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인공지능의 급격한 발전은 단순한 기술적 진보를 넘어 마음과 생각의 본성이 무엇이고 기계와 인간은 어떻게 구별될 수 있으며 인공지능로봇에게도 과연 윤리적 지위를 부여할 수 있는지 등 다양한 철학적 문제들을 제기한다. 본 강좌에서는 이 중 대표적인 문제들을 선별하여 검토함으로써 다가오는 인공지능의 시대를 보다 근본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성찰한다.
학력
• 미국 하버드대학(Harvard University) 철학과 박사
• 서울대학교 철학과 문학석사(1997)
• 서울대학교 철학과 문학사(1995)
주요경력
• 前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 (2006 ~ 2021)
• 前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겸무교수(2008.9- 2021.8.)
• 제22차 세계철학대회 한국조직위원회 사무차장(2006.10-2008.12)
• 미국 뉴욕주립대학교(뉴팔츠) 철학과 조교수(2005.9-2006.8)
연구분야
• 언어철학, 분석철학사
총 8주차
• 강의계획표(Syllabus)
주차 | 개강일 | 학습내용 | 학습목표 | 평가 |
1주차 | 3월 7일 | 철학이란 무엇인가? | 철학이 어떠한 학문이고 철학적 문제들의 특징은 무엇이며 철학적 탐구가 어떤 의의를 갖고 있는지 검토한다. | 퀴즈 |
2주차 | 3월 14일 | 인공지능과 심신문제 | 몸과 마음의 관계에 대한 여러 철학적 입장을 검토하면서, 인공지능의 철학적 토대인 기능주의 이론을 알아본다. | 퀴즈 |
3주차 | 3월 21일 | 계산주의 마음 이론 | 기능주의를 바탕으로 모든 인지 과정을 계산적 과정으로 이해하는 계산주의 마음 이론을 살펴본다. | 퀴즈 |
4주차 | 3월 28일 | 설의 중국어 방 논증 | 계산주의 마음 이론에 대한 비판 중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설의 중국어 방 논증을 검토한다. | 퀴즈 |
5주차 | 4월 4일 | 인공지능이 할 수 없는 것? | 드레이퍼스와 포더의 논의를 중심으로 인공지능이 수행할 수 없는 인지 작용이 있는지 검토한다. | 퀴즈/토론 |
6주차 | 4월 11일 | 인공지능이 가질 수 없는 것? | 인공지능이 의식이나 자아, 자유의지를 가질 수 없다는 주장을 검토한다. | 퀴즈 |
7주차 | 4월 18일 | 인공지능과 윤리 | 인공지능과 관련된 대표적인 윤리적 쟁점들을 검토한다. | 퀴즈/토론 |
8주차 | 4월 25일 | 인공지능과 인간본성 | 인공지능 시대에 인간의 본성을 과연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지 고민해본다. | 퀴즈 |
9주차(평가) | 4월 25일 | 기말고사(4/25 ~ 5/2) | 기말고사 |
평가 비율 및 이수증 발급 기준
토론 | 퀴즈 | 기말고사 |
---|---|---|
20% | 40% | 40% |
※60점 충족 시 이수증 발부
교재
• 교재는 학습자료로 제공
※학습자료는 다운로드 가능
강좌 소개 영상
수강신청 기간
• 2023년 2월 21일(화) ~ 4월 18일(화)
운영 기간
• 2023년 3월 7일(화) ~ 5월 2일(화)
개설 방식
• 매주 1개 주차씩 순차 오픈(단, 기말고사 제외)
운영조교: 박희주(서울대학교 철학과)
이메일: hjbak@snu.ac.kr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