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날 우리들의 삶과 사회를 특징짓는 유형무형의 자산들은 르네상스와 함께 탄생한 서구의 근대문명에서부터 출현하였습니다. 근대문명은 그 이전 시대의 문명이 지니고 있던 다양한 정치적 경제적 사상적 딜레마를 극복하면서 오늘날 우리가 누리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형식들을 만들어 내었습니다. 이 강좌는 이러한 근대문명의 형성과정을 과학혁명과 사상혁명, 민주주의와 인권의 탄생, 시장사회의 발전, 개인과 대도시의 출현이라는 항목들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합니다. 또한 서양에서 형성된 근대문명이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 미친 영향과 이로 인해 대두된 현대사회의 새로운 문제들을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 강좌의 초점은 우리가 계승하고 발전시켜야 할 근대문명의 유산과 그렇지 않은 유산은 무엇인지를 분석해보고 평가해 보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돌파하기 위한 해법과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비전은 무엇인지 진지하게 고민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모듈 | 학습일자 | 주차명 | 차시명 |
---|---|---|---|
MODULE 1 후마니타스 (유정완교수) |
09/04 | 1. 후마니타스 |
모듈소개 |
후마니타스와 교양교육 |
|||
우리는 왜 근현대 세계를 이해해야 하는가 |
|||
MODULE 2 과학혁명, 근대적 세계관의 탄생 (이진오교수) |
09/11 | 2. 과학혁명으로 세상을 뒤집다 |
모듈소개 |
과학혁명은 무엇인가? |
|||
개미, 거미, 벌과 귀납법 |
|||
09/18 | 3. 과학기술로 자신을 넘어서다 |
과학정신과 인간의 자기창조 |
|
시인을 닮은 과학자 |
|||
포스트휴먼 시대, 과학기술의 성과와 과제 |
|||
MODULE 3 계몽사상과 이성의 진보 (임승필교수) |
09/25 | 4. 계몽사상과 빛의 시대 |
모듈소개 |
사페레 아우데! 계몽의 시대가 열리다 |
|||
과학혁명과 계몽사상 |
|||
10/02 | 5. 이성, 관용, 진보 |
우리는 현재 계몽된 사회에 살고 있는가? |
|
관용은 왜 중요한가? |
|||
인류사회와 진보 |
|||
MODULE 4 시민의 등장과 민주주의 (김종원교수) |
10/09 | 6. 권리와 권력의 원천을 묻다 |
모듈소개, 신에서 인간으로 |
시민의 동의에 기초한 정부 |
|||
인민주권과 민주주의 |
|||
10/16 | 7. 민주주의와 혁명 |
변화의 조건들 |
|
파괴한 것과 만들어낸 것 |
|||
혁명의 이념과 과제 |
|||
MODULE 5 자본주의 체제의 성립과 전개 (고 원교수) |
10/23 | 8. 자본주의 경제의 성립 |
모듈소개 |
상업의 부활 |
|||
산업혁명 |
|||
10/30 | 9. 자본주의 사회의 전개 |
스미스와 마르크스 |
|
풍요와 갈등 |
|||
시장이 지배하는 사회 |
|||
MODULE 6 개인과 대도시 (이은정교수) |
11/06 | 10. 개인의 발견 |
모듈소개, 개인은 누구인가? |
주체의 자각과 근대사회 |
|||
한국사회에서 개인주의란? |
|||
11/13 | 11. 근대적 생활세계, 메트로폴리스 |
대도시의 탄생 |
|
우리는 왜 도시에 열광하는가? |
|||
소설가 구보씨와 서울 풍경 |
|||
MODULE 7 동아시아의 근대 경험 (김민철교수) |
11/20 | 12. 동쪽으로 온 파도 |
모듈소개, 세 나라, 세 갈래 서로 다른 길 |
어떤 논리로 대응했는가 |
|||
내 탓이오-사회진화론 |
|||
11/27 | 13. 한국의 근대경험 |
세 남자 이야기 : 최익현, 유길준, 전봉준 |
|
식민지시대를 어떻게 이해할까 |
|||
압축근대, 한강의 기적과 ‘난장이들’ |
|||
MODULE 8 현대 세계의 빛과 그림자 (전체) |
12/04 | 14. 세계화시대의 과제 |
신자유주의의 확산 |
약화된 민주주의 |
|||
과학기술과 환경문제 |

![]() |
![]() |
[주교재]
『우리가 사는 세계: 인문적 인간이 만드는 문명의 지도』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저, 천년의상상, 2015) |
[부교재]
『문명전개의 지구적 문맥Ⅱ: 우리가 사는 세계』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재편찬위원회,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5) |

이수 기준(65%)을 통과하면 이수증이 발급됩니다.
자기소개(1) | 주차별 퀴즈(6) | 토론(6) | 성찰일지(8) | 기말고사(1) | 총합 |
---|---|---|---|---|---|
5% | 20% | 25% | 20% | 30% | 100% |

책임교수
![]() |
Module 1 - 유정완 교수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서울캠퍼스 학장 뉴욕시립대학교 대학원 영문학 박사 한국 미국소설학회 부회장 경희대학교 영어학부 교수 |
모듈 담당교수

![]() |
교과목 관련 문의사항 경희 K-MOOC 강좌운영팀 경희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GSN kmooc@khu.ac.kr 031-201-3950 |
![]() |
시스템 관련 문의사항 경희 K-MOOC 강좌운영팀 경희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GSN kmooc@khu.ac.kr 031-201-3950 |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