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보관하역론 동영상

보관하역론




본 강좌는 새로운 K-MOOC 플랫폼에서 운영하는 강좌입니다.

강좌 소개

수업내용/목표

무역화물이 운송되는 과정에서 보관과 하역은 반드시 거쳐야 하는 기업물류활동의 하나의 영역이다. 최근에는 물류센터의 역할이 단순 보관을 넘어 유통가공이나 IT를 활용한 물류정보시스템 도입을 통한 물류비 관리 등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역할로 그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 아울러 고가의 장비와 숙련된 인력을 필요로 하는 하역 분야에서도 하역시스템 개선을 통한 물류경쟁력 제고를 위해 다양한 활동이 수행되고 있다. 본 강좌를 통해 수강생들에게 보관과 하역에 대한 기본지식을 함양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보관하역실무를 강의함으로서 수강생들의 실무 능력 배양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한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1. 보관 및 창고에 대한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2. 창고업무와 시스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3. 물류정보시스템과 물류센터의 유형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4. 재고, 재고관리, 재고관리기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5. 하역합리화의 개념, 종류, 기본원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6. 6. 하역 장비와 장소별 하역방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7. 7. 보관 및 하역의 비용, 하역비 부담주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강좌 소개 영상

- 위 영상은 교수님께서 직접 본 강좌를 소개하는 홍보 영상입니다.
- 상단 강좌명 옆 수업 미리보기 버튼을 누르면, 강좌 샘플을 볼 수 있습니다.

강좌 운영 계획

 

강의계획서
주차 주차명 차시명 과제
1

보관/창고의 기초 개념

보관의 이해

퀴즈1

보관의 원칙

퀴즈1

창고의 의의와 종류

퀴즈1

창고운영형태의 결정

퀴즈1
2

창고업무

보관용구와 시설

퀴즈1

창고의 영역과 창고의 이용

퀴즈1

창고업무

퀴즈1

Order Picking

퀴즈1
3

보관시스템 설계

창고의 공간관리

퀴즈1

창고시스템 설계

퀴즈1

화자정비

퀴즈1

창고의 레이아웃

퀴즈1, 토론1
4

창고자동화

자동창고(1)

퀴즈1

자동창고(2)

퀴즈1

자동창고시스템

퀴즈1

자동창고운영 사례

퀴즈1
5

물류정보시스템과 WMS

물류정보시스템

퀴즈1

SCM

퀴즈1

WMS

퀴즈1

WMS 도입사례

퀴즈1, 과제1
6

물류센터와 물류시설

물류센터의 유형과 주요 기능

퀴즈1

크로스도킹

퀴즈1

물류시설

퀴즈1

수출입물품 보관시설 및 보관시설 현황

퀴즈1
7

재고관리

재고

퀴즈1

재고관리

퀴즈1

재고관리기법

퀴즈1

자재관리

퀴즈1
8

하역과 하역합리화

하역

퀴즈1

하역합리화

퀴즈1

하역합리화 방안(1)

퀴즈1

하역합리화 방안(2)

퀴즈1
9

하역실무

육상하역 기기 및 장비

퀴즈1

사내/창고/철도하역

퀴즈1

항공하역

퀴즈1

항만하역

퀴즈1
10

보관하역비용

보관비용

퀴즈1

하역비용

퀴즈1

항만하역요율

퀴즈1

수출입화물의 하역비용 부담

퀴즈1
기말시험

 

강좌운영팀 소개

교수자

이기희 professor
교수 이기희
현) 서울디지털대학교 무역물류학과 겸임교수
현) (사)한국관세물류협회 인천본부장

강좌지원팀

운영TA 이한솔, 이현지
서울디지털평생교육원 특성화사업단
E-mail: kmooc@sdulife.com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퀴즈 토론 과제 기말고사
반영비율 30% 10% 20% 40%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
  1. Subject

    Social Sciences
    (Business Administration & Economics)
  2. 강좌 내용의 어려운 수준을 의미합니다. 교양, 전공기초, 전공심화 순으로 난이도가 증가합니다.

    Course difficulty

    intermediate
  3. 강좌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기관입니다. 컨소시엄으로 운영 시, 대표기관의 명칭이 나타납니다

    Institution

    Seoul Digital University Foundation
  4. 운영 기관의 전화번호 입니다.

    Phone

    02-2128-2591
  5. 강좌의 구성 주차 수를 의미합니다. (강좌를 충실히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주당 학습시간을 의미합니다.)

    Course Week
    (Estimated Effort)

    11week
    (주당 01시간 00분)
  6. 본 강좌 이수자에게 인정되는 학습시간으로 해당 강좌의 동영상, 과제, 시험, 퀴즈, 토론 등의 시간을 포함합니다. (강의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재생 시간의 총 합계입니다.)

    Accredited learning time
    (Video Duration)

    14시간 30분
    (10시간 05분)
  7. 수강신청이 가능한 기간으로 해당 기간 내에만 수강신청이 가능합니다.

    Registration Period

    2021.11.30 ~ 2022.01.31
  8. 강좌가 운영되고 교수지원이 이루어지는 기간입니다. 이수증은 강좌운영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Classes Period

    2021.12.14 ~ 2022.02.21
  9. ※ 만족도 응답 표본 수 미달 등 일정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별점이 공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10. Video Transcript

    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