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표
주차 |
주제 |
강의명 |
오픈일 |
1주차 |
리스크 관리 개요 |
1.1 리스크의 정의 |
2/7 |
1.2 리스크 관리의 필요성 |
1.3 리스크 관리 방법 |
1.4 리스크 관리 국가 표준 및 주요지침 |
2주차 |
ISO 31000의 이해 |
2.1 ISO 31000: 2018의 이해 |
2/7 |
2.2 ISO 31000의 필요성 |
2.3 ISO 31000의 프로세스 및 프레임워크 |
2.4 ISO 31000 연관 국제표준 |
3주차 |
프로젝트 관리와 리스크 관리의 관계 |
3.1 PRINCE2와 PMBOK |
2/14 |
3.2 PRINCE2의 리스크 관리 절차 |
3.3 PMBOK의 리스크 관리 절차 |
3.4 프로젝트 관리와 리스크 관리와의 관계 |
4주차 |
다양한 리스크 |
4.1 리스크의 분류 |
2/14 |
4.2 프로젝트/조직/자산 리스크 관리의 필요성 |
4.3 프로젝트/자산 리스크 관리 방법 |
4.4 프로젝트/조직/자산 리스크 관리 사례 |
5주차 |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기준 |
5.1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기준 |
2/21 |
5.2 K-Risk의 PRM 가이드라인 |
5.3 PRM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리스크 관리 활용 분야 |
5.4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리스크 관리 적용 사례 |
6주차 |
워크숍 기반 리스크 관리 기법 |
6.1 워크숍 기반 리스크 관리 |
2/21 |
6.2 워크숍 기반 리스크 관리의 필요성 |
6.3 워크숍 기반 리스크 관리 방법론 |
6.4 워크숍 기반 리스크 관리 적용 사례 |
7주차 |
리스크 관리 도구 및 기법 |
7.1 리스크 관리 도구 및 기법의 종류 |
2/28 |
7.2 리스크 관리 도구 및 기법의 활용 목적 |
7.3 리스크 관리 도구 및 기법의 활용 방법 |
7.4 리스크 관리 도구 및 기법의 활용 사례 |
8주차 |
중간고사 |
중간고사 |
2/28 |
9주차 |
리스크 관리 개요(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
9.1 특강 |
2/28 |
9.2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1 |
9.3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2 |
10주차 |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
10.1 MCS 프로그램을 통한 정량적 리스크 분석의 이해 |
3/7 |
10.2 MCS 프로그램을 통한 정량적 리스크 분석의 목적 |
10.3 정량적 리스크 분석을 위한 MCS 프로그램 종류 및 사용법 |
10.4 PRAM을 활용한 정량적 리스크 분석 방법 |
11주차 |
리스크 기반 견적법 |
11.1 리스크 기반 견적법의 이해 |
3/7 |
11.2 리스크 기반 견적법의 수행목적 |
11.3 리스크 기반 견적법의 수행방법 |
11.4 리스크 기반 견적법의 활용사례 |
12주차 |
리스크 기반 사업관리 계획 |
12.1 특강 |
3/14 |
12.2 Understanding for Planning approach in Project Overall Risk |
12.3 Understanding for Project Overall Risk In EVMS |
13주차 |
인지적 편향 |
13.1 인지적 편향의 이해 |
3/14 |
13.2 주요 인지적 편향 |
13.3 리스크 관리자가 알아야 하는 인지적 편향 |
13.4 인지적 편향의 실험적 고찰과 해결책 |
14주차 |
낙관주의 편향 |
14.1 낙관주의 편향의 이해 |
3/21 |
14.2 낙관주의 편향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 |
14.3 낙관적 편향의 해결책 |
14.4 낙관주의 편향 적용 사례 |
15주차 |
VE와의 통합 |
15.1 VE와 리스크 관리의 통합적 접근법의 이해 |
3/21 |
15.2 VE와 리스크 관리의 통합적 접근법의 수행목적 |
15.3 VE와 리스크 관리의 통합적 접근법의 수행방법 |
15.4 VE와 리스크 관리의 통합적 접근법의 수행사례 |
16주차 |
기말고사 |
기말고사 |
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