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한국 현대 연애시 개념과 특징 및 계보
|
1-1
|
K-MOOC과 한국 연애시의 관계
|
한국연애시 수강의 이점 및 필요성
|
1-2
|
한국 현대시의 계보
|
소개되는 시인들과 시의 시사적 위치
|
1-3
|
연애시는 왜 우리를 이끌어 올리는가?
|
연애시의 개념 및 장르적 특성
|
2
|
백석- 가난한 연인들의 사랑의 찬가(feat;화가 정현웅의 화문)
|
2-1
|
백석과 그의 시대
|
백석의 생애와 삶
|
2-2
|
시 읽어보기&시의 해석과 특징, 사랑의 말
|
출출이, 마가리, 고조곤히 등의 시어와 한국어의 특성의 연관성
|
2-3
|
백석의 시와 그 리좀(Rhizome)
|
정현웅의 시화 및 시인과의 관계, 시와 화문의 관계
|
3
|
황지우- ‘사랑한다’, 마지막을 위해 남겨둔 말
|
3-1
|
황지우와 그의 시대
|
황지우의 생애와 삶
|
3-2
|
시의 해석과 특징, 사랑의 말
|
일상어법의 대화체가 갖는 말의 힘
|
3-3
|
황지우의 시와 그 리좀
|
시인-예술가 시인의 계보와 그들 언어의 특징, 융합적 매체 감상
|
4
|
"기형도, [빈집]-연애 시, 상실한 뒤에야 쓰는 것"
|
4-1
|
기형도와 그의 시대
|
기형도의 생애와 삶
|
4-2
|
시의 해석과 특징
|
4-3
|
기형도의 시와 그 리좀
|
기형도가 사랑했던 것들 첫 번째
|
기형도가 사랑했던 것들 두 번째
|
5
|
한용운- 치유로서의 시, 측량할 수 없는 사랑의 말, 사랑의 역설
|
5-1
|
한용운과 그의 시대
|
한용운의 생애와 삶
|
5-2
|
시의 해석과 특징, 사랑의 말
|
승려인 시인의 생애와 연애시의 특징, 선(禪)적인 언어의 관계
|
5-3
|
한용운의 시와 그 리좀
|
치유로서의 만해시가 갖는 특징, 치유로서의 시의 기능
|
6
|
김수영- 위악 혹은 부끄러움의 몫
|
6-1
|
김수영과 그의 시대
|
김수영의 생애와 삶
|
6-2
|
시의 해석과 특징, 사랑의 말, 반어, 위악의 말이 갖는 힘
|
6-3
|
김수영의 시와 그 리좀
|
6-4
|
김수영이 좋아하고 싫어했던 것, 미술
|
김수영이 좋아하고 싫어했던 것, 음악
|
예술과 시의 언어적 특징과의 관계
|
7
|
문정희- 오빠, 그 달콤하고 숭고한 이름
|
7-1
|
문정희와 그의 시대
|
문정희 전기적 생애와 삶
|
7-2
|
시의 해석과 특징, 사랑의 말
|
문정희의 시와 그 리좀
|
7-3
|
‘오빠(oppa)’라는 말의 본질적 숭고와 한국의 가족주의
|
7-4
|
‘오빠(oppa)’라는 말에 대한 오해와 진실
|
8
|
중간고사
|
9
|
윤동주- 저만치 떠나가는 청춘의 사랑이 뱉은 말
|
9-1
|
윤동주와 그의 시대
|
윤동주의 생애와 삶
|
9-2
|
시의 해석과 특징, 사랑의 말
|
20대의 나이에 지나지 않은 시인이 회한 가득한 사랑의 말을 남긴 이유
|
9-3
|
윤동주의 시와 그 리좀
|
영화 「동주」,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의 스펙트럼이 보여주는 ‘윤동주의 시대’
|
10
|
김춘수- 그림의 언어로 말하는 사랑의 말
|
10-1
|
김춘수와 그의 시대
|
김춘수의 생애와 삶
|
10-2
|
시의 해석과 특징, 사랑의 말
|
화가 샤걀의 환상적인 그림에서 사랑의 이미지를 차용한 이유, 레싱의 ‘라오콘적 예술론’
|
10-3
|
김춘수의 시와 그 리좀
|
샤갈의 「나와 마을」과 김춘수 시의 비교, 반복만으로도 시적 아우라가 생기는 우리말의 특징
|
11
|
서정주- 도저히 참을 수 없는 사랑의 무거운 말
|
11-1
|
서정주와 그의 시대
|
서정주의 생애와 삶
|
11-2
|
시의 해석과 특징, 사랑의 말
|
‘가벼히’의 시어에 숨은 한국어의 특징과 한국적 서정의 묘미’
|
11-3
|
서정주의 시와 그 리좀
|
전북 방언의 특징 및 「격포우중」 등의 시와 한국어의 특징, 시인과 여성목소리(황진이, 선덕여왕)의 관계
|
12
|
황동규- 사랑, 그 사소한 까닭
|
12-1
|
황동규와 그의 시대
|
황동규의 생애와 삶
|
12-2
|
시의 해석과 특징, 사랑의 말
|
20대의 시인이 표현하는 사랑의 말의 깊이가 이루는 공감
|
12-3
|
황동규 시와 그 리좀
|
한국어 서간체 문장의 역사와 실례, 낭송시의 영상 이해
|
13
|
김소월- 거리두기의 사랑, 너무 멀지도 너무 가깝지도 않게 말하기
|
13-1
|
김소월과 그의 시대
|
김소월의 생애와 삶
|
13-2
|
시의 해석과 특징, 사랑의 말
|
우리 연애시의 기원과 근대시의 출발인 김소월 시의 관계, 노래(민요)와 우리말의 관계
|
13-3
|
김소월의 시와 그 리좀
|
가요 <개여울> 감상, 연애시가 아름다운 노래가 될 수 있는 이유
|
14
|
한국 연애시 갈무리
|
14-1
|
2-4주차 주요내용 정리
|
14-2
|
5-9주차 주요내용 정리
|
14-3
|
10-12주차 주요내용 정리
|
14-4
|
심화학습 희망학습자들을 위한 학습 안내
|
마무리 인사
|
15
|
기말고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