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이미지로 따져 읽는 문화콘텐츠 동영상

이미지로 따져 읽는 문화콘텐츠




본 강좌는 새로운 K-MOOC 플랫폼에서 운영하는 강좌입니다.
KHU_이미지로 따져 읽는 문화콘텐츠_강좌소개 강좌소개
컴퓨터, 인터넷, 스마트 폰 등과 같이 이미지로 가득 찬 멀티미디어를 통해 사회와 소통하는 모바일 세대들에게 21세기의 문화는 어떻게 이해되는가?
문화는 더 이상 정신적, 추상적이라는 관점으로 해석되지 않고, 우리 삶의 전반에 걸쳐 작용하는 구체적이고 물질적인 차원의 문화콘텐츠로 진화하였다. 그렇다면 문자는 물론 음성, 음향, 이미지로 결합된 멀티 코드인 디지털 시대의 문화(콘텐츠)를 어떻게 감상하고 이해할 것인가?
본 강좌는 이미지 과잉의 시대를 맞아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문화콘텐츠의 논리적, 체계적, 구체적 분석과 감상을 통해 이 시대의 새로운 화두가 된 문화콘텐츠를 비판적으로 향유하기 위한 경험을 축적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미지 분석을 위해 인문학의 한 분야인 기호학(Semiotics)의 체계적 개념과 구제척 방법론을 적용할 것이다.
수업목표

- 21세기 새롭게 정의되는 문화 및 문화콘텐츠의 정의와 차이를 인식한다.
- 문화의 새로운 형태인 문화콘텐츠에 대한 인문학적 감상 방법을 구체적으로 정립해본다.
- 사진, 광고, 만화, 애니메이션, 영화 등의 문화콘테츠에 대한 이미지 중심의 해석과 감상을 통해 그 작품성과 예술성을 이해할 수 있는 경험과 능력을 기른다.
- 문화콘텐츠에 내재하는 지배 집단의 주도권 전략을 살펴봄으로써 해당 문화콘텐츠에 대한 비판적 향유를 통해 디지털시대 문화지식인으로서의 능력을 갖춘다.

홍보영상

강의일정

이미지로 따져 읽는 문화콘텐츠_강의일정
학습일자 주차 주차명 강의내용
09/07 1 문화, 21세기의 새로운 패러다임 1-1 문화의 정의와 공통점
1-2 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문화 비평 2.0 (누구에게나 열린 비평)
09/14 2 문화콘텐츠, 문화와 경제의 접점 2-1. 예술적 소유와 대중적 소비
2-2. 문화상품과 문화콘텐츠
09/21 3 시, 텍스트 해석의 출발 3-1. 시적 감동과 시의 중의성
3-2. 시의 이미지와 기호학적 해석
09/28 4 사진(1), 이미지 분석의 매트릭스 4-1. 예술로서의 사진의 역사
4-2. 사진의 내적 특성
10/05 5 사진(2), 로베르 드와노의 사진 <시청 앞에서의 키스> 5-1. <시청 앞에서의 키스>의 표층 공간
5-2. <시청 앞에서의 키스>의 심층 세계
10/12 6 광고(1), 소비와 욕망의 변주 6-1. 광고 이미지에 숨겨진 의미
6-2. 소비의 욕구와 욕망의 가치
10/19 7 광고(2), ktf의 시리즈 광고_KTF적인 생각 <강의실> 7-1. 이동통신 브랜드의 광고 전략
7-2. KTF 광고 <강의실>편
10/19~10/23 8 중간고사
10/26 9 만화(1), 만화, 상상력의 통로 9-1. 만화 매체의 변화와 이미지의 공간
9-2. 만화의 이야기와 상상력의 공간
11/02 10 만화(2), 동화 <짜장면>과 <만화 짜장면>의 스토리와 플롯 10-1. 동화 <짜장면>과 <만화 짜장면>의 스토리와 플롯
10-2. <만화 짜장면>의 스토리텔링과 상상력
11/09 11 애니메이션 (1), 애니메이션, 문화콘텐츠의 OSMU 11-1. 애니메이션의 기원과 기술적 변화
11-2. 디즈니 애니메이션과 <라이온 킹>
11/16 12 애니메이션 (2), 애니메이션 <라이온 킹>의 신화 분석 12-1. <라이온 킹>의 계급주의와 오리엔탈리즘 신화
12-2. <라이온 킹>의 가부장제와 선민 의식 신화
11/23 13 영화 (1), 대중문화를 선도하는 문화콘텐츠 13-1. 영화의 탄생과 과학적 발견
13-2. 영화 문법과 <8월의 크리스 마스>
11/30 14 영화 (2), 영화 <8월의 크리스 마스>의 예술성과 상업성 14-1. <8월의 크리스 마스>의 문화적 가치, ‘머뭇거림’
14-2. ‘머뭇거림’ 속 예술성과 상업성의 변주
12/07 15 문화콘텐츠, 서사와 스토리텔링 15-1. 문화콘텐츠, 서사와 스토리텔링
12/14~12/18 16 기말고사

이수기준

이수증 경희대학교 이미지로 따져 읽는 문화콘텐츠
이수 기준(60%)을 통과하면 이수증이 발급됩니다.
※ 이수증은 종강 후 2주 이내에 발급됩니다.
학점인정을 위해 수강하는 경우 종강일을 반드시 확인하고 수강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이수기준
자기소개(1) 설문조사(1) 함께 생각해보기(14) 성찰일지(7) 퀴즈(14) 중간고사(1) 기말고사(1) 총합
5% 5% 10% 10% 20% 25% 25% 100%

참여교수
책임교수

김기국 대표교수
김기국 교수

 김기국 대표교수

    現) 경희대학교 외국어대학 프랑스어학과 교수
    경희대학교 외국어대학 불어불문학 학사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불어불문학 석사
    프랑스 파리-소르본느 대학 불어학 박사(문학기호학 – 시)
    2007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isiting Scholar
    2013 CST Claremont School of Theology, Visiting Scholarr

문의사항

문의사항별담당TA
담당TA
  교과목 관련 문의사항
  경희 K-MOOC 강좌운영팀

  경희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GSN
  kmooc@khu.ac.kr
경희대학교
  시스템 관련 문의사항
  경희 K-MOOC 강좌운영팀

  경희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GSN
  kmooc@khu.ac.kr

우수사례영상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
  1. Subject

    Humanities
    (Human Sciences)
  2. 강좌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기관입니다. 컨소시엄으로 운영 시, 대표기관의 명칭이 나타납니다

    Institution

    KYUNG HEE UNIVERSITY
  3. 운영 기관의 전화번호 입니다.

    Phone

    031-201-3951
  4. 강좌의 구성 주차 수를 의미합니다. (강좌를 충실히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주당 학습시간을 의미합니다.)

    Course Week
    (Estimated Effort)

    16week
    (주당 02시간 00분)
  5. 본 강좌 이수자에게 인정되는 학습시간으로 해당 강좌의 동영상, 과제, 시험, 퀴즈, 토론 등의 시간을 포함합니다. (강의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재생 시간의 총 합계입니다.)

    Accredited learning time
    (Video Duration)

    25시간 00분
    (16시간 00분)
  6. 수강신청이 가능한 기간으로 해당 기간 내에만 수강신청이 가능합니다.

    Registration Period

    2020.08.17 ~ 2020.12.05
  7. 강좌가 운영되고 교수지원이 이루어지는 기간입니다. 이수증은 강좌운영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Classes Period

    2020.09.07 ~ 2020.12.19
  8. Video Transcript

    한국어,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