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한국의 의회정치 이미지

한국의 의회정치




본 강좌는 새로운 K-MOOC 플랫폼에서 운영하는 강좌입니다.

강좌 소개

수업내용/목표

이 강의는 1987년 민주화 이후 대한민국 국회가 전반적으로 어떻게 구성되고 운영되어 왔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강의에서 국회의 구성과 운영은 국회의 제도와 제도 안에서 움직이는 정치 행위자의 행태 등 두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한다. 제도와 정치 행위자의 행태 사이의 상호작용을 살펴보면서 대한민국 국회의 성장과 한계를 조명한다.

홍보/예시 영상

강좌 운영 계획

주차

주차명

(주제)

주차별 학습 목표

차시

차시명

학습내용

1

대한민국 국회 들어가기

한국의 국회를 이해하기 위한 배경지식으로 독립 이후 한국의 정치사를 권력구조의 변천에 초점을 맞추어 간략히 살펴본다.

1-1

강의목표

1-2

강의주제별 소개

1-3

독립과 제1공화국

1-4

박정희의 제3공화국

1-5

유신체제와 제5공화국

1-6

6공화국: 87년 체제

2

국회의원 선거제도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제도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천되어 왔는지, 그리고 현행 국회의원 선거제도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살펴본다.

2-1

선거제도란 무엇인가?

2-2

선거제도의 유형

2-3

한국의 선거제도 변천과정: 제헌국회~16대 국회

2-4

17대 국회~20대 국회: 1 2표 병립형  

2-5

21대 국회: 준연동형 선거제도

2-6

공직선거법과 국회의원의 선거운동

3

의원의 충원

대한민국에서 국회의원 충원이 어떠한 제도적 절차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지 이해한다. 또한 그와 같은 충원의 결과 어떠한 종류의 의원들이 국회를 구성하게 되는지 살펴본다.

3-1

정치적 충원이란?

3-2

대의민주주의에서 정당 공천의 의미

3-3

공천제도의 유형: 하향식 vs. 상향식

3-4

현행 국회의원 후보자 공천제도

3-5

공천방식으로서의여론조사

3-6

어떤 의원이 충원되는가?

4

국회의 구성과 리더십

대한민국 국회의 원구성과 쟁점, 교섭단체의 정의와 권한, 국회의장의 리더십 성격에 대해 알아본다.

4-1

국회 개원(開院)과 원구성

4-2

원구성의 쟁점

4-3

교섭단체

4-4

국회의 리더십 선출    

4-5

국회의장의 직무와 권한

4-6

국회의장의 리더십: 중립적 vs 당파적

5

국회 상임위원회 제도

국회 상임위원회 중심주의, 유형과 업무, 위원 배분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5-1

상임위원회 중심주의

5-2

상임위원회 유형과 소관사항

5-3

특별위원회와 소위원회

5-4

상임위원회 위원 배정: 이익분배이론

5-5

상임위원회 위원 배정: 정보확산이론

5-6

상임위원회 위원 배정: 정당이익이론

6

국회 입법과정

법안 발의에서 상임위원회 심사, 본회의 심의절차 등 입법이 이루어지는 구체적 과정을 알아본다.

6-1

법안의 발의

6-2

상임위원회 법안 심사: 일반적 절차

6-3

상임위원회 법안 심사: 예외적 절차

6-4

본회의 심의절차

6-5

본회의 심의의 특징

6-6

국회 입법과정의 특징

7

국회의 예산 결산 심의과정

국회의 예산·결산 심의가 필요한 이유를 알아보고 어떠한 절차를 거쳐 이루어지는 알아본다.

7-1

국회의 예산 결산 심의가 왜 필요한가?

7-2

국회의 재정통제권

7-3

정부의 예산안 편성 절차

7-4

국회 예산심의 과정: 예비심사

7-5

국회 예산심의 과정: 예결위의 종합심사

7-6

국회 결산심의 과정

8

국회의 대행정부 견제기능

권력의 분립과 권력 간 견제와 균형을 원칙으로 하는 대통령제를 채택한 대한민국에서 국회와 행정부 간의 상호견제를 어떻게 제도화하였는지 살펴본다. 또한 국회의 대통령이나 행정부에 대한 견제가 어떤 측면에서 한계를지니고 있는지 알아본다.

8-1

대통령제의 권력분립과 견제와 균형

8-2

입법에 관한 대통령의 권한

8-3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견제수단

8-4

행정부에 대한 국회의 견제수단: 국정감사와 국정조사

8-5

행정부에 대한 국회의 견제수단: 대정부 질문

8-6

위임입법에 대한 국회의 통제

9

국회와 사법부

삼권분립의 원칙 속에서 사법부와 입법부가 서로를 견제하기 위해 어떠한 제도적 수단을 지니고 사용하는지 알아본다. 또한 정치의 사법화가 대의민주주의 발전에 있어 어떠한 문제점을 지니는지 이해한다.

9-1

삼권분립과 사법부의 역할

9-2

국회에 대한 사법부의 견제 권한: 위헌법률심판과 헌법소원심판

9-3

국회에 대한 사법부의 견제 권한: 권한쟁의심판

9-4

사법부에 대한 국회의 견제 권한: 사법부의 구성과 운영

9-5

사법부에 대한 국회의 견제 권한: 법관의 탄핵

9-6

정치의 사법화

10

국회의원 윤리와 정치자금

국회의원의 윤리적 의무가 어떻게 규정되어 있고, 이를 위반하였을 때 어떠한 징계절차가 마련되어 있는지 살펴본다. 또한 정치자금의 모금과 지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본다.

10-1

의회정치와 의원윤리

10-2

국회의원의 의무와 윤리 관련 규정 체계

10-3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10-4

국회의원 윤리 위반 사유와 징계 처리 실태

10-5

민주주의와 정치자금

10-6

한국의 정치자금 모금 및 지출

강좌운영팀 소개

교수자

최준영 professor
최준영 교수
· 소속 :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 학력 :
- 플로리다주립대학교 정치학 박사

· 연구분야 : 정치학

강좌지원팀

박지현
박지현
· 소속 :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정치외교학과

· 학력 :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 전공

· E-mail: vanessa9874@naver.com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퀴즈

토론

총점

빈영비율

50%

50%

100%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이 강좌는 유익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재 및 참고문헌

별도의 참고 교재는 없습니다. 학습자료가 제공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없습니다.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
  1. Subject

    Social Sciences
    (Social Sciences)
  2. 강좌 내용의 어려운 수준을 의미합니다. 교양, 전공기초, 전공심화 순으로 난이도가 증가합니다.

    Course difficulty

    advanced
  3. 강좌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기관입니다. 컨소시엄으로 운영 시, 대표기관의 명칭이 나타납니다

    Institution

    INHA Center of K-Academic expansion project
  4. 운영 기관의 전화번호 입니다.

    Phone

    032-860-8265
  5. 강좌의 구성 주차 수를 의미합니다. (강좌를 충실히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주당 학습시간을 의미합니다.)

    Course Week
    (Estimated Effort)

    10week
    (주당 00시간 00분)
  6. 본 강좌 이수자에게 인정되는 학습시간으로 해당 강좌의 동영상, 과제, 시험, 퀴즈, 토론 등의 시간을 포함합니다. (강의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재생 시간의 총 합계입니다.)

    Accredited learning time
    (Video Duration)

    00시간 00분
    (13시간 52분)
  7. 수강신청이 가능한 기간으로 해당 기간 내에만 수강신청이 가능합니다.

    Registration Period

    2023.02.24 ~ 2023.06.30
  8. 강좌가 운영되고 교수지원이 이루어지는 기간입니다. 이수증은 강좌운영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Classes Period

    2023.03.02 ~ 2023.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