뤘던 한자어들을 우리생활에 익숙한 주제들로 묶어 알아보고자 합니다.
언어와 문자가 우리의 삶 속에서 만들어진 '과정'을 학습해봄으로써 한자어가 단순한 의사소통의 도구가 아니라,
우리 문화의 특징과 역사적 속성, 그리고 동아시아 문화의 관계성과 아량을 갖게 하는 모티브임을 학습해 보시기 바랍니다.
MOOC 02 강의 계획서
우리문화속의 한자어_강의계획서
주차 |
강의주제 |
1 |
낡은 것을 왜 배워야 하지? |
2 |
세대차이라고? 제대로 알고 씁시다! |
3 |
성균관, 조선의 국비장학생들 발자취를 찾아서 |
4 |
인간중심의 문화가 만들어낸 대표 히트작, 漢字! |
5 |
면목(面牧)있는 내 몸뚱이 |
6 |
땅·하늘·물, 그리고 내 마음 속에 사는 동물들 |
7 |
TEST |
8 |
문화마다 호불호(好不好)가 있다! |
9 |
음식을 알아야 문화를 안다. |
10 |
우리가 알아야 할 우리 땅, 우리 이름! |
11 |
호학(好學)을 꿈꾸며 |
12 |
멋과 예술을 아는 선현들 |
13 |
순수혈통 한자어, 바로 알고 바로 쓰자! |
14 |
궁궐, 우리의 정체성을 알리는 심장부였다. |
15 |
TEST |
MOOC 04 수강대상 및 학습활동
수강대상
우리문화와 한자어에 관심있는 일반인수업구성
교수자강의 70%, 학습자 참여 30%평가기준
퀴즈 60%, TEST 40%이수증 발급
평가기준 60% 이상 이수한 학습자.
담당 교수
![]() |
김 용 재 교수 |
담당 조교
![]() |
이지연 조교 현) 성신여자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K-MOOC 전담 조교 이메일 : ctl@sungshin.ac.kr 전화 : (02)920-2169 |
---|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