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커뮤니티예술활동의 이론과 실제 이미지

커뮤니티예술활동의 이론과 실제




Enrollment is Closed
강의계획서
SEOUL CYBER UNIVERSITY K MOOC
01. 강의내용 및 학습목표
▶ 강의내용

본 강좌는 묶음강좌 <청소년예술사회공헌지도사 과정>의 기초 과정에 해당한다. 이 과정은 예술을 중심으로 한 청소년 사회공헌 활동 및 청소년 커뮤니티 지원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본 강좌에서는 커뮤니티 예술활동에 필요한 이론과 실제 적용 방법에 대해서 다룬다. 이를 위해 음악을 비롯한 예술이 가지는 사회공헌 역할의 의미를 생각하고, 커뮤니티 구성원의 예술적 자원을 함양할 수 있는 예술지도방법에 대해서 학습한다. 예술커뮤니티를 구성하여 실행할 수 있는 기초 음악 활동으로 노래만들기, 악기연주, 즉흥연주, 음악감상과 예술활동을 학습하며, 예술커뮤니티 운영에서 뮤니티예술활동으로 오케스트라와 합창을 지도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도록 한다. 또한 커뮤니티예술사회공헌활동 실천 과정에서 필요한 실제적 요소들을 다양한 커뮤니티예술활동 운영 사례를 통해 학습할 수 있다. 본 강좌는 모든 강의 내용이 이론 강의와 함께 다양한 시연과 사례 영상을 만나볼 수 있는 실감형 강의로 구성되어 학습자의 이론과 실제의 학습을 돕는다.

▶ 학습목표

음악을 비롯한 예술이 가지는 사회공헌과 관련한 다양한 역할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커뮤니티 및 사회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구성원의 예술 활동 참여와 사회통합을 위한 예술활동을 학습하며 이를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커뮤니티 및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예술적 자원을 개발하고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커뮤니티가 요구하는 음악공동체(오케스트라, 합창단)를 구성하고 지도할 수 있다.

★ [묶음 과정] 홍보영상
★ 강의 홍보영상
02. 담당교수

여정윤 교수

여정윤 교수

현) 서울사이버대학교 음악치료학과 학과장/교수

▶ 학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임상음악치료전공(석사)

숙명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음악치료학 전공(철학박사, Ph.D)

▶ 경력

서울사이버대학교 음악치료학과 학과장/교수

한국융합예술심리학회 학회장

한국음악치료학회 이사 및 자격관리위원

전)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초빙교수

전) 서경대학교 교양학부 초빙교수

전) 서울시 예비사회적기업 '음악으로 행복한' 대표

전) 표진인정신과 부설 학습클리닉 '마음과 학습' 소장

임상음악전문가 1급(한국음악치료학회)

음악심리상담사 슈퍼바이저급(한국융합예술심리학회)

음악사역상담사 1급(한국융합예술심리학회)

미국 성악심리치료사 자격(AVPT, Music Psychotherapy Center)

인터넷중독상담사 2급(한국정보화진흥원)


백경실 교수

백경실 교수

현) 서울사이버대 음악치료학과 겸임교수

현) 창조음악치료센터장

현) 한양대학교 예술치료교육 및 상담 겸임교수

▶ 학력

숙명여대 음악치료대학원 석사(치유음악목회 전공)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상담학 박사

▶ 경력

사) 한국음악치료학회 임상음악전문가 1급

Music & Imagery Therapist(MIT)


이상후 교수

이상후 교수

현)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 오케스트라 지휘

▶ 학력

서경대학교 음악학부(바이올린)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졸업(바이올린, 지휘)

▶ 경력

서경대학교 강사(전공실기, 현악합주)

서울시우리동네예술학교 음악감독(구로)

중구청소년오케스트라 지휘 및 바이올린 지도

한국마사회 강북지부 다그닥오케스트라 음악감독

희망의 두드림오케스트라 지휘

마포유스오케스트라 지휘

가양청소년오케스트라 지휘


신혜진 교수

신혜진 교수

현) 서울사이버대학교 음악치료학과 겸임교수

▶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성악학과 학사

숙명여대 음악치료 대학원 임상음악치료 석사

▶ 경력

에듀케어 보육교사 교육원 강사

정샘아동청소년 발달센터 음악치료사

다하심리발달센터 음악치료사

전) 뮤직챠임 음악치료교육연구소, 더 사랑심리발달센터 숙명여대 음악치료센터, 창조음악치료센터 음악치료사

전)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그리스도 대학교 평생교육원, 서울장신대 선교대학원, 나사렛 대학교 특수교육학과 강사 역임

03. 주차별 학습내용
▶ 강좌구성
총 15주
▶ 강좌개설
순차적으로 개설하며, 해당 주차일에 강의가 열립니다.
주차별 학습내용
주차 주차명 소주제
1 커뮤니티 예술활동 이해하기 <커뮤니티 예술활동의 이론과 실제> 소개
<커뮤니티 예술활동의 이론과 실제>의 학습목표 이해하기
커뮤니티 예술활동의 정의
커뮤니티 예술활동의 유형
커뮤니티에서 예술활동의 필요성
커뮤니티 예술활동의 역할
2 커뮤니티 예술활동의 기본 개념 커뮤니티 예술활동의 기본 개념
커뮤니티 예술활동의 유형
커뮤니티 예술활동의 특질 1
커뮤니티 예술활동의 특질 2
전통적 예술활동과 커뮤니티 예술활동
커뮤니티에서 예술의 실천
3 예술커뮤니티의 실제 - 노래 만들기 노래만들기의 목적과 방법
가사토의란?
가사토의 실제
가사 만들기
가사 만들기 실제
음악 자서전
4 예술커뮤니티의 실제 - 악기 연주 악기연주의 목적과 방법
숫자 악보 활용
코드 악보 활용
음악적 게임
음악적 게임 실제
리듬 게임
5 예술커뮤니티의 실제 - 즉흥 연주 즉흥연주의 목적과 방법
악기소개 선율 악기 & 가죽 타악기
금속 타악기 & 기타 타악기
즉흥 연주 실제
개별 즉흥 연주
그룹 주제 표현하기
6 예술커뮤니티의 실제 - 음악과 미술 음악감상의 목적과 방법
음악의 단계
Music & Art
Music & Art 경험하기
음악과 동작 1
음악과 동작 2
7 커뮤니티 예술활동의 실제(오케스트라 1) 오케스트라 초견 연습 방법
오케스트라 파트 연습 방법 1
오케스트라 파트 연습 방법 2
오케스트라 파트 연습 방법 3
무대에서 연주 준비사항 알아보기
오케스트라 활동의 효과와 긍정적 요소
8 중간고사
9 커뮤니티 예술활동의 실제(오케스트라 2) 오케스트라 연습 방법의 이해 1
오케스트라 연습 방법의 이해 2
오케스트라 지도 기술 1
오케스트라 지도 기술 2
강사의 필요성과 역할의 이해
소규모 앙상블의 이해
10 커뮤니티 예술활동의 실제(오케스트라 3) 악기 편성의 이해
악기의 배치 방법 알기
현악기와 피아노의 이해
관악기와 타악기의 이해
곡 선정과 악보준비의 방법
음악적 기술 공유
11 커뮤니티 예술활동의 실제(합창 1) 합창의 기본개념 1
합창의 기본개념 2
화음과 리듬 경험
돌림노래의 이해
돌림노래의 실제 1
돌림노래의 실제 2
12 커뮤니티 예술활동의 실제(합창 2) 아카펠라와 합창 준비과정의 이해
워밍업의 이해와 실제
아카펠라의 실제 경험
합창곡에 대한 이해와 초기 연습 과정
공연전 연습과정을 통한 지도 방법의 실제
리허설과 공연까지의 실제
13 커뮤니티 예술활동의 실제와 과정 예술과 사회공헌의 관계 이해
예술 사회공헌의 사례
커뮤니티 예술활동의 실행의 고려사항 1
커뮤니티 예술활동의 실행의 고려사항 2
커뮤니티 예술활동 실행하기
커뮤니티 예술활동 참여적 과정 모델
14 예술커뮤니티 만들기 예술커뮤니티를 통한 공동체 활동
에술커뮤니티 운영을 위한 기본 내용
커뮤니티의 특성 파악하기
예술커뮤니티의 대상 이해하기
예술적 자원의 유형
예술적 자원의 선택과 활용
15 기말고사
04. 강좌 신청기간 및 강좌일정
▶ 강좌개강일정
2023년 1월 9일(월)
▶ 강좌신청기간
2023년 1월 9일(월) ~ 2023년 2월 5일(일)
▶ 강좌학습일정
2023년 1월 9일(월) ~ 2023년 2월 19일(일)
05. 이수기준

Pass/Fail (100점 만점에 종합성적 60점 이상인 경우 이수)

이수기준
퀴즈 토론 과제 중간고사 기말고사
13% 30% 17% 20% 20%
▶ 퀴즈
13회(매주)
▶ 토론
2회(4주차, 6주차)
▶ 과제
1회(3주차)
▶ 중간고사
1회(8주차)
▶ 기말고사
1회(15주차)
06. 담당 TA
박다애 T A 프로필 사진
박다애 TA
현) 온사랑 ABA연구소 ABA치료사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음악치료학과
E-mail : baoro9394@gmail.com
07.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본 강좌는 전공기초 수준으로 일반인 누구나 학습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선수요건은 없습니다.

08. 교재 및 참고문헌

최병철, 여정윤 외 (2015). 음악치료학(제3판) . 서울: 학지사.

백경실 외(2020). 원포인트숫자악보. 서울: 한소리북스.

Ansdell, G.(2013). How to music helps in music therapy and every life. Aldershot, UK: Ashgate.

Pavlicevic, M., & Ansdell, G.(2004). Community Music Therapy. London: Jessica Kingsley.

Stige, B., & Aarø, L. E.(2012). Invitation to Community Music Therapy. New York: Routledge.

How to music helps in music therapy and every life(2013). Ansdell, G. Aldershot, UK: Ashgate.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
  1. Subject

    Social Sciences
    (Social Sciences)
  2. 강좌 내용의 어려운 수준을 의미합니다. 교양, 전공기초, 전공심화 순으로 난이도가 증가합니다.

    Course difficulty

    intermediate
  3. 강좌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기관입니다. 컨소시엄으로 운영 시, 대표기관의 명칭이 나타납니다

    Institution

    Seoul Cyber University
  4. 운영 기관의 전화번호 입니다.

    Phone

    02-944-5258
  5. 강좌의 구성 주차 수를 의미합니다. (강좌를 충실히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주당 학습시간을 의미합니다.)

    Course Week
    (Estimated Effort)

    15week
    (주당 01시간 23분)
  6. 본 강좌 이수자에게 인정되는 학습시간으로 해당 강좌의 동영상, 과제, 시험, 퀴즈, 토론 등의 시간을 포함합니다. (강의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재생 시간의 총 합계입니다.)

    Accredited learning time
    (Video Duration)

    20시간 39분
    (15시간 41분)
  7. 수강신청이 가능한 기간으로 해당 기간 내에만 수강신청이 가능합니다.

    Registration Period

    2023.01.09 ~ 2023.02.19
  8. 강좌가 운영되고 교수지원이 이루어지는 기간입니다. 이수증은 강좌운영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Classes Period

    2023.01.09 ~ 2023.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