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스마트파밍 동영상

스마트파밍




Enrollment is Closed
강좌소개

세상은 다양하다. 그리고 각기 생명력을 가지고 변화 발전하고 있다.
그 어느 것도 가치가 없는 것이 없다.
예전부터 존재하는 농업도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고 또 끊임없이 변화 발전하고 있다.
그 변화 안에 스마트팜이 있다.
새로운 것을 창조하지는 못할지라도 도입해서 나에게 유용하게 만드는 것조차 늦어지면 기회를 놓치게 된다.
새로운 농업의 패러다임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보자. 스마트팜의 세계로 들어가 보자.
농업을 보는 눈이 달라진다. 자신의 인생과 주변의 세상이 달라질 수 있다.
생각은 행동을, 행동은 습관을, 습관은 미래를 바꾼다. 이 작은 한 걸음에 나의 미래가 달려있을 지도 모른다.
새로운 세상! 새로운 기회! 이 얼마나 행복한 순간인가.

The world is colorful. Each has been changing and developing with vitality.
Nothing is worthless.
There are very various kinds in the agriculture which has been existing from the old days.
It has been constantly shifting and developing.
In that change is Smart Farm.
Even if you can not create new things, if it's too late to introduce and make things useful for you, you will miss the opportunity.
Let's make a new agricultural paradigm our own. Let's get into the world of smart farming.
Your eyes on the agriculture will change. Life and the world around you can change.
Thinking changes behavior, behavior changes habits, and habits change your future.
This small step may possibly hold your future.
A new world! New opportunities! What a happy moment!


강좌일정

주차날짜주차 제목차시 제목
1 9월 3일 [1주차] Smart Farming의 이해 1. 산업의 발전
2. 농업의 발전, 농업에 대한 요구
3. 식물생산의 현황과 미래, Smart Farming의 이해
2 9월 10일 [2주차] Smart Farming의 조건 1. Smart Farming의 조건과 수준의 결정
2. Smart Farming의 조력자
3. Smart Farming의 가치
3 9월 17일 [3주차] 스마트 팜의 구성 - 시설 1. Smart Farming의 구성
2. 시설의 구조에 대한 이해
3. 시설의 구성과 특성
4 9월 24일 [4주차] 스마트 팜의 구성 - 설비 1. 설비의 개요
2. 설비의 종류 (1)
3. 설비의 종류 (2)
5 10월 1일 [5주차] 환경인자 및 계측 (1) 1. 환경인자의 이해
2. 광(빛, Light)
3. 온도(Temperature)
6 10월 8일 [6주차] 환경인자 및 계측 (2) 1. 습도(Humidity)
2. 탄산가스, 바람, 비와 눈
3. 기계작동, 영상계측, 계측설비
7 10월 15일 [7주차] 수경재배 시스템 1. 수경재배의 이해
2. 수경재배시스템의 이해
3. 배양액(비료가 함유된 물)
8

10월 22일 ~

10월 28일

중간고사
9 10월 29일 [9주차] 스마트 팜에서의 실제 토마토 생산 1. 토마토를 통한 식물에 대한 이해
2. 토마토의 생장에 대한 이해
3. 토마토의 재배관리
10 11월 5일 [10주차] 환경제어의 기본 논리 1. 환경제어의 이해
2. 온실 환경제어의 기본 흐름과 기본 논리
3. 연속제어(Continuous or Modulating Control)
11 11월 12일 [11주차] 온실 환경제어의 기본 1. 온실환경 제어에 필요한 사항
2. 온실 환경제어의 종류- 다단제어
3. 온실 환경제어의 종류- 사후제어와 사전제어
12 11월 19일 [12주차] 제어 실제 (Control in Practice) 1. 온도제어의 기본
2. 난방(Heating)
3. 환기(Ventilation)
13 11월 26일 [13주차] 습도 제어  (Humidity Control) 1. 습도와 작물과의 관계
2. 습도 제어
3. 습도 제어의 종류
14 12월 3일 [14주차] 스마트파밍의 실현 1. 복합 환경 관리
2. 복합환경제어프로그램
3. 스마트 파밍을 위한 정보, 스마트 파밍-작물, 환경과 경영을 통합 관리
15

12월 10일 ~

12월 16일

기말고사


성적평가방법

퀴즈 토론(생각해보기) 중간고사 기말고사
20% 20% 30% 30%
  • 총 15주차의 학습과 평가활동을 완료하고 정해진 이수 기준을 충족한 학습자에게는 이수증을 발급합니다.
  • 강의를 수강한 후 각 주차별 학습 활동(퀴즈, 토론-토론참여여부 필히 체크할 것)을 꼭 진행해주셔야 합니다.
  • 8주차와 15주차에는 평가가 이뤄집니다.
  • 전체 활동의 60점 이상을 이수한 학습자에게는 이수증을 발급할 예정입니다.


교수 소개

사진연혁
상명대학교 식물식품공학과 김영식 교수

김영식 교수
Prof. Young Shik Kim


고려대학교 원예학과를 졸업하고
동경대학교 원예학과에서 농학박사를 취득했다.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상명대학교 식물식품공학과 교수(식물제어 전공)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2017 시설 및 환경관리」, 「2017 작물관리」, 「내일을 위한 수경재배」,
「알기 쉬운 병충해와 생리장애」, 「알기 쉬운 토양 및 양분관리」 등 다수가 있다.



운영TA 소개

운영TA / 운영팀

운영TA

김길용

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식물식품공학과


rlffyd01@gmail.com


운영팀

교육미디어혁신센터


smu_mooc@smu.ac.kr
02-2287-5331, 5349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
  1. Subject

    Natural Sciences
    (Agriculture & Fisheries)
  2. 강좌 내용의 어려운 수준을 의미합니다. 교양, 전공기초, 전공심화 순으로 난이도가 증가합니다.

    Course difficulty

    beginner
  3. 강좌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기관입니다. 컨소시엄으로 운영 시, 대표기관의 명칭이 나타납니다

    Institution

    SMUCk
  4. 운영 기관의 전화번호 입니다.

    Phone

    -
  5. 강좌의 구성 주차 수를 의미합니다. (강좌를 충실히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주당 학습시간을 의미합니다.)

    Course Week
    (Estimated Effort)

    15week
    (주당 03시간 00분)
  6. 본 강좌 이수자에게 인정되는 학습시간으로 해당 강좌의 동영상, 과제, 시험, 퀴즈, 토론 등의 시간을 포함합니다. (강의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재생 시간의 총 합계입니다.)

    Accredited learning time
    (Video Duration)

    46시간 00분
    (17시간 42분)
  7. 수강신청이 가능한 기간으로 해당 기간 내에만 수강신청이 가능합니다.

    Registration Period

    2019.08.31 ~ 2019.10.20
  8. 강좌가 운영되고 교수지원이 이루어지는 기간입니다. 이수증은 강좌운영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Classes Period

    2019.09.02 ~ 2019.12.15
  9. Language

    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