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를 배워 한국인과 의사소통을 하고 나아가 한국에서 생활해 봅시다.”
한국인과의 의사소통, 한국어에서의 생활을 위해 한국어를 학습하는 강의입니다. 누구든지 언제 어디서든지 실제 현장을 기반으로 살아있는 한국어를 배울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한국어를 부탁해 : 한국어 중급 Ⅱ]을 수강하면 TOPIK 3급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본 강의는 학습자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지하면서도 단계적이며 체제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음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전반부에서는 실제 현장을 담은 영상 자료가 제시되는데 이를 통해 듣기 능력을 점검합니다.
중반부에서는 목표 의사소통 기능과 이에 대응하는 문법/표현을 학습합니다.
후반부에는 앞서 배운 문법/표현이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살펴봄과 동시에 TOPIK 관련 학습이 이루어집니다.
수업목표
- 한국어로 친숙한 사회적 주제에 대해 비교적 유창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 한국어로 대상과 상황에 따라 격식과 비격식 표현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 의사소통 상황에 따라 한국어 구어와 문어를 구분하여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다.
- 한국어능력시험(TOPIK) 3-4급에 응시할 수 있다.
학습일자 | 주차명 | 차시명 | |
08/31 | 1. 반말하기 |
시험은 잘 봤어? |
|
30분 뒤에 교문에서 만나자. |
|||
TOPIK! 따라잡기 |
|||
현장 속으로! GO GO |
|||
한국문화 더하기 |
09/07 | 2. 경험한 일을 근거로 말하기와 행동/상태의 전환 표현하기 |
너 잘하던데 중국에서 농구했니? |
학교에 오다가 넘어져 다쳤어요. |
|||
TOPIK! 따라잡기 |
|||
현장 속으로! GO GO |
|||
한국문화 더하기 |
09/14 | 3. 완곡하게 물어보기와 추측 말하기 |
여기에다가 이름과 전화번호를 써 주세요. |
액정만 교체해도 꽤 비쌀 텐데, 돈은 있니? |
|||
TOPIK! 따라잡기 |
|||
현장 속으로! GO GO |
|||
한국문화 더하기 |
|||
09/21 | 4. 추측, 의도, 반복되는 행동이나 일 나타내기 |
이 원피스 좀 작아 보이지 않아요? |
|
신상품만 나오면 자제하지 못하고 사곤 해요. |
|||
TOPIK! 따라잡기 |
|||
현장 속으로! GO GO |
|||
한국문화 더하기 |
|||
09/28 | 5. 설명하기와 결심이나 의지 표현하기 |
내가 경기 지원 자원 봉사자거든. |
|
그럼 지하철을 타고 가야지. |
|||
TOPIK! 따라잡기 |
|||
현장 속으로! GO GO |
|||
한국문화 더하기 |
10/05 | 6. 행동이나 상태가 어느 쪽에 가까움을 표현하기 |
내 마음에 딱 맞는 집을 찾기가 어렵네. |
새 집치고 싸게 나왔어요. |
|||
TOPIK! 따라잡기 |
|||
현장 속으로! GO GO |
|||
한국문화 더하기 |
10/12 | 7. 양보, 완료 나타내기와 선후 관계 이야기하기 |
아무리 연결해도 오류 메시지만 나와요. |
몇 가지 점검하다 보면 됐는데 이번에는 안 되네요. |
|||
TOPIK! 따라잡기 |
|||
현장 속으로! GO GO |
|||
한국문화 더하기 |
10/19 | 8. 이유나 근거, 사동 표현하기, 추측하기 |
오늘이 네 생일이고 해서 내가 미역국을 끓여 왔어. |
몇 가지 점검하다 보면 됐는데 이번에는 안 되네요. |
|||
TOPIK! 따라잡기 |
|||
현장 속으로! GO GO |
|||
한국문화 더하기 |
|||
10/26 | 9. 의지, 금지 표현하기, 질문하거나 확인하기 |
날짜와 시간이 겹치고 말았네! |
|
얼마나 다행인지 몰라. |
|||
TOPIK! 따라잡기 |
|||
현장 속으로! GO GO |
|||
한국문화 더하기 |
|||
11/02 | 최종평가 | 기말고사 |
이수 기준(60%)을 통과하면 이수증이 발급됩니다.
※ 이수증은 종강 후 2주 이내에 발급됩니다.
학점인정을 위해 수강하는 경우 종강일을 반드시 확인하고 수강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자기소개(1) | 주차별 퀴즈(12) | 참여과제(3) | 성찰일지(3) | 기말고사(1) | 총합 |
---|---|---|---|---|---|
5% | 25% | 20% | 20% | 30% | 100% |
책임교수
![]() |
박동호 책임교수
경희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
前)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회장 前)경희대학교 언어교육원/평생교육원 원장 |
공동 참여교수
![]() |
김유미 교수
경희대학교 언어교육원 교수
한국멀티미디어 언어교육학회 학술연구이사 경희대학교 평생교육원 교수 |
![]() |
교과목 관련 문의사항 경희 K-MOOC 강좌운영팀 경희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GSN kmooc@khu.ac.kr |
![]() |
시스템 관련 문의사항 경희 K-MOOC 강좌운영팀 경희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GSN kmooc@khu.ac.kr |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