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소개

한국전쟁 이후 각지의 피란민을 품은 부산은 자생적으로 마을이 형성되면서 원도심으로 자리 잡았다. 피폐한 삶의 모습이 그대로 투영된 마을에는, 살아남아야 하고 삶을 이어가야 하면서도 다음 세대를 통한 희망을 꿈꾸었던 흔적이 역력하다. 이러한 흔적은 이제 도시재생의 전략에 의해 새로운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또한 부산은 바다와 강, 산을 골고루 갖춘 자연성과 함께 디지털 인프라도 잘 구축되어 있다. 이러한 조건은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를 가리지 않고 즐길 만한 문화로 연결되면서 휴양도시의 기능과 공간이 조성되어 세대 간의 소통력도 높이고 있다. 이 강좌에서는 이 같은 부산만의 스토리텔링을 활용해 도시 부산의 공간을 재조명하고 부산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학습목표

스토리텔링을 통해서 도시재생의 가능성을 지닌 도시 부산의 공간을 조명한다.
도시 부산의 공간과 그 속의 삶을 통해 세대 간 이질성ㆍ동질성ㆍ소통 가능성을 고찰한다.
강좌 소개 영상

수업계획

주차 | 주차명 | 차시 | 차시명(소주제) |
---|---|---|---|
1주차 |
흔적이 있는 공간 1, 치열한 생존-아미동 비석문화마을 |
1-1 | ㆍ아미동 비석문화마을 소개 ㆍ비석문화마을 사람들의 고단한 삶과 생존전략 ·소통을 꿈꾸는 공간 |
2주차 |
흔적이 있는 공간 2, 근대화-깡깡이 예술마을 |
2-1 | ㆍ깡깡이예술마을 소개 ㆍ깡깡이 소리와 고된 노동으로 점철된 근대화 ㆍ깡!깡! 열정의 공간 |
3주차 |
흔적이 있는 공간 3, 전후세대의 희망-보수동 책방골목 |
3-1 | ㆍ보수동책방골목 소개 ㆍ책 속에서 희망을 찾는 전후 세대 ㆍ희망과 보물의 공간 |
4주차 |
휴양이 있는 공간 1, 기차의 등장이 가져온 변화와 추억 |
4-1 | ㆍ송정 3포마을(구덕포, 청사포, 미포) 소개 ㆍ해변열차’ 등으로 개발된 관광상품 ㆍ바다와 인접한 부산의 휴양기능 |
5주차 |
휴양이 있는 공간2, 자연이 주는 치유력과 동양사상 |
5-1 | ㆍ송도해수욕장 소개 ㆍ장르를 아우르는 문화상품 ㆍ다양한 코드의 복합문화공간과 소통 |
6주차 |
휴양이 있는 공간3, 골목상권과 세대의 융합 |
6-1 | ㆍ전리단길 소개 ㆍ카페촌의 테마상품 ㆍ세대를 관통하는 문화와 소통 |
교수소개



TA소개


강좌지원팀

경성대학교 K-MOOC 강좌지원팀, helpksmooc@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