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회와 정체성
KAEP_INHA
강좌 소개
홍보/예시 영상
강좌 운영 계획
주차 |
주차명 (주제) |
주차별 학습 목표 |
차시 |
차시명 |
학습내용 |
||||
1 |
차이와 민주주의 |
차이의 개념, 차이와 사회발전을 민주주의와 연결지어 설명한다. |
1-1 |
차이의 개념 |
1-2 |
걸리버 여행기와 ‘차이’ |
|||
1-3 |
30년 전쟁 |
|||
1-4 |
‘새로운 단위’의 성립 |
|||
1-5 |
사회적 차이 |
|||
1-6 |
어떤 차이에 주목하는가 |
|||
2 |
정체성 이론 |
정체성의 개념, 형성과정, 갈등관리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
2-1 |
정체성 개념 |
2-2 |
정체성과 갈등 |
|||
2-3 |
신화와 터부 |
|||
2-4 |
새로운 단위의 성립 |
|||
2-5 |
경계와 경계 내 구성원 변화 |
|||
2-6 |
집단 간 관계 변화 |
|||
3 |
정체성과 사회안보 |
정체성 갈등에 대한 안보차원의 접근, 사회안보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
3-1 |
정체성 갈등: 안보차원의 접근 필요성 |
3-2 |
사회갈등의 예: 민족/인종 갈등 |
|||
3-3 |
전통안보와 인간안보 |
|||
3-4 |
인간안보의 특징 |
|||
3-5 |
사회안보 개념 |
|||
3-6 |
2005년 프랑스내 무슬림 시위와 폭동 |
|||
4 |
정체성과 지역주의 |
지역차원에서의 정체성의 의미, 사회갈등 관리에서의 정체성 개념, 러시아 사례 등을 설명한다. |
4-1 |
지역정체성과 지역주의 |
4-2 |
국가영토로서의 지역 |
|||
4-3 |
러시아 지역주의 |
|||
4-4 |
시베리아 지역주의 |
|||
4-5 |
러시아 극동 지역주의 |
|||
4-6 |
황화위험론 |
|||
5 |
온라인 페미니즘 |
한국 사회의 정체성 논쟁과 관련해서 페미니즘을 이해한다. |
5-1 |
‘새로운 공간’의 발전 |
5-2 |
담론과 프레이밍 |
|||
5-3 |
프레이밍 이론 |
|||
5-4 |
온라인 페미니즘 활성화 |
|||
5-5 |
혜화역 시위의 성과 |
|||
5-6 |
온라인 페미니즘의 정치화 |
|||
6 |
여성의 사회참여 |
여성운동, 여성정책의 결과 여성들의 사회참여는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
6-1 |
여성과 양성평등 |
6-2 |
여성정책의 전개 |
|||
6-3 |
여성의 사회참여-전체 근로자수 |
|||
6-4 |
직종별 사회참여 |
|||
6-5 |
여성 사회참여의 양상과 특징 |
|||
6-6 |
과제 |
|||
7 |
이주/다문화 |
이주 현황, 요인, 이론, 송금과 파급효과, 이주정책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
7-1 |
이주 개념과 유형 |
7-2 |
이주에 대한 이론적 접근 |
|||
7-3 |
이주 현황 |
|||
7-4 |
이주정책과 사회구조 |
|||
7-5 |
한국과 국제이주 노동 |
|||
7-6 |
국내 이주자 유입 현황 |
|||
8 |
여성이주/결혼이주 |
여성이주의 현황, 특징, 다문화 제도 및 정책과 인식전환에 대해 살펴본다. |
8-1 |
여성이주 |
8-2 |
여성이주 요인 |
|||
8-3 |
여성이주 현황 |
|||
8-4 |
결혼이주 |
|||
8-5 |
다문화, 다문화 정책 |
|||
8-6 |
인식 |
|||
9 |
난민과 정체성 갈등 |
난민의 개념과 현황, 난민의 발생요인과 정책적 대응 등에 대해 살펴본다. |
9-1 |
난민은 누구인가? |
9-2 |
난민 개념의 확대 |
|||
9-3 |
난민 현황 |
|||
9-4 |
난민은 왜 증가하는가? |
|||
9-5 |
난민 유형과 정책적 대응 |
|||
9-6 |
무엇을 해야 하는가? |
|||
10 |
한국사회 정체성 |
정체성의 경계를 형성하는 요인 분석, 한국 사회 갈등 단층과 민주주의 접근의 보완, 차이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
10-1 |
정체성과 한국 사회의 갈등 |
10-2 |
민주주의의 문제 |
|||
10-3 |
사회단층1: 과거사 |
|||
10-4 |
사회단층2: 선거과정에서 동원된 차이 |
|||
10-5 |
사회단층3: 이데올로기 |
|||
10-6 |
정체성과 과제 |
강좌운영팀 소개
교수자

- 김성진 교수
- · 소속 :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부 정치외교학과 교수
- · 학력 :
- - University of Glasgow 박사
- · 연구분야 : 러시아정치
강좌지원팀

- 박지현 TA
- · 소속 :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정치외교학과
- · 학력 :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 전공
- · E-mail: vanessa9874@naver.com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
퀴즈 |
토론 |
총점 |
빈영비율 |
50% |
50% |
100% |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이 강좌는 유익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재 및 참고문헌
별도의 참고 교재는 없습니다. 학습자료가 제공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