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과정은 한국어 교육의 여러 하위 분야들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학에 대한 전반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작된 강좌 입니다.
매 주차별 한국어의 내용과 기능에 따른 교수방법과 한국어 교재와 교육과정에 대해 상세히 이해해 봅시다.


목차 | 세부 목차 | |
---|---|---|
1 | 한국어교육학의 기초 | 1. 한국어교육학 |
2. 한국어교육학과 인접 학문 | ||
2 | 한국어발음교육론 | 1. 한국어 발음 교육의 일반론 |
2. 한국어의 발음 교육의 내용 | ||
3. 한국어 발음 교육의 방법 | ||
3 | 한국어어휘교육론 | 1. 언어 교수에서 한국어 어휘 |
2. 한국어 어휘 교수 내용 | ||
3. 한국어 어휘 교수 방안 | ||
4 | 한국어문법교육론 | 1. 한국어 문법 교육의 일반론 |
2. 한국어 문법 교육의 내용 | ||
3. 한국어 문법 교육의 방법 | ||
5 | 한국문화교육론 | 1. 한국어 교육과 한국 문화 교육 |
2. 한국 문화 교육의 내용 | ||
3. 한국 문화 교육의 방법 | ||
6 | 한국어 말하기 교육론 | 1.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정의와 변천 |
2. 한국어 말하기 과정 | ||
3. 한국어 말하기 교수 방안 | ||
7 | 한국어 듣기 교육론 | 1. 한국어 듣기 교육의 정의와 변천 |
2. 한국어 듣기 과정과 듣기 능력 | ||
3. 한국어 듣기 교수 방안 | ||
8 | 한국어 읽기 교육론 | 1. 한국어 읽기 교육의 변천과 이해 모형 |
2. 한국어 읽기 방법과 전략 | ||
3. 한국어 읽기 교수 방안 | ||
9 | 한국어 쓰기 교육론 | 1. 한국어 쓰기 교육의 변천 |
2. 한국어 쓰기 교수의 이론적 배경 | ||
3. 한국어 쓰기 교수 방안 | ||
10 | 한국어 교육과정론 | 1.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
2.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 ||
3. 한국어 교수요목 유형 | ||
11 | 한국어 평가론 | 1. 평가의 개념 및 유형 |
2. 한국어 평가의 원리 및 요건 | ||
3. 언어 평가의 내용과 유형 | ||
12 | 한국어 교재론 | 1. 교재의 개념과 유형 |
2. 한국어 교재 개발의 단계 | ||
3. 한국어 교재 선택 및 제작 | ||
13 | 한국어 교수법 | 1. 언어 교수법의 변천 |
2. 언어 교수법 유형 | ||
14 | 최종 평가 |

책임교수
![]() |
|
공동 참여교수
![]() |
|
담당조교
![]() |
|

이수/평가정보
구분 | 퀴즈(13) | 과제(4) | 종합평가(1) |
---|---|---|---|
반영비율 | 30% | 30% | 40%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 |
세종학당재단, 『세종학당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
신지영, 장향실, 장혜진, 박지연 공저, 『한국어 교사가 꼭 알아야 할 한국어 발음 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글파크, 2015. |

Q1. 수강 중 궁금한 것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수강 중 궁금한 부분은 교과목 내 [질의응답] 게시판에 작성해 주시면 담당 TA가 확인 후, 1~2일내 응답할 예정입니다.
Q2. 이수증은 언제 발급 되나요?
- 이수증은 수업이 종료되고 나서 성적처리가 완료된 후, 10~15일 이내 발급될 예정입니다.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