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에 의한 스토리 생산은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분야이며 여러 가지 의미있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실제로 “스토리”라고 할만한 텍스트를 생산해내지는 못하고 있다. 이는 기술적인 한계 때문이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스토리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기술적 발전에 뒷받침 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본 강좌에서는 현재 이뤄지고 있는 인공지능에 의한 스토리 생산의 한계가 무엇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이 이뤄져야하는지를 스토리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한 게임 스토리와 영웅 신화를 통해 살펴본다.
· 인공지능에 의한 텍스트 생산의 한계에 대해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게임 스토리의 기본 구조에 대해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영웅 신화의 구조와 이를 바탕으로 하는 스토리의 기본 구조에 대해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인공지능에 의한 텍스트 생산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학력
• 훔볼트대학(Humboldt Universität zu Berlin) 독어독문학과 문학박사(2005)
•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문학석사(1998)
•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문학사(1995)
주요경력
• 2007: 서울대학교 부임
• 2005-2007: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
연구분야
• 독일자연주의 및 세기전환기 문학, 독일학, 독일 문화학
총 8주차
• 강좌계획표(Syllabus)
주차 | 개강일 | 학습내용 | 학습목표 | 평가 |
1주차 | 9월 7일 | 인공지능은 소설을 쓸 수 있을까? | 인공지능의 “소설” 창작이 가지고 있는 문제들을 이해한다. | |
2주차 | 9월 14일 | 스토리는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을까? | 소설, 희곡, 영화 등의 “스토리”의 기본적 특성이 무엇인지 이해한다. | 퀴즈 |
3주차 | 9월 21일 | 게임에서 스토리란 무엇일까? | 게임에서 “스토리”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한다. | |
4주차 | 9월 28일 | J.R.R. 톨킨의 <반지의 제왕> 은 게임 스토리의 발전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 <반지의 제왕> 이 어떻게 수많은 게임들에 영향을 끼쳤는지 이해한다. | 퀴즈 |
5주차 | 10월 5일 | 영웅신화는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을까? (1) | 많은 영화와 게임 스토리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영웅 신화의 기본구조를 이해한다 | |
6주차 | 10월 12일 | 영웅신화는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을까? (2) | 영웅신화의 구조가 어떻게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들에서 활용되고 있는지 이해한다. | |
7주차 | 10월 19일 | 인공지능을 통한 스토리 창작은 어떻게 이뤄져야할까? | 스토리의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 스토리 창작의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본다. | 퀴즈/과제 |
기말고사 | 10월 26일 | 10/19 - 10/26 |
평가 비율
과제 | 퀴즈 | 기말고사 |
---|---|---|
20% | 40% | 40% |
※60점 충족 시 이수증 발부
교재
• 교재는 학습자료로 제공
※학습자료는 다운로드 가능
강좌 소개 영상
수강신청 기간
• 2021년 8월 24일(화) ~ 10월 12일(화)
운영 기간
• 2021년 9월 7일(화) ~ 10월 26일(화)
개설 방식
• 매주 1개 주차씩 오픈(기말고사 제외)
소속
• 인문대학 협동과정 공연예술학전공
연락처(이메일)
• gamzatti@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