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필]
일본 동경공업대학교, 재료물리전공, PhD(공학박사),
현) 성균관대학교 에너지과학과 정교수,
2015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열전분야: 세계최고성능소재 개발)
본 강좌는 열전 에너지 변환 분야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열전 소재 및 소자에 대한 종합적인 지식을 전달하고 실제 응용뿐만아니라 이론적인 연구에 대해서도 체계적으로 다루고자 합니다. 본 강좌로 열에너지와 전기에너지를 변화시킬 수 있는 열전기술분야 중 가장 핵심 기술인 소재와 소자에 대해 물리학과 재료과학을 기반으로 이해하고, 다양한 열전소재와 그 제조공정에 대해 파악하고자 합니다. 또한 고성능 소재 개발 및 고효율 소자 제작을 위한 최신 방법론을 소개하여 실제 응용 가능한 제품 및 적용 가능 영역에 대한 이해를 높입니다.
[프로필]
일본 동경공업대학교, 재료물리전공, PhD(공학박사),
현) 성균관대학교 에너지과학과 정교수,
2015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열전분야: 세계최고성능소재 개발)
* 구성: 총 10주차 × 주차당 각 2차시 (차시당 15~20분)
* 개설: 순차적 개설 - 해당 주차일에 강의가 열리며, 지나간 강의는 언제든지 볼 수 있음
* 평가기준: 퀴즈(2주당 1회) 30% / 과제(4, 9주차) 20% / 기말고사 50%
* 이수기준: 60% 이상
[맛보기 강의]
* 수강생 접수: 2018.02.12(월) ~ 2018.05.27(일)
* 운영 기간: 2018.03.05(월) ~ 2018.05.27(일) / 11주간
[강의 일정] 주차 강좌명 1강 열전현상과 변환 효율 1) 열전 에너지 변환 원리
2) 열전 에너지 변환 효율2강 열전 시스템의 현재와 미래 1) 열전 냉각 시스템
2) 열전 발전 시스템3강 열전 전달 현상 이론 1) 전기적 특성 이론
2) 열적 특성 이론4강 열전 소재 성능 1) 열전 소재
2) 열전소재 성능 증대 전략5강 열전 소재 제조 공정 1) 벌크형 소재 제조법
2) 박막형 소재 제조법6강 열전 성능 측정 1) 전기적 특성 평가
2) 열적 특성 평가7강 열전소재 : 냉각용 소재 1) Bi-Te계 소재
2) 냉각용 소재8강 열전소재 : 발전용 소재 1) Intermetallic Compounds
2) Skutterudite & Half-Heusler9강 열전소재 성능 증대 전략 1 1) PGEC
2) 나노구조화10강 열전소재 성능 증대 전략 2 1) 나노소재
2) 나노소재 특성
![]()
이호재 튜터(007hojae@skku.edu)
성균관대학교 에너지과학과 석박통합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