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기초 스타일링 동영상

기초 스타일링




본 강좌는 새로운 K-MOOC 플랫폼에서 운영하는 강좌입니다.

강좌 소개

수업내용

  본 강좌는 스타일리스트 분야의 실무 활용 능력을 위한 기초 실무 단계 학습으로 스타일 연출 요소인 형태, 색채, 소재 코디네이션 이론 이해 및 패션 아이템과 액세서리 스타일링의 응용 등을 학습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패션 스타일리스트 및 액세서리 전문가들의 스타일링 팁을 통해 여러분들이 실제 생활에서도 다양한 스타일링 연출에 활용하실 수 있도록 하였으며, 더 나아가 전문 스타일리스트가 되기 위한 현장 실무 능력에 기본이 되어지는 스타일링 기초 학습이 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또한, 2020년 9월부터, (사)한국직업연구진흥원과의 MOU에 따라 묶음과정 총 5강좌를 이수하면 신청자에 한해 [패션스타일리스트] 1차 필기 자격증을 부여받을 수 있습니다.

학습목표

1. 패션 스타일링 디자인 연출에 필요한 원리와 요소를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색채 및 소재 코디네이션의 기초 이론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으며 응용할 수 있다.

강좌 운영 계획

강의 계획서
주차 주제 차시 소주제 요소

강좌운영팀 소개

교수자

이언영 교수 사진
이언영 교수
◆ 소속
- 현) 장안대학교 스타일리스트과 교수
◆ 학력
-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의류학과 패션 디자인전공 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의류학과 패션 디자인 전공 박사
- 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 Fashion Art  and Design 수료
◆ 주요 경력
- (주)경향신문사, 웅진 외 잡지 프리랜서 스타일리스트
- (주)제일기획, 제일보젤, 휘닉스 커뮤니케이션 외 광고 프리랜서 스타일리스트
- (주)픽션 뱅크 영화사 스타일리스트
- (주)애플, 우주 기획사 스타일리스트
- (주)한국방송영화문화 스타일리스트
- 서울컬렉션, SFFA, KAFDA 외 패션쇼 메이크업 아티스트
- (사)한국직업연구 진흥원, 패션 스타일리스트 자격시험 출제 위원 및 자격검정 전문위원
- 한국산업인력공단, 양장기능사 및 패션디자인 기능사 외 실기시험위원
- 노동부, 지역맞춤형 일자리 창출사업 외부 운영위원
- 한국예술대제전 심사위원
◆ 연구 경력
- 산업자원부, 한국부품산업개발 진흥원 <웨어링 스카프 해외 메스티지 마켓 진입을 위한 패션 스트림 간 기술 개발> 
- 학술진흥재단, <면접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사이버 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 개발>서울시정개발원, <고부가가치를 위한 뉴 라이프 스타일에 패션 브랜드 제품 디자인 개발>
- 곡선형 주름 장식을 이용한 패션 디자인 개발과 토탈 스타일링 연구 외 다수
- 패션&뷰티 일러스트전(파리), 토탈 이미지 팜므 초대전 외 다수

강좌지원팀

임주연 사진
임주연
◆ 소속
- 현) 스튜디오 N1 2LL 대표
- 현) 장안대학교 스타일리스트학과 겸임 교수
◆ 학력 및 경력
-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의류학과 박사수료
- Central Saint Martins, London, UK / Dept. Fashion Knitwear.
- 한성대학교 한디원 강사
- SYSTEM(한섬), Eudon, Choi(런던), Regina, Pyo(런던), Push Button(서울) 니트 기획
- Off London Fashion Week Fashion Show, London, UK 컬렉션 발표
- 미래창조과학부,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적용한 고기능성 작업용도별 장갑 및 방화두건의 개발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퀴즈 단답형 문제 토론 과제 마무리 테스트
반영비율
(총100%)
20% 20% 20% 10% 30%

※ 이수증 발급: 총점 60점 이상 이수증 발급

※ 자격증 발급: 전문 스타일리스트 양성과정 총 5강좌 이수시 (사)한국직업연구진흥원 [패션스타일리스트]1차 필기 자격증을 부여

질문이 있을 땐?

▶ 게시판에 주저하지 말고 글을 남겨주세요! 질문주시면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
  1. Subject

    Arts & Physical
    (Design)
  2. 강좌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기관입니다. 컨소시엄으로 운영 시, 대표기관의 명칭이 나타납니다

    Institution

    JanganUniversity
  3. 운영 기관의 전화번호 입니다.

    Phone

    031-299-3276
  4. 강좌의 구성 주차 수를 의미합니다. (강좌를 충실히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주당 학습시간을 의미합니다.)

    Course Week
    (Estimated Effort)

    09week
    (주당 01시간 13분)
  5. 본 강좌 이수자에게 인정되는 학습시간으로 해당 강좌의 동영상, 과제, 시험, 퀴즈, 토론 등의 시간을 포함합니다. (강의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재생 시간의 총 합계입니다.)

    Accredited learning time
    (Video Duration)

    11시간 04분
    (05시간 27분)
  6. 수강신청이 가능한 기간으로 해당 기간 내에만 수강신청이 가능합니다.

    Registration Period

    2021.09.07 ~ 2021.11.16
  7. 강좌가 운영되고 교수지원이 이루어지는 기간입니다. 이수증은 강좌운영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Classes Period

    2021.09.07 ~ 2021.11.16
  8. ※ 만족도 응답 표본 수 미달 등 일정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별점이 공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