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과정은 문법 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한국어 문법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어 문법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제작된 강좌 입니다.
매 주차별로 한국어 문법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어떤 방법으로 한국어 문법을 가르칠 수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세부 목차 | |
---|---|---|
1 | 한국어 문법 교육의 일반론 | 1. 한국어와 국어 문법의 차이, 문법 교육의 필요성 |
2. 문법 교육 무용론, 문법 교육과 교수법 | ||
2 | 한국어 문법 교육의 내용 1 | 1. 문법 교육의 내용 구축 원리와 문법 교육의 대상 |
2. 문법 항목의 기술: '-(으)ㄴ/-는/-(으)ㄹ' | ||
3 | 한국어 문법 교육의 내용 2 | 1. 문법 항목의 기술: '-겠-' |
2. 문법 항목의 기술: '-(으)ㄹ 거예요', '-겠-'과 '-(으)ㄹ 거예요'의 비교 | ||
4 | 한국어 문법 교육의 내용3 | 1. 문법 항목의 기술: '-고', '-아서/어서', |
2. 문법 항목의 기술: 주어 위치의'이/가'와 '은/는', '-더-' | ||
5 | 한국어 문법 교육의 방법 1 | 1. 연역적/귀납적,입력/출력 중심,결과/과정 중심 문법 교육 |
2. PPP 모형 | ||
6 | 한국어 문법 교육의 방법 2 | 1. TTT 모형 |
2. 문법적 형태집중교육, 의미중심교육 | ||
7 | 한국어 문법 교육의 방법 3 | 1. 의미중심 형태집중교육 |
2. 의미중심 형태집중교육의 기법: 입력쇄도, 언어필수과제, 입력강화 | ||
8 | 한국어 문법 교육의 방법 4 | 1. 의미중심 형태집중교육의 기법: 오류 고쳐 되말하기, 딕토글로스 |
2. 의미중심 형태집중교육의 기법: 고의적 오류 유도, 의미협상, 출력강화 | ||
9 | 한국어 문법 교육과 피드백, 외국인 학습자의 문법 오류 분석 및 처치 | 1. 한국어 문법 교육과 피드백 |
2. 외국인 학습자의 문법 오류 분석 및 처치 | ||
10 | 최종 평가 |

책임교수
![]() |
|
담당조교
![]() |
|

이수/평가정보
구분 | 퀴즈(13) | 과제(4) | 종합평가(1) |
---|---|---|---|
반영비율 | 30% | 30% | 40%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Q1. 수강 중 궁금한 것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수강 중 궁금한 부분은 교과목 내 [질의응답] 게시판에 작성해 주시면 담당 TA가 확인 후, 1~2일내 응답할 예정입니다.
Q2. 이수증은 언제 발급 되나요?
- 이수증은 수업이 종료되고 나서 성적처리가 완료된 후, 10~15일 이내 발급될 예정입니다.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