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강좌에서는 원전의 핵심 테제를 간명하게 파악하여 동양 고전을 혼자 읽을 수 있는 독해 역량을 길러서 심화학습으로 나아가는 지적 용기를 기를 수 있다.
처음에 다소 낯설지라도 반복 학습을 통해 정확한 이해에 도달하여 강독할 수 있는 지적 소양을 갖추게 된다.
아울러 한국과 중국의 문헌을 포괄하여 유학의 전개와 확산을 자연스럽게 검토할 수 있게 한다.
과거의 지적 자산을 통해 현재와 미래의 이상을 설계하는 데 사상자원을 캘 수 있다.

* 구성: 총 14주차 × 주차당 각 2차시
* 개설: 순차적 개설 - 해당 주차일에 강의가 열리며, 지나간 강의는 언제든지 볼 수 있음
[철학 테제로 보는 유학 맛보기 강의]

강의 일정 주차 강좌명 1강 주역 1) 인간의 운명에 맞선 자강(自强) 논리
2) 주역의 기본 이해와 ‘자강(自强)’ 테제의 해설2강 서경 1) 인간의 다양성과 정의 실현
2) 서경의 기본 이해와 ‘정의’ 테제의 해설3강 시경 1) 욕망과 현실의 간극 그리고 예술적 표현
2) 시경의 기본 이해와 ‘유희’ 테제의 해설4강 춘추 1) 진실을 둘러싼 권력과 역사의 상충
2) 춘추의 기본 이해와 ‘진실’ 테제의 해설5강 예기 1) 언행의 학습과 관계의 발전
2) 예기의 기본 이해와 ‘관계’ 테제의 해설6강 논어 1) 지속적인 자기 교정과 타자의 관용
2) 논어의 기본 이해와 ‘관용’ 테제의 해설7강 맹자 1) 사유실험의 성선과 현실의 성악
2) 맹자‧순자의 기본 이해와 ‘성선’‧‘성악’ 테제의 해설8강 순자 1) 경향성의 맥락에서 바라본 ‘성악’
2) 인간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이해와 ‘청출어람’ 테제의 해설9강 대학/중용 1) 대학 교육의 가치와 사회적 확산 / 도덕적 삶의 지혜와 기술
2) 대학의 기본 이해와 ‘교육’ 테제의 해설 / 중용의 기본 이해와 ‘기준’ 테제의 해설10강 효경 1) 현생과 내세를 꿰뚫는 효도의 의의
2) 효경의 기본 이해와 ‘영생’ 테제의 해설11강 주자어류 1) 자연과 인간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2) 주자어류의 기본 이해와 ‘연속’ 테제의 해설12강 전습록 1) 도덕적 앎과 행위의 선순환 기제
2)전습록의 기본 이해와 ‘양지’ 테제의 해설13강 성학십도‧ 성학집요 1) 인간의 이원적 특성과 초월의 과제
2) 성학십도‧성학집요의 기본 이해 및 ‘구원’ 테제의 해설14강 목민심서 1) 사회적 역할의 완수와 이상사회의 실현
2) 목민심서의 기본 이해와 ‘공복’ 테제의 해설
* 평가점수 및 이수증 발급기준
이수기준 : 총점 70점 이상
평가점수 및 이수증 발급기준 구분 퀴즈 14회 과제 1회 토론 1회 평가(기말) 합계 점수 40점 20점 10점 30점 100점

![]()
신정근 교수
[프로필]
서울대학교 철학과 동대학원 철학박사
(현)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동양철학과 교수
(현)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학장/유학대학원 원장
(전)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소장
(현)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문화연구소 소장
(현) (사)인문예술연구소 이사장
(현) 웹진 ‘오늘의 선비’ 발행인 (http://www.ssp21.or.kr)
(현) 동일본국제대학 객원교수
[주요저서]
중용이란 무엇인가? (2019)
백가쟁명 1, 2 (2019)
동아시아 예술과 미학의 여정 (2018)
인권유학 (2017)
노자의 인생 강의 (2017)
공자의 인생 강의 (2016)
맹자여행기 (2016)
노자와 묵자, 자유를 찾고 평화를 넓히다 (2015)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 2 (2015)
공자의 숲, 논어의 그늘 (2015)
동양철학 인생과 맞짱 뜨다 (2014)
맹자와 장자, 희망을 세우고 변신을 꿈꾸다 (2014)
공자와 손자 역사를 만들고 시대에 답하다 (2014)
신정근 교수의 동양고전이 뭐길래? (2012)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 1 (2011)
사람다움이란 무엇인가 (2011)
사람다움의 발견 (2005)
동양철학의 유혹(2002)
설준영 튜터
학습지원[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 박사수료]
이메일 : akaseol@skku.edu
조종택 과장
기술 운영지원[성균관대학교 교무처 교육컨텐츠개발팀]
이메일 : ctcho@skku.edu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