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수: 오수경
- ■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 ■ 중국문학, 중국연극 전공
- ● 현 한중연극교류협회회장
- ● 전 한국중국어문학회회장, 한국중국희곡학회회장, 베세토연극제 국제의원
- ● 저술 『송원희곡고역주』 (학술원우수도서)
- ● 저술 『동아시아문화표상1』 (공편, 세종도서) 외 논문 100여편

- TA(조교): 임미주
- ■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사과정
- whiteangel32@hanmail.net
노래는 고금을 넘어 우리 삶에서 뗄 수 없는 부분이다.
본 강의에서는 노래라는 키워드로 구비문학의 시각에서 중국문학을 다시 보고자 한다.
오랜 역사 속에 민간에서 불려졌던 다양한 노래들을 통해, 중국인의 구체적인 삶 속에서 그들의 정서를 이해하고 중국과 중국인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민간가요에서 전해오는 민간가요와 구비문학을 통해 중국전통을 이해할 수 있다.
▶ 기득권이 아닌 민중의 관점에서 중국의 전통문화를 재인식할 수 있다.
▶ 민중 속에 면밀히 흐르는 중국인의 정서를 이해할 수 있다.
▶ 중국인들의 정서를 이해함으로써 중국 시장에 적응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
▶ 강좌구성: 총 9주 (강좌 8주, 기말에세이 1주로 구성)
▶ 강좌개설: 각 주차별 개설 - 각 주차일(월)에 강좌가 오픈됩니다. (참고: 강좌일정)
주차 |
주차명 |
강의내용 |
|
|
1. 노래와 시 |
2. 기록문학과 구비문학 |
||
3. 대중의 노래 – 민간가요의 특성 |
||
|
|
1. 중국문학사의 세 좌표 |
2. 중국문학사 속 민간가요의 전통 |
||
|
|
1.『시경』의 민간가요 : 국풍 |
2. 민요의 지역성 |
||
|
|
1. 사랑의 노래 |
2. 전쟁의 노래 |
||
3. 장편 서사악부 |
||
|
|
1. 돈황 곡자사 |
2. 온정균의 사 |
||
3. 이욱의 사 |
||
|
|
1. 송초의 사 |
2. 소식의 사 |
||
3. 이청조의 사 |
||
|
|
1. 관한경의 산곡 |
2. 무명씨의 산곡 |
||
3. 장양호의 산곡 |
||
|
|
1. 사랑의 노래 |
2. 고달픈 삶의 노래 |
||
9 |
기말에세이 |
▶ Pass/Fail (100점 만점에 종합성적 60점 이상인 경우 이수)
• 자기소개 및 수강동기 : 10%
• 퀴즈 : 40%
• 기말에세이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