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민주화와 민주주의
KAEP_INHA
강좌 소개
홍보/예시 영상
강좌 운영 계획
주차 |
주차명 (주제) |
주차별 학습 목표 |
차시 |
차시명 |
학습내용 |
||||
1 |
산업화 : 발전국가 전략 |
한국 고도경제성장의 성공요인, 발전국가의 개념, 한국의 경제체제가 변모한 역사를 설명한다. |
1-1 |
한국경제의 글로벌 위상 |
1-2 |
발전국가의 개념 |
|||
1-3 |
국가의 경제개발 계획 |
|||
1-4 |
수출주도 공업화 전략 |
|||
1-5 |
새마을 운동으로 농촌진흥 |
|||
1-6 |
자유시장경제로의 전환 |
|||
2 |
개방경제 전략 |
한국 수출경쟁력의 질적 변화 요인, 개방경제의 개념, 한국이 중진국 함정을 극복한 배경에 대해 설명한다. |
2-1 |
세계경제 편입전략 |
2-2 |
해외시장의 확대 |
|||
2-3 |
수출 경쟁력의 변화 |
|||
2-4 |
흑자 교역으로 진입 |
|||
2-5 |
중진국 함정의 극복 |
|||
2-6 |
자유무역지대의 확대 |
|||
3 |
대통령의 권력과 역사 |
한국 대통령의 권한, 역대 대통령의 특징, 한국의 권력구조가 변모한 역사를 설명한다. |
3-1 |
정치권력 구조 |
3-2 |
한국 대통령의 권력 |
|||
3-3 |
권력구조의 변천 |
|||
3-4 |
권위주의 시대의 대통령 |
|||
3-5 |
민주화 시대의 대통령 |
|||
3-6 |
민주주의 시대의 대통령 |
|||
4 |
민주적 체제전환 |
한국 민주화의 성공요인, 한국의 민주적 체재전환,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향후 과제에 대해 설명한다. |
4-1 |
민주적 체제전환론 |
4-2 |
한국의 평화적 민주화 |
|||
4-3 |
시민사회의 성장 |
|||
4-4 |
민주주의 향후 과제 |
|||
4-5 |
대통령제의 개선 |
|||
4-6 |
의원내각제 도입론 |
|||
5 |
민주주의의 공고화 |
민주주의 공고화, 민주주의 지수, 한국의 민주주의 수준에 대해 설명한다. |
5-1 |
한국의 민주주의 수준 |
5-2 |
한국 민주주의 지수 |
|||
5-3 |
정당과 선거 |
|||
5-4 |
사회집단 |
|||
5-5 |
정치사회 집단에 대한 신뢰 |
|||
5-6 |
정치적 이념 지형 |
|||
6 |
종교와 정치문화 |
한국인의 종교관, 한국의 문명적 특성, 한국 토착종교와 외래종교와의 상호관계 역사에 대해 설명한다. |
6-1 |
정치문화의 개념과 유형 |
6-2 |
한국의 종교 문화 |
|||
6-3 |
불교 |
|||
6-4 |
유교 |
|||
6-5 |
기독교 |
|||
6-6 |
샤마니즘 |
|||
7 |
유교 민주주의 |
유교문화권, 아시아적 가치 관련 논쟁, 한국사회에서 유교의 정치적·경제적 영향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
7-1 |
유교 문명권 |
7-2 |
유교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 |
|||
7-3 |
유교적 사회질서 |
|||
7-4 |
유교국가건설방안 |
|||
7-5 |
강한 집단 정체성 |
|||
7-6 |
유교적 지도자 |
|||
8 |
한국의 민족주의 |
종족적 민족주의와 국민적 민족주의를 구분해 살펴본다. 그리고 민족, 국가, 민족국가의 개념, 한국사회의 민족주의에 대한 인식변화를 살펴본다. |
8-1 |
민족주의의 개념 |
8-2 |
민족주의의 파급효과 |
|||
8-3 |
한국 민족주의 원천 |
|||
8-4 |
한국 민족주의의 특징 |
|||
8-5 |
방어적 민족주의 |
|||
8-6 |
한국사회의 열린 민족주의 |
|||
9 |
통일과 주변국 인식 |
한반도 통일의 달성 방안과 전망,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의 입장, 국제적 환경에 대해 설명한다. |
9-1 |
통일 민족주의 |
9-2 |
통일 준비 |
|||
9-3 |
북핵 문제 |
|||
9-4 |
한반도와 주변국 관계 |
|||
9-5 |
남북통일에 대한 주변국 입장 |
|||
9-6 |
한반도의 국제적 환경 |
|||
10 |
한국의 반미주의 |
반미주의의 유형과 원인, 개념, 한국에서 반민주의 정서가 변모한 역사를 설명한다. |
10-1 |
반미주의의 개념 |
10-2 |
반미주의의 유형 |
|||
10-3 |
한국의 전통적 미국관 |
|||
10-4 |
한국 반미주의의 기원 |
|||
10-5 |
대미인식의 악화원인 |
|||
10-6 |
한국의 반미주의 특징 |
강좌운영팀 소개
교수자

- 고상두 교수
- · 소속 : 연세대학교 지역학협동과정 교수
- · 학력 :
- - 플로리다주립대학교 정치학 박사
- · 연구분야 : 지역정치
강좌지원팀

- 박지현 TA
- · 소속 :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정치외교학과
- · 학력 :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 전공
- · E-mail: vanessa9874@naver.com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
퀴즈 |
토론 |
총점 |
빈영비율 |
50% |
50% |
100% |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이 강좌는 유익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재 및 참고문헌
별도의 참고 교재는 없습니다. 학습자료가 제공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