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호모 폴리티쿠스 : 우리가 만든 세계 동영상

호모 폴리티쿠스 : 우리가 만든 세계




Course Description

    오늘날 우리들의 삶과 사회를 특징짓는 유형무형의 자산들은 르네상스와 함께 탄생한 서구의 근대문명에서부터 출현하였습니다. 근대문명은 그 이전 시대의 문명이 지니고 있던 다양한 정치적 경제적 사상적 딜레마를 극복하면서 오늘날 우리가 누리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형식들을 만들어 내었습니다. 이 강좌는 이러한 근대문명의 형성과정을 과학혁명과 사상혁명, 민주주의와 인권의 탄생, 시장사회의 발전, 개인과 대도시의 출현이라는 항목들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합니다. 또한 서양에서 형성된 근대문명이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 미친 영향과 이로 인해 대두된 현대사회의 새로운 문제들을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 강좌의 초점은 우리가 계승하고 발전시켜야 할 근대문명의 유산과 그렇지 않은 유산은 무엇인지를 분석해보고 평가해 보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돌파하기 위한 해법과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비전은 무엇인지 진지하게 고민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contents

[맛보기 강좌]

1주차 1차시 강의 보기
1주차 3차시 강의 보기
prerequisites

본 수업의 교재와 참고 문헌은 아래와 같습니다.

▶ 주교재
book
• 『문명전개의 지구적 문맥Ⅱ: 우리가 사는 세계』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재편찬위원회,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5)

▶ 부교재
book
• 『우리가 사는 세계: 인문적 인간이 만드는 문명의 지도』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저, 천년의상상, 2015)

course-staff

■ 책임교수

Course Staff Image #1






▶ 모듈1(1주차) - 유정완 교수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서울캠퍼스 학장
뉴욕시립대학교 대학원 영문학 박사
한국 미국소설학회 부회장
경희대학교 영어학부 교수

■ 모듈 담당교수

teachers

■ 담당TA

Course Staff Image TA1



• 김병진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객원교수
경희대학교 국어국문과 박사수료
주요 논문 : 「박태원의 [갑오농민전쟁]에 대한 남북한의 문학적 평가」

Course Staff Image TA2



• 정의진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강사
프랑스 몽펠리에 3대학 문학박사
대표 저서 : 『우리 시대의 프랑스 연극』

questions

교과목 관련 문의사항
- 담당TA 김병진(E-Mail: mukacs@khu.ac.kr)
- 담당TA 정의진(E-Mail: jej10@hanmail.net)

시스템 관련 문의사항
- 경희대학교 GSN(Tel:031-201-3586, E-Mail: kmooc@khu.ac.kr)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
  1. Subject

    Social Sciences
    (Social Sciences)
  2. 강좌 내용의 어려운 수준을 의미합니다. 교양, 전공기초, 전공심화 순으로 난이도가 증가합니다.

    Course difficulty

    beginner
  3. 강좌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기관입니다. 컨소시엄으로 운영 시, 대표기관의 명칭이 나타납니다

    Institution

    KYUNG HEE UNIVERSITY
  4. 운영 기관의 전화번호 입니다.

    Phone

    031-201-3951
  5. 강좌의 구성 주차 수를 의미합니다. (강좌를 충실히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주당 학습시간을 의미합니다.)

    Course Week
    (Estimated Effort)

    15week
    (주당 03시간 00분)
  6. 본 강좌 이수자에게 인정되는 학습시간으로 해당 강좌의 동영상, 과제, 시험, 퀴즈, 토론 등의 시간을 포함합니다. (강의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재생 시간의 총 합계입니다.)

    Accredited learning time
    (Video Duration)

    18시간 02분
    (14시간 59분)
  7. 수강신청이 가능한 기간으로 해당 기간 내에만 수강신청이 가능합니다.

    Registration Period

    2015.10.13 ~ 2016.01.31
  8. 강좌가 운영되고 교수지원이 이루어지는 기간입니다. 이수증은 강좌운영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Classes Period

    2015.11.02 ~ 2016.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