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소련에서의 고려인 사회 형성과 발전
KAEP_INHA
강좌 소개
홍보/예시 영상
강좌 운영 계획
주차 |
주차명 (주제) |
주차별 학습 목표 |
차시 |
차시명 |
학습내용 |
||||
1 |
두만강을 건너는 조선 백성들 |
조선후기에 나타난 통치 내용과 백성들이 두만강으로 떠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를 이해할 수 있다. |
1-1 |
왜 이주(移住)를 하는가? |
1-2 |
철종이 통치하던 조선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나? |
|||
1-3 |
목숨을 걸고 두만강을 건너는 사람들 |
|||
1-4 |
19세기 말 러시아 연해주 상황 |
|||
1-5 |
연해주에서의 조선인의 삶 |
|||
1-6 |
레자노프(Lezanov)중위와 지신허(地新墟, Tizinkhe) |
|||
2 |
2차 한인의 이주 |
연해주에서 전개한 항일독립운동을 이해한다. |
2-1 |
일제식민지 시대의 시작 |
2-2 |
연해주로 이주한 독립운동가들 |
|||
2-3 |
1917년 10월 혁명과 연해주 한인 |
|||
2-4 |
연해주에서의 독립운동 |
|||
2-5 |
4월 참변 |
|||
2-6 |
자유시참변 |
|||
3 |
스탈린과 연해주 한인 |
스탈린의 연해주 한인에 대한 정책을 이해한다. |
3-1 |
레닌의 약소민족 정책 |
3-2 |
스탈린의 등장 |
|||
3-3 |
스탈린 집권 이후 연해주 정치 상황 |
|||
3-4 |
스탈린 집권 이후 연해주에서의 독립운동 상황 |
|||
3-5 |
한인 사회의 고난 |
|||
3-6 |
1937년8월 21일 |
|||
4 |
강제이주의 시작과 끝 |
국가 없는 사람들의 역사가 얼마나 비참한지 알아본다. |
4-1 |
강제이주 관련 소련 정부 문서 내용 |
4-2 |
강제이주 시작 |
|||
4-3 |
강제이주 출발 |
|||
4-4 |
강제이주 여정 |
|||
4-5 |
강제이주 종료 |
|||
4-6 |
한인이 아닌 고려인 |
|||
5 |
중앙아시아에서의 새로운 정착 과정 |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에 도착한 후 고려인이 어떤 마음이었을지 이해해본다. |
5-1 |
중앙아시아와 한민족의 교류사 |
5-2 |
카자흐스탄은 어떤 곳인가? |
|||
5-3 |
우즈베키스탄은 어떤 곳인가? |
|||
5-4 |
움막집 |
|||
5-5 |
집단농장 |
|||
5-6 |
맨손으로 땅을 일구다. |
|||
6 |
중앙아시아에서 고려인은 어떻게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었나? |
고려인의 우수한 영농기술이 결국 그들의 성공적인 정착에 가장 큰 무기였음을 이해할 수 있다. |
6-1 |
집단농장 제도 |
6-2 |
고려인은 어떻게 농사를 지었는가? |
|||
6-3 |
고려인 집단농장의 탁월한 생산량 |
|||
6-4 |
잉여생산물로 새로운 정착촌을 만들다. |
|||
6-5 |
세계 2차 대전 발발 |
|||
6-6 |
스탈린에게 복수를 하다. |
|||
7 |
소련의 대표적인 김병화 집단농장은 어떻게 탄생했나? |
중앙아시아에서 고려인이 성공적으로 정착하는데 집단농장과 이를 지도한 고려인 영웅이 있었음을 이해한다. |
7-1 |
‘김병화 집단농장’의 역사 |
7-2 |
김병화 그는 누구인가? |
|||
7-3 |
김병화 리더십 |
|||
7-4 |
김병화 농장의 발전사 |
|||
7-5 |
사회주의이중노동영웅 |
|||
7-6 |
당당한 소련의 시민으로 인정받게 된 고려인 |
|||
8 |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는 고려인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 |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와 시장경제로의 체제 전환이 고려인에게 어떤 고통으로 나타나는지 이해해본다. |
8-1 |
1991년 소비에트연방 붕괴 이전의 고려인 사회 |
8-2 |
소비에트연방은 어떻게 붕괴되었을까? |
|||
8-3 |
중앙아시아 5개국의 독립과 사회 변화 |
|||
8-4 |
시장경제체제로의 전환이 고려인 사회에 미친 영향 |
|||
8-5 |
고본질과고려인 무국적자 |
|||
8-6 |
고려인 475세대 |
|||
9 |
고려인의 3차 이주는 어떻게 전개되었을까? |
고려인의 3차 이주 과정에 나타난 고통을 이해해본다. |
9-1 |
왜 고려인은 3차 이주를 결심했을까? |
9-2 |
떠나는 자와 버티는 자 |
|||
9-3 |
연해주로의 재이주 |
|||
9-4 |
러시아로의 이주 |
|||
9-5 |
한국으로의 이주 |
|||
9-6 |
3차 이주 과정에 나타난 문제들 |
|||
10 |
현재 한국에서 고려인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
고려인에게 한국은 마지막 정착지가 될 것인지 예상해본다. |
10-1 |
3차 정착지 안산 뗏골과 인천 함박마을 |
10-2 |
한국 정부의 고려인 정책 |
|||
10-3 |
한국 내 고려인 실태조사 결과 |
|||
10-4 |
한국어 |
|||
10-5 |
상생 |
|||
10-6 |
한국이 고려인의 마지막 정착지가 될 수 있을까? |
강좌운영팀 소개
교수자

- 성동기 교수
- · 소속 :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 교수
- · 학력 :
- - 우즈베키스탄 Institute of History, Academy of Sciences 박사
- · 연구분야 : 중앙아시아/러시아
강좌지원팀

- 박지현 TA
- · 소속 :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정치외교학과
- · 학력 :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 전공
- · E-mail: vanessa9874@naver.com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
퀴즈 |
토론 |
총점 |
빈영비율 |
50% |
50% |
100% |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이 강좌는 유익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재 및 참고문헌
별도의 참고 교재는 없습니다. 학습자료가 제공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