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의 개요 |
(1차시)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의 개요 |
2020. 9. 21. |
(2차시)증강현실의 기저 이론 |
(3차시)가상현실의 기저 이론 |
(1주차 학습목표) 1.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에 대한 기초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상황학습이론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3. 가상현실과 체화된 인지이론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
2 |
멀티미디어 학습이론과 인지부하이론 |
(1차시)멀티미디어 학습이론 |
2020. 9. 21. |
(2차시)인지부하이론(1) |
(3차시)인지부하이론(2) |
(2주차 학습목표) 1. 멀티미디어 학습이론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인지부하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3. 인지처리과정에서 스키마의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
3 |
멀티미디어 설계원리(1) |
(1차시)멀티미디어 원리 |
2020. 9. 21. |
(2차시)근접성 원리와 그림 원리 |
(3차시)일관성 원리 |
(3주차 학습목표) 1. 이중채널가정의 기본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근접성의 원리를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3. 일관성 원리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4 |
멀티미디어 설계원리(2) |
(1차시)양식효과와 중복효과 |
2020. 9. 21. |
(2차시)세분화 원리와 사전훈련 효과 |
(3차시)학습자 통제 원리와 후방점진법 |
(4주차 학습목표) 1. 양식효과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2. 세분화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3. 학습통제 권한의 장점을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
5 |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형과 학습 |
(1차시)사용자 모형 |
2020. 9. 21. |
(2차시)가상현실의 설계 요인과 사용자 모형 |
(3차시)증강현실의 설계 요인 |
(5주차 학습목표) 1. 사용자 모형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2. 가상현실의 설계요인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구분할 수 있다. 3. 증강현실의 적용사례와 관련하여 설계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
6 |
가상실재감 |
(4차시)가상현실의 중점기술요인 |
2020. 9. 21. |
(5차시)가상실재감이란? |
(6차시)가상현실 구현 장비의 특징 |
(6주차 학습목표) 1. 가상현실 구현을 위한 중점기술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 2. 가상실재감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3. 가상현실 구현장비를 특징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
중간시험 |
2020. 9. 21. |
8 |
햅틱과 운동기능 |
(1차시)햅틱을 적용한 VR 콘텐츠 개발 사례 |
2020. 9. 21. |
(2차시)시뮬레이션 콘텐츠의 설계 요인과 개발 과정 |
(3차시)VR 시뮬레이션 콘텐츠 개발 사례 |
(8주차 학습목표) 1. 가상현실 기반의 시뮬레이션의 개발 과정을 나열할 수 있다. 2. 가상현실 기반의 시뮬레이션에서 햅틱 요인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설명할 수 있다. 3. 개발사례를 보고 시뮬레이션의 개발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9 |
가상현실에서의 내비게이션 방법 |
(1차시)공간이동을 위한 내비게이션 |
2020. 9. 21. |
(2차시)가상현실에서의 내비게이션 적용 사례 |
(3차시)공간구조 모형과 룸스케일링을 적용한 가상현실 구현 사례 |
(9주차 학습목표) 1. 가상현실에서 공간 이동을 위한 내비게이션의 적용 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 2. 내비게이션을 적용한 가상현실의 개발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3. 룸스케일링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10 |
수업 시뮬레이션의 설계와 개발(1) |
(1차시)예비교사를 위한 수업 시뮬레이션 |
2020. 9. 21. |
(2차시)수업 시뮬레이션의 사례 분석 |
(3차시)수업 시뮬레이션의 개발 |
(10주차 학습목표) 1. 가상현실을 적용한 수업 시뮬레이션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수업 시뮬레이션의 적용 사례를 설명할 수 있다. 3. SimTEACHER의 상호작용에 의한 수업효능감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
11 |
수업 시뮬레이션의 설계와 개발(2) |
(1차시)수업 시뮬레이션과 시나리오 |
2020. 9. 21. |
(2차시)CAVE 시스템과 HMD |
(3차시)얼굴표정을 통한 효과분석 |
(11주차 학습목표) 1. 수업 시뮬레이션의 적용사례를 분석할 수 있다. 2. CAVE시스템을 적용한 시뮬레이션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3. 표정분석을 통한 정서적인 변화가 왜 중요한지 이해할 수 있다. |
12 |
스토리보드의 작성 |
(1차시)스토리라인의 구성 |
2020. 9. 21. |
(2차시)스토리라인 적용 사례(1) |
(3차시)스토리라인 적용 사례(2) |
(12주차 학습목표) 1. 시나리오 구성 절차를 이해할 수 있다. 2. 가상현실 콘텐츠의 진행단계가 구성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
13 |
가상현실 구현 기술과 증강현실 |
(1차시)룸스케일과 HMD |
2020. 9. 21. |
(2차시)시선추적 HMD와 증강현실 개발 사례 |
(3차시)감각장애 학습자와 가상현실 |
(13주차 학습목표) 1. 룸스케일링의 개발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2. 시선추적을기능을 활용한 연구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3. 감각장애 학습자를 위한 가상현실 설계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
14 |
가상현실과 교육 |
(1차시)멀티미디어 이론과 인지부하 |
2020. 9. 21. |
(2차시)정보처리 감각 채널과 인지부하 설계원리 |
(3차시)가상현실과 시나리오 |
(14주차 학습목표) 1. 멀티미디어 학습에서의 학습자 인지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2. 양식효과와 중복효과의 차이점을 구분할 수 있다. 3. 상황적인 흥미의 전환과정과 시나리오 구성요인을 이해할 수 있다. |
기말시험 |
2020. 9. 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