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모두를 위한 사회학 입문 Ⅰ 동영상

모두를 위한 사회학 입문 Ⅰ




본 강좌는 새로운 K-MOOC 플랫폼에서 운영하는 강좌입니다.

강좌 소개

수업내용/목표

우리가 알고 있는 현대 사회가 급속하게 새로운 모습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세계화와 정보화가 이끄는 거대한 변화는 우리의 삶을 송두리째 바꾸고 있습니다. 과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새로운 변화는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우리는 새로운 변화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이러한 질문에 대해 우리는 지적인 도전을 시도해야 합니다. 사회학 입문 강의는 ‘지금’ ‘여기’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체계적 지식을 제공할 것입니다. 이 강의는 문화, 가족, 조직, 노동, 교육, 계급, 국가, 사회운동, 지구화, 정보사회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현대사회의 변화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설명을 시도할 것입니다.

수강신청 기간

  • 모두를 위한 사회학입문Ⅰ: 2019.02.11~2019.04.21
  • 모두를 위한 사회학입문Ⅱ : 2019.03.25~2019.06.09(예정)

  • 강좌 미리보기

    강좌 계획

    강의계획표
    주차 주제 강의명 오픈일
    1주차 사회학의 기초 1. 사회란 무엇인가? 3/4
    2. 사회를 보는 두 가지 관점
    3. 구조인가, 개인인가?
    4. 사회학의 쓸모는 무엇인가?
    2주차 사회학의 방법 1.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 3/11
    2. 통계를 믿어도 될까?
    3. 여론조사가 틀리는 이유는?
    4. 함께 살아봐야 알 수 있다?
    3주차 사회의 비교 1. 자민족중심주의는 왜 틀렸는가? 3/18
    2. 문화적 상대주의의 도전
    3. 오리엔탈리즘이란 무엇인가?
    4. 문화가 중요하다
    4주차 자연과 사회 1. 인간은 동물인가? 3/25
    2. 이기주의인가, 이타주의인가?
    3. 자연선택의 원칙이 지배하는가?
    4. 사회는 유기체인가?
    5주차 성과 젠더 1. 오이디푸스 신화의 질문 4/1
    2. 낭만적 사랑은 사라지는가?
    3. 남자란 무엇인가? 여자란 무엇인가?
    4. 여성은 참고 있는가? 저항하고 있는가?
    6주차 노동과 산업 1. 노동하는 인간 4/8
    2. 포드주의의 등장과 약화
    3. 포스트포드주의와 유연전문화
    4. 탈산업사회의 노동
    5. 인간은 로봇으로 대체되는가?
    7주차 소유와 통제 1. 관리자본주의 혁명 4/15
    2. 기업 자본주의의 세 가지 모델
    3. 누가 기업을 통제하는가?
    4. 기업지배구조의 미래

    강좌운영진 소개

    담당 교수

    김윤태 교수 사진
    김윤태 교수
    ■ 경력
  • 고려대학교 공공정책대학 교수 (공공사회학 전공)
  •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교수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부회장
  •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소장
  • 중국 홍콩중문대학 객원연구원
  •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 초빙교수
  •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객원연구원
  • 영국 런던대학교 버벡칼리지 객원연구원
  • 국회도서관장
  • 국회 정책연구위원

    ■ 수상
  • 독일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FES) 연구장학생
  • 영국문화원 장학생
  • 한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 문화체육관광부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선정
  • 고려대학교 우수강의 수상

    ■ 학력
  • 군산고등학교 졸업
  •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대학원 졸업 (발전학 디플로마)
  • 영국 런던정경대학(LSE) 사회학 박사

    ■ 학술저서
  • 2019, "정치사회학: 국가, 권력, 정치변동의 사회학적 이해", 세창출판사.
  • 2018, "시민의 세계사", 휴머니스트. (개정판)
  • 2017, "불평등이 문제다", 휴머니스트.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 세종도서 선정)
  • 2017, "모두를 위한 사회과학", 휴머니스트. (개정판)
  • 2015, "복지국가의 변화와 빈곤정책", 집문당.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세종도서)
  • 2015, "사회적 인간의 몰락", 이학사.
  • 2013, "빈곤: 어떻게 싸울 것인가", 한울. 서재욱 공저. (한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2012, "한국의 재벌과 발전국가", 한울. (개정판)
  • 2012, "새로운 세대를 위한 사회학 입문", 휴머니스트. (개정판)
  • 2011, "교양인을 위한 세계사", 책과함께. (개정판)
  • 2008, "Bureaucrats and Entrepreneurs", Jimundang.
  • 2007, "자유시장을 넘어서", 한울.
  • 2007, "교양인을 위한 세계사", 책과함께. (문화관광부 우수교양도서)
  • 2000, "재벌과 권력", 새로운사람들.
  • 1999, "제3의 길: 토니 블레어와 영국의 선택", 새로운사람들.

    ■ 편저
  • 2019, "사회복지의 전환", 한울
  • 2017, "발전국가: 과거, 현재, 미래", 한울
  • 2016, "복지와 사상: 복지 이데올로기의 역사적 전환", 한울
  • 2014, "한국 정치, 어디로 가는가: 새로운 정치를 찾아서", 한울.
  • 2011, "세계의 정치와 경제", 방송대 출판부 (강수돌 공편)
  • 2010, "한국 복지국가의 전망: 새로운 도전, 새로운 대안", 한울. 한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2009, "창의성에 관한 11가지 생각", 고려대학교 출판부. (황준욱 등 공편)

  • 담당 운영자

    김민경 조교 사진
    김민경
  •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정책 석사과정 재학
  • kmk12800@naver.com
  •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 총 7주차의 학습활동에 대해 전반적으로 평가한 후, 정해진 성적 규정을 통과한 학습자에 한해 이수증을 발급합니다.
  • 퀴즈(100%)의 비중으로 성적에 반영됩니다.
  • 전체 학습활동을 평가한 결과, 50% 이상의 학습 성과를 획득한 학습자에게 이수증을 발급할 예정입니다.

  •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 이 강좌는 '모두를 위한 사회학입문Ⅰ','모두를 위한 사회학입문Ⅱ' 중 첫 번째 강좌인 '모두를 위한 사회학입문Ⅰ' 강좌입니다.
  • '모두를 위한 사회학입문Ⅱ'를 듣기 전에 이 강좌를 학습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교재 및 참고문헌

    1. 주교재

    교재 사진
    새로운 세대를 위한 사회학 입문
  • 김윤태 지음
  • 휴머니스트, 2012년
  • 2. 부교재
    • 김윤태, "모두를 위한 사회과학", 휴머니스트, 2017년(개정판)
    • 김윤태, "사회적 인간의 몰락", 이학사, 2016년
    • 앤서니 기든스, "현대사회학", 을유문화사, 2014년
    • 비판사회학회, "사회학: 비판적 사회 읽기", 한울, 2014년
    • 강의 슬라이드 및 참고자료 링크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
    1. Subject

      Social Sciences
      (Social Sciences)
    2. 강좌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기관입니다. 컨소시엄으로 운영 시, 대표기관의 명칭이 나타납니다

      Institution

      KOREA UNIVERSITY
    3. 운영 기관의 전화번호 입니다.

      Phone

      02-3290-1581
    4. 강좌의 구성 주차 수를 의미합니다. (강좌를 충실히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주당 학습시간을 의미합니다.)

      Course Week
      (Estimated Effort)

      07week
      (주당 03시간 00분)
    5. 본 강좌 이수자에게 인정되는 학습시간으로 해당 강좌의 동영상, 과제, 시험, 퀴즈, 토론 등의 시간을 포함합니다. (강의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재생 시간의 총 합계입니다.)

      Accredited learning time
      (Video Duration)

      21시간 14분
      (10시간 07분)
    6. 수강신청이 가능한 기간으로 해당 기간 내에만 수강신청이 가능합니다.

      Registration Period

      2019.02.11 ~ 2019.04.21
    7. 강좌가 운영되고 교수지원이 이루어지는 기간입니다. 이수증은 강좌운영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Classes Period

      2019.03.04 ~ 2019.04.21
    8. ※ 만족도 응답 표본 수 미달 등 일정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별점이 공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