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생체신호계측이론의 기초 |
(1차시)생체신호계측 이론의 개요 |
2021. 9. 20. |
(2차시)생체신호계측과 전기 안전(1) |
(3차시)생체신호계측과 전기 안전 |
(1주차 학습목표) 1. 생호신호계측의 목적과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할 수 있다. 2. 인체의 전기에 대한 반응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전기 쇼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방지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
2 |
기초전자회로 |
(1차시)저항(1) |
2021. 9. 27. |
(2차시)저항(2) |
(3차시)콘덴서, 코일, 복소 임피던스 |
(2주차 학습목표) 1. 저항회로의 용어를 정의할 수 있다. 2. 중첩의 원리와 테브난의 정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콘덴서, 코일, 복소 임피던스의 종류와 역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3 |
생체신호계측을 위한 전자회로 |
(1차시)OP 앰프(1) |
2021. 10. 4. |
(2차시)OP 앰프(2) |
(3차시)차동증폭기 |
(3주차 학습목표) 1. OP앰프를 이용한 아날로그 회로의 설계법을 적용할 수 있다. 2. 생체신호계측에 잘 사용되는 회로를 한 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다. 3. 차동증폭기와 생체신호계측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
4 |
생체 전극과 생체 센서(1): 생체 메커니즘과 계측 |
(1차시)생체전기신호의 계측(1)-ECG |
2021. 10. 11. |
(2차시)생체전기신호의 계측(2)-EMG, EEG, EOG, EGG |
(3차시)생체전기신호의 계측(3)-생체 임피던스, 전극 |
(4주차 학습목표) 1. 심전도 발생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근전도, 뇌파, 안전위, 위전위의 발생 메커니즘을 각각 분류할 수 있다. 3. 생체신호계측의 목적을 설명할 수 있다. |
5 |
생체 전극과 생체 센서(2): 생체 센서 |
(1차시)생체전기신호의 계측(4)-혈압, 혈류 |
2021. 10. 18. |
(2차시)생체전기신호의 계측(5)-호흡, 체온 |
(3차시)일상 보행 계측을 예로 든 운동 센서 |
(5주차 학습목표) 1. 혈압 계측과 혈류 계측을 비교할 수 있다. 2. 호흡 계측에 대한 방법을 한 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다. 3. 운동 센서의 종류를 나열할 수 있다. |
6 |
아두이노의 이해 및 활용 |
(1차시)헬스케어 시스템의 이해 |
2021. 10. 25. |
(2차시)아두이노의 설치 및 중요 함수 사용 |
(3차시)센서의 이해 |
(6주차 학습목표) 1. 헬스케어 시스템의 개요를 정의할 수 있다. 2. 아두이노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3. 센서를 이용한 아두이노를 활용할 수 있다. |
7 |
거리센서 활용 |
(1차시)시력보호 텔레비전 전원 차단기(1) |
2021. 11. 1. |
(2차시)시력보호 텔레비전 전원 차단기(2) |
(3차시)푸시업 카운터기 |
(7주차 학습목표) 1. 시력보호 텔레비전 전원 차단기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2. 시력보호 텔리비전 전원 차단기의 회로를 구성하여 실제 TV에 연결할 수 있다. 3. 푸시업 카운터기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
8 |
헬스케어 시스템: 웨비나 및 토론 |
(1차시)8주 강의 안내 |
2021. 11. 8. |
(2차시)토론 |
(3차시)웨비나 |
(8주차 학습목표) 1. 웨비나를 통하여 생체신호계측과 관련된 심층적인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
9 |
운동량 측정기의 제작 |
(1차시)마스크 살균기 구성 |
2021. 11. 15. |
(2차시)스마트 마스크 살균기 프로그래밍 |
(3차시)만보기 제작 |
(9주차 학습목표) 1. 마스크 살균기 제작을 위한 구성품을 검증할 수 있다. 2. 마스크 살균기와 만보기 제작을 위한 프로그래밍을 실습할 수 있다.
|
10 |
라즈베리파이를 활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제작 |
(1차시)맥박 모니터링 시스템 준비(1) |
2021. 11. 22. |
(2차시)맥박 모니터링 시스템 준비(2) |
(3차시) HaarCascade |
(10주차 학습목표) 1. 라즈베리파이를 활용하여 맥박 모니터링 시스템 제작을 준비할 수 있다. 2. 라즈베리파이를 설치하여 아두이노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3. 라즈베리파이에 HaarCascade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실습을 할 수 있다.
|
11 |
일상생활 중 생체신호계측 |
(1차시)수면 중 생체신호계측 |
2021. 11. 29. |
(2차시)일상생활 모니터링 시스템 |
(3차시)하지 활동량 계측과 신체 활동량 계측 |
(11주차 학습목표) 1. 수면 중 생체신호 계측, 가정 내에서의 생활 행동 계측, 근전도를 사용한 일상활동의 추정, 조깅 지원 시스템에 대하여 각각 설명할 수 있다. 2. 일상 생활의 계측 방법을 정의할 수 있다. 3. 하지 활동량 계측의 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 |
12 |
선형판별분석(1) |
(1차시)행렬과 벡터의 기초와 선형변환 |
2021. 12. 6. |
(2차시)고유치와 고유벡터, 연립방정식, 직교 투영 |
(3차시)주성분분석 |
(12주차 학습목표) 1. 행렬과 벡터의 기초를 설명할 수 있다. 2. 고유치와 고유벡터와 연립방정식과 직교투영에 대하여 정의할 수 있다. 3. 고차원 데이터와 PCA를 설명할 수 있다. |
13 |
선형판별분석(2) |
(1차시)FLDA |
2021. 12. 13. |
(2차시)연구적용사례(1) |
(3차시)연구적용사례(2) |
(13주차 학습목표) 1. FLDA의 특징을 서술할 수 있다. 2. W 매트릭스를 구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3. FLDA를 적용한 연구의 결과를 이해할 수 있다. |
14 |
행렬분해 |
(1차시)LU 분해 |
2021. 12. 20. |
(2차시)QR 분해 |
(3차시)SVD분해 & NMF 분해 |
(14주차 학습목표) 1. LU 분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정규직교 벡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SVD와 NMF 분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기말시험 |
2021. 12.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