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강의내용 및 학습목표
웹시대 그리고 4차산업시대를 맞이하여 웹 콘텐츠, 웹 스토리 시장이 폭발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적인 웹 스토리전문 교육기관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교육기회가 부족합니다. 이에 따라 웹스토리 작가로서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과정을 개설하여 본 과정을 수강함으로서 웹 스토리의 창작능력 뿐 아니라 웹 적응력(미디어 리터러시)을 기를수 있고, 1인 스토리텔러 시대에 맞는 멀티미디어적 능력을 함양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자신의 작품을 대중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02 강좌소개영상
03 담당교수
![]() |
김용희 교수
현) 서울사이버대학교 문예기초철학/ 문학과 욕망 교수 [학력] 성균관대학교 행정학 박사(시인.수필가) [경력] 창조문예시 등단('빛바랜 사진'등)2016.06 월간문학공간 수필 등단(‘레옹의 화초’ 등) 2017.09 한국문인협회회원 국제펜협회회원 |
---|
04 주차별 학습내용
• 강좌구성 : 총 15주
• 강좌개설 : 순차적으로 개설하며, 해당 주차일에 강의가 열립니다.
주차 | 주차명 | 소주제 |
---|---|---|
1 | 신화와 스토리텔링 | |
신화의 일반적 개념과 의미 | ||
한국 신화의 특징 이해 | ||
신화일반의 사례학습을 통한 신화구조 이해 | ||
신화와 스토리텔링의 상관성 이해 | ||
2 | 인간과 웹 1 | |
디지털 사회 | ||
디지털 사회 과제 | ||
미래사회 | ||
3 | 놀이와 인간 | |
놀이하는 인간 | ||
노는 인간 | ||
호모 루덴스 | ||
4 | 로봇과 인간 | |
로봇시대 | ||
지식과 인간 | ||
호기심 인류학 | ||
5 | 문학을 위한 철학 1 | |
현대철학 1 | ||
현대철학 2 | ||
현대철학 3 | ||
6 | 웹문학과 인간 | |
소셜미디어 시대의 문학 | ||
디지털 콘텐츠 시장상황 | ||
디지털 욕망 | ||
7 | 한국문학의 특징 | |
한국문학 | ||
한국문학의 특징 | ||
한국문학의 활용 | ||
문학 현장학습 | ||
8 | 중간고사 | |
9 | 글을 잘쓰는 방법 9가지 | |
글쓰기 기초체력 | ||
글쓰기 기본기 | ||
글쓰기 실전 | ||
10 | 문학을 위한 철학 2 | |
현대철학 1 | ||
현대철학 2 | ||
종교적 인간관 | ||
11 | 문학과 인간 | |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 | ||
세익스피어의 <오셀로> | ||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 | ||
12 | 문학과 실존 | |
사르트르의 <구토> | ||
사뮈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 | ||
알베르 카뮈의 <페스트> | ||
T.S 엘리엇의 <칵테일 파티> | ||
13 | 웹문학의 특성과 의미 | |
웹문학의 시대 | ||
웹문학의 트렌드 | ||
웹문학의 전망 | ||
14 | 인간과 웹 2 | |
인간 인터넷 | ||
4차 인간 | ||
4차 산업혁명시대 문학의 현실과 미래 | ||
질의응답 | ||
15 | 기말고사 |
05 강좌 신청기간 및 강좌일정
•강좌개강일정 : 2022년 9월 26일(월)
•강좌신청기간 : 2022년 9월 19일(월) ~ 2022년 11월 1일(화)
•강좌학습일정 : 2022년 9월 26일(월) ~ 2022년 11월 20일(일)
06 이수기준
• Pass/Fail (100점 만점에 종합성적 60점 이상인 경우 이수)
퀴즈 | 토론 | 과제 | 중간고사 | 기말고사 |
---|---|---|---|---|
15% | 15% | 20% | 25% | 25% |
• 퀴즈 : 13회(매주)
• 토론 : 4, 10주차(2회)
• 과제 : 11주차(1회)
• 중간고사 : 8주차
• 기말고사 :
15주차
07 담당TA
![]() |
김기환
한성대학교 부동산 대학원 부동산경영학 석사 졸업 E-mail : k2h3329@hanmail.net |
---|
08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 이 강좌는 교양 수준의 강좌로 누구나 학습 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선수요건은 없습니다.
09 교재 및 참고문헌
10 자주 묻는 질문
Q.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A. 이 강좌를 듣기 위해 따로 준비해야 하는 교재는 따로 없습니다.
강의 수강시 참고하실 수 있도록 학습교안을 제공해드립니다.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