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소개
홍보/예시 영상
강좌 운영 계획
주차 |
주차명 |
차시명 |
과제 |
1 |
새 왕조 서화의 복고풍과 안평대군 이용 |
새 왕조 조선과 서화의 복고풍(復古風) |
퀴즈 |
서화를 사랑한 제왕, 왕실 사람들 |
퀴즈 |
||
세종의 아들, 안평대군이용에게주어진 과제 |
퀴즈 |
||
새 왕조의 새 세대, 집현전 학사들과 이용 |
퀴즈 |
||
소설 <수성궁몽유록>의 ‘김진사’가쓴 글씨 |
퀴즈 |
||
기념비적 글씨, <몽유도원기> |
퀴즈 |
||
2 |
왕조를 대표한 화가, 안견 |
200년을 지속한 영향을 남긴 화가 안견(安堅) |
퀴즈 |
안견의작품 중에는 왜 ‘전칭작’이 많을까? |
퀴즈 |
||
조선 회화의 전형이 된 <사시팔경도> |
퀴즈 |
||
왕자의 꿈을 화폭에 그려낸 <몽유도원도> |
퀴즈 |
||
안견의 화풍을 추종한 사대부들 |
퀴즈 |
||
시대에 따라 변한 안견의 위상 |
퀴즈 |
||
3 |
시대 예술의 모범 사례 - 이경윤, 이징 부자(父子) |
버림받은 종실, 그림으로 이름난 형제 |
퀴즈 |
수묵화 속에 투영한 자아, 이경윤의 인물화 |
퀴즈 |
||
세속에서 벗어나려는 지향과 좌절을 그린 이경윤의 산수화 |
퀴즈 |
||
울면서 그림 공부를 멈추지 않은 아이, 이징(李澄) |
퀴즈 |
||
왕조의 위기극복과 부흥에 그림이 기여할 수 있을까? |
퀴즈 |
||
신이 내린 화가였다 단청꾼으로 불리운 이징 |
퀴즈 |
||
4 |
백대에 남길 글씨, 서예가 한호(韓濩) |
십대에 즉위한 왕, 선조의 숙제 |
퀴즈 |
명필 한호(韓濩) |
퀴즈 |
||
제도와 재주의 협업이 만든 명필 |
퀴즈 |
||
<해서 천자문>, 중국과 일본으로 수출된 조선의 글씨 |
퀴즈 |
||
국왕의 호의(好意), 그 속에 담긴 한호의 문화사적 책임 |
퀴즈 |
||
후대 사람들은 한호의 글씨를 어떻게 말할까? |
퀴즈 |
||
5 |
문제아에서 그림의 신(神)으로 불린 화가 김명국(金明國) |
조선 서화에 등장한 로커(Rocker) |
퀴즈 |
뛰어난 화가의 자질, 더 뛰어났던 생활능력 |
퀴즈 |
||
김명국은 과연 패륜아였을까? |
퀴즈 |
||
<달마도>에서 보여준 호방함에 환호했던 세상 사람들 |
퀴즈 |
||
뒤바뀐 세상의 평가 “진정한 그림의 귀신은 김명국” |
퀴즈 |
||
우리 시대에 전하는 김명국의 그림들 |
퀴즈 과제 |
||
6 |
선비의 아이러니, 조영석(趙榮祏, 1686~1761) |
고법(古法)을 이해하고 재현하려는 서화가 |
퀴즈 |
붕당(朋黨)의 재건을 위해 고심하는 사대부 |
퀴즈 |
||
왕의 효심을 자극한 그림 솜씨, <조영복초상> |
퀴즈 |
||
왕의 초상화 제작에 동원될 뻔한 사대부의 입장 |
퀴즈 |
||
스스로 배반한 절필 선언, <사제첩> |
퀴즈 |
||
조선 풍속화의 선구자가 되다 |
토론 |
||
7 |
대가(大家) 정선(鄭歚) |
정선의 배경: 개성의 시대 |
퀴즈 |
고법(古法)을 체득(體得)하여 자가화(自家化)에 성공한 화가 |
퀴즈 |
||
금강산 여행과 친구들 |
퀴즈 |
||
여행의 기억을 저장하는 법, 기행산수 유행과 정선 |
퀴즈 |
||
진경산수화 |
퀴즈 |
||
진경산수화의 정점, <인왕제색도> |
퀴즈 |
||
8 |
18세기의 모더니스트, 이인상(1710~1760) |
그림을 부탁 받고 글씨를 써 준 서화가 이인상 |
|
자신에게 철저했던 사대부, 친구들로부터 사랑받은 재주꾼 |
퀴즈 |
||
실험정신, <설송도>의 비밀 |
퀴즈 |
||
진경산수화의 새로운 지평, <구룡연> |
퀴즈 |
||
옛것에관한 지적 호기심을 반영한 부채 그림들 |
퀴즈 |
||
그의 예서에는 서권기, 문자향이 있다 |
퀴즈 |
||
9 |
신선 같은 화원화가 김홍도(1745~1806) |
국왕의 화가로 성장한 안산의 어린이 |
퀴즈 |
풍속화가 김홍도, 민족화가 김홍도 |
퀴즈 |
||
화원이라고 규정할 수만 없는 ‘개인’ 김홍도 |
퀴즈 |
||
사대부 문인의 취향 |
퀴즈 |
||
옛것과 음률의 취미 |
퀴즈 |
||
우리 시대의 김홍도, 그의 걸작은? |
퀴즈, 과제 |
||
10 |
김정희, 대중 너머에 있는 아름다움을 찾았던 학자 예술가 |
해서 이전의 서체, 예서 |
퀴즈 |
옛 글씨를 찾아 답사에 열중했던 서예가 |
퀴즈 |
||
진실을 위한 고심, 글씨 <침계> |
퀴즈 |
||
사람의 가치에 관한 정성스러운 그림 <세한도> |
퀴즈 |
||
형식을 뛰어넘은, 참신한 과거에 대한 사유, <불이선란도> |
퀴즈, 시험 |
강좌운영팀 소개
교수자

- 류승민 교수
- 현)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
- - 고려대학교 한국미술사 전공
- - 2008~현재: 고려대학교, 서울시립대, 한국전통문화대 강사
- - "능호관 이인상의 산수화 연구" 등
- -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2013, 태학사), [한국서화가인명사전](2011, 국립문화재연구소] 등
- 공저
강좌지원팀

-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 홈페이지(국문): https://ocks.korea.ac.kr
- 홈페이지(eng): https://ocks.korea.edu/ocks_en
- e-mail: ocks.helpdesk@gmail.com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
퀴즈 |
과제 |
기말고사 |
반영비율 |
60% |
20% |
20% |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이 강좌는 유익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재 및 참고문헌
이 강좌는 여러가지 참고자료가 많이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가 있나요?
https://ocks.korea.ac.kr/ocks/k/FAQ.do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제목
소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