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동선수의 신체적 능력은 일반인들이 상상하고 흉내 내기 어려운 수준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이해하는 데는 생명과학과 생체역학이 바탕이 된 운동과학적 해설이 필요하며, 과학적 이해는 운동선수들에게 필수적인 과정이기도 합니다. 훈련을 통해서 극대화된 인체의 능력 한계는 어디까지이며, 지구력과 근력이란 무엇인지, 종목별 특수 능력은 어떤 것이 있으며, 끝없어 보이는 에너지의 생산과정과 그 관리는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왜 선수들은 도핑의 유혹에 빠지며, 이 모든 것들이 종합된 트레이닝의 원리는 무엇인지를 설명합니다.
수업목표
1) 일반인의 스포츠에 대한 이해와 재미를 높인다.2) 선수들이 수행하고 있는 트레이닝의 과학적 근거를 스스로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킨다.


목차 | 세부 목차 | |
---|---|---|
1 | 운동선수는 외계인? | 1. 운동선수는 외계인일까? |
2. 인간 대 동물 | ||
3. 스포츠의 탄생과 프로 운동선수 | ||
4. 운동선수의 탄생과 조건 | ||
2 | 운동과학의 시작과 발전 | 1. 운동과학의 시작 배경 |
2. 운동과학의 태동과 발전 | ||
3. 운동과학 주요 개념과 주제 | ||
3 | 운동선수의 신체능력 이해 | 1. 운동선수의 신체 조성 |
2. 운동선수의 체력 요인 | ||
3. 종합 스포츠 기량과 기록 | ||
4 | 지구력 훈련을 통한 신체 변화 | 1. 지구력은 어떤 능력을 말하는가? |
2. 지구력을 대변하는 VO2max | ||
3. 지구력 훈련을 하면 어떤 변화가 생기나? | ||
4. 훈련 효과의 한계와 개인차 | ||
5. Anaerobic 훈련에 따른 변화 | ||
5 | 저항성 훈련을 통한 신체 변화 | 1. 저항성 훈련이란? |
2. 훈련 효과의 기전 | ||
3. 저항성 훈련 적용 시 고려할 점 | ||
6 | 운동선수의 조건과 트레이닝 | 1. 스포츠 선수에게 요구되는 능력이란? |
2. 트레이닝 원리와 모형 | ||
3. 특별한 사례들로 본 스포츠과학의 어려움 | ||
7 | 스포츠영양학과 식이관리 | 1. 운동영양학의 중요성 |
2. 영양소의 종류와 기능 | ||
3. 스포츠영양학의 적용 | ||
4. 선수 영양관리 전략 | ||
8 | 중간 평가 | |
9 | 영양기능보조제의 활용 | 1. 에르고제닉에이드란? |
2. 영양학적 기능향상보조제 | ||
3. 탈수와 스포츠드링크 | ||
4. 기타 보충제 | ||
5. 기능성보조제와 영양관리 | ||
10 | 장내미생물과 스포츠 | 1. 장내미생물이란? |
2. 건강과 장내 미생물 | ||
3. 운동과 장내 미생물 | ||
4. 프로바이오틱스 | ||
5. 운동선수와 장내 미생물 관리 | ||
11 | 도핑의 유혹 | 1. 도핑의 정의 |
2. 도핑 금지 목록 | ||
3. 도핑 검사 규정과 절차 | ||
4. 도핑 안전을 위한 준비 | ||
12 | 스포츠과학의 다양성 | 1. 환경에 따른 훈련 효과 |
2. 유소년 운동선수 | ||
3. 여자 운동선수 | ||
4. 스포츠 심리학의 적용 | ||
5. 생체역학의 활용 | ||
13 | 미래 운동과학과 스포츠의 역할 | 1. 운동과학의 미래 가치 |
2. 운동과 건강 | ||
3. 미래의 스포츠 | ||
14 | 운동선수는 외계인으로 살아야 하나? | 1. 운동선수로 산다는 것 |
2. 운동선수로서 반드시 생각해 볼 주제 | ||
3. 선수와 일반인의 차이 | ||
4. 선배들의 자취와 조언 | ||
15 | 최종 평가 |

책임교수
![]() |
|
담당조교
![]() |
|
![]() |
|

이수/평가정보
구분 | 과제(13) | 중간평가(1) | 종합평가(1) |
---|---|---|---|
반영비율 | 30% | 30% | 40%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Q1. 수강 중 궁금한 것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수강 중 궁금한 부분은 교과목 내 [질의응답] 게시판에 작성해 주시면 담당 TA가 확인 후, 1~2일내 응답할 예정입니다.
Q2. 이수증은 언제 발급 되나요?
- 이수증은 수업이 종료되고 나서 성적처리가 완료된 후, 10~15일 이내 발급될 예정입니다.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