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는 모두 세계시민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강좌를 통하여 모두가 지구촌 문제들을 잘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기여하는 세계시민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세계시민교육, 지구공동사회의 시민으로 살기’는 세계화를 통해서 상호 연결되고 상호 의존된 개개인이 세계시민으로서의 정체성을 인식하고 세계시민으로서 추구할 가치와 시각을 배우는 강의입니다. 우리가 ‘세계시민’이 되기 위해서는 지구촌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이해하고, 해결방안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는 능력과 문제해결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강의를 통하여 세상을 보다 정의롭고 지속가능한 공동체로 만들기 위하여 우리들의 지식을 높이고 실천할 수 있는 힘을 키워 보도록 하겠습니다.
- 세계화, 세계시민, 세계시민사회 개념과 특징의 학습
- 인권, 다문화, 환경, 자원, 정보화 등에 관련된 지구촌 공동문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이해와 해결책의 모색
- 세계시민으로서의 가치와 역할의 학습
- 세계시민사회에서 능동적 시민으로 살아가기 위한 태도와 실천방안의 학습

모듈 | 학습일자 | 주차명 | 차시명 |
---|---|---|---|
MODULE 1 세계시민교육: 개념과 실체 (김 현교수) |
04/03 | 1. 세계시민교육이란? |
모듈소개 |
세계시민, 세계시민교육Ⅰ |
|||
세계시민, 세계시민교육Ⅱ |
04/10 | 2. 세계화와 지구시민사회 |
세계화란 무엇인가 |
지구시민사회(Global Civil Society)의 출현과 역할Ⅰ |
|||
지구시민사회(Global Civil Society)의 출현과 역할Ⅱ |
|||
MODULE 2 다양성과 윤리 (송경재교수) |
04/17 | 3. 문화다양성과 다문화사회 |
모듈소개, 한국의 다문화 현실 |
문화다양성과 다문화 사회 |
|||
문화다양성과 다문화 사회의 걸림돌은 무엇인가? |
|||
04/24 | 4. 정보화와 사이버윤리 |
사이버 윤리 제대로 알고 있나? |
|
정보사회의 이해와 바라보는 시각 |
|||
세계시민교육과사이버 윤리의 필요성 |
|||
MODULE 3 인권과 사회정의 (백범석교수) |
05/01 | 5. 한국 아시아 그리고 인권 |
모듈소개 |
인권이란 |
|||
대한민국에서의 인권 |
|||
05/08 | 6. 사회정의와 불평등 |
아시아에서의 인권 |
|
인권, 시민사회 그리고 국제연대 |
|||
사회정의와 불평등 |
|||
MODULE 4 자원과 분쟁 그리고 국제사회 (최현진교수) |
05/15 | 7. 천연자원 거버넌스 |
모듈소개 |
공유지의 비극과 자원분쟁 |
|||
자원보존을 위한 국제협력 |
|||
05/22 | 8. 내전과 보호책임스 |
내전의 현황과 원인Ⅰ |
|
내전의 현황과 원인Ⅱ |
|||
국제평화유지활동과 보호책임 |
|||
MODULE 5 환경과 동아시아 공동체 (정종필교수) |
05/29 | 9. 환경과 지속가능발전 |
모듈소개, 환경과 지구문제 |
환경문제와 지속가능발전 |
|||
동아시아 물관리의 문제점과 대책 |
|||
06/05 | 10. 동아시아 공동체에서 더불어 살기 |
동아시아 시대의 도래와 공동체의 설립 |
|
동아시아공동체와 지구시민사회의 과제 |
|||
동아시아공동체는 가능한가? |
|||
MODULE 6 인간안보와 사회적 책임성 (박한규교수) |
06/12 | 11. 인간안보와 인도주의 |
모듈소개, 인간안보와 사회적 책임성 |
인간안보와 국제사회의 인도주의적 노력 |
|||
유엔과 인간안보 : 인간안보와 유엔의 역할 |
|||
06/19 | 12. 지구적 나눔과 자원봉사활동(volunteer works) |
지구적 연민과 배려 |
|
지구적 실천과 나눔 |
|||
나의 작은 실천, 세상을 바꾸다 |
|||
MODULE 7 세계시민교육의 가치 |
06/26 | 13. 세계시민으로서의 가치와 태도(송경재 교수) |
모듈소개, 세계시민의식에 대한 인식 |
우리에게 필요한 세계시민 가치는? |
|||
바람직한 세계시민 |
|||
07/03 | 14. 세계시민교육, 지구공동사회의 시민으로 살아가기(전체) |
공개강좌 1 |
|
공개강좌 2 |
|||
공개강좌 3 |

<주교재는 없습니다>
<참고문헌>
- 유네스코, 『글로벌시민교육 : 21세기 새로운 인재 기르기』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14.
- 유현석, 『국제정세의 이해 : G2 시대 지구촌 어젠다와 국제관계』 제4개정판, 한울, 2013.
- 존 베일리스 외 공저, 하영선 외 옮김, 『세계정치론』 6판, 을유문화사, 2015.
- Margaret P. Karns & Karen A. Mingst 공저, 김계동 외 옮김,
『국제기구의 이해 : 글로벌 거버넌스의 정치와 과정』 제2판, 명인문화사, 2011.
- UNESC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s, 2015.
[참고문헌 보기]
- United Nations Global Issues. [참고문헌 보기]

이수 기준(65%)을 통과하면 이수증이 발급됩니다.
자기소개(1) | 퀴즈(6) | 참여과제(7) | 성찰일지(7) | 기말고사(1) | 총합 |
---|---|---|---|---|---|
5% | 20% | 25% | 20% | 30% | 100% |

![]() |
Module 1 - 김 현 교수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City University of New York 정치학 박사 한국정치학회 이사 한국국제정치학회 이사 경희대 인류사회재건연구원 원장 |

![]() |
교과목 관련 문의사항 경희 K-MOOC 강좌운영팀 경희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GSN kmooc@khu.ac.kr 031-201-3950~5 |
![]() |
시스템 관련 문의사항 경희 K-MOOC 강좌운영팀 경희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GSN kmooc@khu.ac.kr 031-201-39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