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한국춤을 통한 한국문화 읽기Ⅰ(기원부터 K-POP까지) 이미지

한국춤을 통한 한국문화 읽기Ⅰ(기원부터 K-POP까지)




본 강좌는 새로운 K-MOOC 플랫폼에서 운영하는 강좌입니다.

강좌 소개

수업내용/목표

본 수업에서는 한국춤 문화와 관련된 이론 강의와한국전통춤부터 K-POP의 실습까지 다양한 활동을 다룬다. 수업의 목적은 한국춤의 기원부터 K-POP까지 다양한한국춤의현상에 대한 이론 강의와 실습을 통해 외국인 학생들이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외국인학생들은 본 수업을 통해 한국 전통 예절과 문화적·미학적 체계를 내면화하고 체현할 수 있다. 학생들은 다른 춤문화의경험을 통해 글로벌 에티켓과 다문화 관용 정신을 기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홍보/예시 영상

강좌 운영 계획

주차

주차명

(주제)

주차별 학습 목표

차시

차시명

학습내용

1

한국춤의 기원과 부족국가 시대의 춤문화

한국춤의 어원, 종류와 특징 및 미학에 대해 알아보고 선사시대와 부족국가 시대의 문화와 춤의 모습을 통해 한국춤의 기원에 대해 생각해본다.

1-1

한국춤의 용어와 어원

1-2

한국춤의 특징과 미학

1-3

선사시대의 문화와 춤

1-4

고조선 시대의 문화와 춤  

1-5

부족국가 시대의 문화와 춤 1

1-6

부족국가 시대의 문화와 춤 2

2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춤문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와 발해 그리고 고려시대의 문화와 춤의 모습들을 살펴본다.

2-1

삼국시대의 문화와 춤 1: 고구려

2-2

삼국시대의 문화와 춤 2: 백제

2-3

삼국시대의 문화와 춤 3: 신라 전기

2-4

남북국시대의 문화와 춤: 신라 후기와 발해

2-5

고려시대의 문화와 춤 1

2-6

고려시대의 문화와 춤 2

3

조선 전기의 춤문화

조선전기의 문화와 춤의 모습들을 살펴본다.

3-1

조선의 건국과 조선 전기의 사회와 문화

3-2

조선 전기의 악무 제도와 예악사상

3-3

조선 전기의 유교 제례무

3-4

조선 전기의 궁중무용 1

3-5

조선 전기의 궁중무용 2

3-6

조선 전기의 민속춤

4

조선 후기의 춤문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조선 후기의 문화와 궁중무용 그리고 민속춤이 변화·발전하는 모습들을 살펴본다.

4-1

조선 후기의 사회와 문화

4-2

조선 후기의 유교 제례무

4-3

조선 후기의 궁중무용 1

4-4

조선 후기의 궁중무용 2

4-5

조선 후기의 교방춤

4-6

조선 후기의 민속춤

5

20세 초 근대시기의 춤문화Ⅰ: 신무용의 등장과 최승희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근대시기에 속하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에 서양문화의 유입으로 인한 전통춤의 변화에 대해 알아본다.

5-1

대한제국의 춤문화1

5-2

대한제국의 춤문화2

5-3

근대적 춤문화의 태동

5-4

근대적 춤문화의 형성

5-5

신무용시대의 도래

5-6

신무용의 발전과 확장

6

20세 초 근대시기의 춤문화Ⅱ: 서양 춤문화의 수용과 무도의 시대

연해주 한인 디아스포라의 형성과정과 사회와 문화 그리고 20세기 초 이들에 의해 우리나라에 서양 춤문화가 유입되는 과정과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6-1

연해주 한인 디아스포라의 형성과정과 문화

6-2

해삼위 러시아 한인예술단 소개

6-3

해삼위 러시아 한인예술단의 공연 작품과 특징

6-4

해삼위러시아 한인예술단 내한공연의 역사적 의의

6-5

무도(舞蹈)의 시대와 <예술학원>  

6-6

1930년대 경성의 근대 유흥문화 공간: 카페의 시대

7

해방공간과 대한민국의 춤문화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전문예인들에 의한 전통춤과 정재의 전승과정 그리고 신무용과 한국 창작춤의 경향과 대표적인 무용가들에 대해 알아본다.

7-1

해방공간의 춤문화

7-2

한국전쟁과 1950년대의 춤문화

7-3

1960~70년대 전통춤의 계승과 부활

7-4

1970~80년대 한국 창작춤과 전통춤

7-5

1970~80년대 민족ž민중춤활동

7-6

21세기 전통춤과 신전통춤그리고 남겨진 과제들

8

최승희와 북한무용의 형성과 발전

최승희의 월북 이후 1940-50년대 작품 창작 경향에 따른 북한 무용의 형성과정과 해외 순회공연에 의해 세계에 알려지게 된 북한 무용에 대해 조망해본다.

8-1

1956~57년 국립 최승희 무용연구소의 소련 순회공연의 개요

8-2

1940~50년대 북한에서 최승희의 작품 장착 경향

8-3

1956~1957년 국립 최승희 무용연구소 소련 순회 공연 작품들 

8-4

무용극 <사도성의 이야기> 분석

8-5

무용영화 <사도성의 이야기>

8-6

1956~57년 국립 최승희 무용연구소 소련 순회공연의 평가

9

현대의 춤문화 : K-POP의 등장과 세계화

한류와 함께 시작된 K-POP의 발전과정과 이로 인해 등장한 새로운 춤문화 현상과 사회적 이슈들을 짚어본다. 그리고 K-POP의 세계화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9-1

한류의 태동

9-2

K-POP의 등장과 신한류

9-3

2010년 이후의 K-POP

9-4

새로운 K-POP 춤문화현상

9-5

K-POP의 산업화와 사회적 이슈들

9-6

K-POP의 세계화와 BTS

10

세계 속의 한국춤 : 러시아 한인 디아스포라의 춤문화

러시아의 한인 디아스포라 중 상트페테르부르크 한인 디아스포라의 형성과정과 특징, 문화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소련 붕괴 이후, 한국청소년문화교육센터<>의 사례를 통해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한국전통공연예술의 향유 현황과 특징, 역할, 의미에 대해 조망해본다.

10-1

러시아 한인 디아스포라의형성 과정  

10-2

러시아 한인 디아스포라의특징과 문화

10-3

상트페테르부르크한인 디아스포라와한국 문화

10-4

한국 청소년 문화 교육센터 <>

10-5

러시아어 마당놀이 공연들  

10-6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한국 전통 공연예술의 의미와 역할

강좌운영팀 소개

교수자

양민아 professor
양민아 교수
· 소속 :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HK 연구교수

· 학력 :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 대학교

· 연구분야 : 문화사회학

강좌지원팀

박지현 TA
박지현 TA
· 소속 :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정치외교학과

· 학력 :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 전공

· E-mail: vanessa9874@naver.com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퀴즈

총점

빈영비율

100%

100%

 

강좌 수준 및 선수요건

이 강좌는 유익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교재 및 참고문헌

별도의 참고 교재는 없습니다. 학습자료가 제공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강좌 교재가 따로 있나요?

없습니다.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
  1. Subject

    Arts & Physical
    (Dancing & Physical Education)
  2. 강좌 내용의 어려운 수준을 의미합니다. 교양, 전공기초, 전공심화 순으로 난이도가 증가합니다.

    Course difficulty

    advanced
  3. 강좌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기관입니다. 컨소시엄으로 운영 시, 대표기관의 명칭이 나타납니다

    Institution

    INHA Center of K-Academic expansion project
  4. 운영 기관의 전화번호 입니다.

    Phone

    032-860-8265
  5. 강좌의 구성 주차 수를 의미합니다. (강좌를 충실히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주당 학습시간을 의미합니다.)

    Course Week
    (Estimated Effort)

    10week
    (주당 00시간 00분)
  6. 본 강좌 이수자에게 인정되는 학습시간으로 해당 강좌의 동영상, 과제, 시험, 퀴즈, 토론 등의 시간을 포함합니다. (강의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재생 시간의 총 합계입니다.)

    Accredited learning time
    (Video Duration)

    00시간 00분
    (14시간 01분)
  7. 수강신청이 가능한 기간으로 해당 기간 내에만 수강신청이 가능합니다.

    Registration Period

    2023.02.24 ~ 2023.06.30
  8. 강좌가 운영되고 교수지원이 이루어지는 기간입니다. 이수증은 강좌운영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Classes Period

    2023.03.02 ~ 2023.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