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춤을 통한 한국문화 읽기Ⅰ(기원부터 K-POP까지)
KAEP_INHA
강좌 소개
홍보/예시 영상
강좌 운영 계획
주차 |
주차명 (주제) |
주차별 학습 목표 |
차시 |
차시명 |
학습내용 |
||||
1 |
한국춤의 기원과 부족국가 시대의 춤문화 |
한국춤의 어원, 종류와 특징 및 미학에 대해 알아보고 선사시대와 부족국가 시대의 문화와 춤의 모습을 통해 한국춤의 기원에 대해 생각해본다. |
1-1 |
한국춤의 용어와 어원 |
1-2 |
한국춤의 특징과 미학 |
|||
1-3 |
선사시대의 문화와 춤 |
|||
1-4 |
고조선 시대의 문화와 춤 |
|||
1-5 |
부족국가 시대의 문화와 춤 1 |
|||
1-6 |
부족국가 시대의 문화와 춤 2 |
|||
2 |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춤문화 |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와 발해 그리고 고려시대의 문화와 춤의 모습들을 살펴본다. |
2-1 |
삼국시대의 문화와 춤 1: 고구려 |
2-2 |
삼국시대의 문화와 춤 2: 백제 |
|||
2-3 |
삼국시대의 문화와 춤 3: 신라 전기 |
|||
2-4 |
남북국시대의 문화와 춤: 신라 후기와 발해 |
|||
2-5 |
고려시대의 문화와 춤 1 |
|||
2-6 |
고려시대의 문화와 춤 2 |
|||
3 |
조선 전기의 춤문화 |
조선전기의 문화와 춤의 모습들을 살펴본다. |
3-1 |
조선의 건국과 조선 전기의 사회와 문화 |
3-2 |
조선 전기의 악무 제도와 예악사상 |
|||
3-3 |
조선 전기의 유교 제례무 |
|||
3-4 |
조선 전기의 궁중무용 1 |
|||
3-5 |
조선 전기의 궁중무용 2 |
|||
3-6 |
조선 전기의 민속춤 |
|||
4 |
조선 후기의 춤문화 |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조선 후기의 문화와 궁중무용 그리고 민속춤이 변화·발전하는 모습들을 살펴본다. |
4-1 |
조선 후기의 사회와 문화 |
4-2 |
조선 후기의 유교 제례무 |
|||
4-3 |
조선 후기의 궁중무용 1 |
|||
4-4 |
조선 후기의 궁중무용 2 |
|||
4-5 |
조선 후기의 교방춤 |
|||
4-6 |
조선 후기의 민속춤 |
|||
5 |
20세 초 근대시기의 춤문화Ⅰ: 신무용의 등장과 최승희 |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근대시기에 속하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에 서양문화의 유입으로 인한 전통춤의 변화에 대해 알아본다. |
5-1 |
대한제국의 춤문화1 |
5-2 |
대한제국의 춤문화2 |
|||
5-3 |
근대적 춤문화의 태동 |
|||
5-4 |
근대적 춤문화의 형성 |
|||
5-5 |
신무용시대의 도래 |
|||
5-6 |
신무용의 발전과 확장 |
|||
6 |
20세 초 근대시기의 춤문화Ⅱ: 서양 춤문화의 수용과 무도의 시대 |
연해주 한인 디아스포라의 형성과정과 사회와 문화 그리고 20세기 초 이들에 의해 우리나라에 서양 춤문화가 유입되는 과정과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
6-1 |
연해주 한인 디아스포라의 형성과정과 문화 |
6-2 |
해삼위 러시아 한인예술단 소개 |
|||
6-3 |
해삼위 러시아 한인예술단의 공연 작품과 특징 |
|||
6-4 |
해삼위러시아 한인예술단 내한공연의 역사적 의의 |
|||
6-5 |
무도(舞蹈)의 시대와 <예술학원> |
|||
6-6 |
1930년대 경성의 근대 유흥문화 공간: 카페의 시대 |
|||
7 |
해방공간과 대한민국의 춤문화 |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전문예인들에 의한 전통춤과 정재의 전승과정 그리고 신무용과 한국 창작춤의 경향과 대표적인 무용가들에 대해 알아본다. |
7-1 |
해방공간의 춤문화 |
7-2 |
한국전쟁과 1950년대의 춤문화 |
|||
7-3 |
1960~70년대 전통춤의 계승과 부활 |
|||
7-4 |
1970~80년대 한국 창작춤과 전통춤 |
|||
7-5 |
1970~80년대 민족ž민중춤활동 |
|||
7-6 |
21세기 전통춤과 신전통춤그리고 남겨진 과제들 |
|||
8 |
최승희와 북한무용의 형성과 발전 |
최승희의 월북 이후 1940-50년대 작품 창작 경향에 따른 북한 무용의 형성과정과 해외 순회공연에 의해 세계에 알려지게 된 북한 무용에 대해 조망해본다. |
8-1 |
1956~57년 국립 최승희 무용연구소의 소련 순회공연의 개요 |
8-2 |
1940~50년대 북한에서 최승희의 작품 장착 경향 |
|||
8-3 |
1956~1957년 국립 최승희 무용연구소 소련 순회 공연 작품들 |
|||
8-4 |
무용극 <사도성의 이야기> 분석 |
|||
8-5 |
무용영화 <사도성의 이야기> |
|||
8-6 |
1956~57년 국립 최승희 무용연구소 소련 순회공연의 평가 |
|||
9 |
현대의 춤문화 : K-POP의 등장과 세계화 |
한류와 함께 시작된 K-POP의 발전과정과 이로 인해 등장한 새로운 춤문화 현상과 사회적 이슈들을 짚어본다. 그리고 K-POP의 세계화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
9-1 |
한류의 태동 |
9-2 |
K-POP의 등장과 신한류 |
|||
9-3 |
2010년 이후의 K-POP |
|||
9-4 |
새로운 K-POP 춤문화현상 |
|||
9-5 |
K-POP의 산업화와 사회적 이슈들 |
|||
9-6 |
K-POP의 세계화와 BTS |
|||
10 |
세계 속의 한국춤 : 러시아 한인 디아스포라의 춤문화 |
러시아의 한인 디아스포라 중 상트페테르부르크 한인 디아스포라의 형성과정과 특징, 문화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소련 붕괴 이후, 한국청소년문화교육센터<난>의 사례를 통해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한국전통공연예술의 향유 현황과 특징, 역할, 의미에 대해 조망해본다. |
10-1 |
러시아 한인 디아스포라의형성 과정 |
10-2 |
러시아 한인 디아스포라의특징과 문화 |
|||
10-3 |
상트페테르부르크한인 디아스포라와한국 문화 |
|||
10-4 |
한국 청소년 문화 교육센터 <난> |
|||
10-5 |
러시아어 마당놀이 공연들 |
|||
10-6 |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한국 전통 공연예술의 의미와 역할 |
강좌운영팀 소개
교수자

- 양민아 교수
- · 소속 :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HK 연구교수
- · 학력 :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 대학교
- · 연구분야 : 문화사회학
강좌지원팀

- 박지현 TA
- · 소속 :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정치외교학과
- · 학력 :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 전공
- · E-mail: vanessa9874@naver.com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
퀴즈 |
총점 |
빈영비율 |
100% |
100% |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이 강좌는 유익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재 및 참고문헌
별도의 참고 교재는 없습니다. 학습자료가 제공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