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서양철학산책 동영상

서양철학산책




본 강좌는 새로운 K-MOOC 플랫폼에서 운영하는 강좌입니다.

강좌 소개

수업내용/목표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은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서양철학은 2500여 년 전 그리스에서 시작되었지만, 오늘 한국인의 삶과 사고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과목에서는 탈레스에서 시작하여 니체에 이르는 서양철학의 중요한 학자들과 그들의 저서를 소개하되, 역사적 사실과 지식의 나열이 아닌 그 사상이 오늘 우리의 삶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함께 살펴본다.



Course Description/Objective

What is philosophy? How does it influence human life? Western philosophy began in Greece over 2,500 years ago, but its impact is still felt in the life and idea of Koreans. This class introduces important Western philosophers such as Thales and Nietzsche and investigates how their idea is related to our lives today.

강좌 계획

주 Week 주차명 Topic
1 철학이란 무엇인가? What is Philosophy?
2 최초의 철학자, 탈레스 Thales, the First Philosopher
3 인간 중심의 철학, 소크라테스 Socrates: the Human-centered Philosophy
4 소크라테스의 제자, 플라톤 Plato, the Student of Socrates
5 경험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 Aristotle, the Philosopher of Experience
6 중세철학 1 - 기독교와 철학의 만남 Medieval Philsoophy I - The Encounter of Christianity and Western Philosophy
7 중세철학 2 - 스콜라 철학, 신앙과 철학 Medieval Philosophy II - Scholaticism, Faith and Reason
8 데카르트의 '성찰'과 근대 철학의 시작 Descartes: 'Meditation'and the Beginning of Modern Philosophy
9 칸트의 인식론과 윤리학 Kantian Epistemology and Ethics
10 밀의 '자유론'과 공리주의 Mill: 'On Liberty' and Utilitarianism
11 마르크스와 '공산당 이론' Marx and the Theory of Communism
12 니체와 허무주의 Nietzsche and His Nihilism
13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 Freud and the Theory of Unconsciounsness
14 기말고사 Final Exam

강좌운영진 소개

교수자

손화철 교수 사진
교수: 손화철
한동대학교 글로벌리더십학부 교수
벨기에 루뱅대학교 철학 학사, 석사, 박사
서울대학교 철학과 학사

강좌지원팀

학습 지원 : 윤은빈 조교
한동대학교 경영경제학부 학사과정
E-mail : 21400087@handong.edu
학습 지원 : 권준혁 조교
한동대학교 법학부 재학
E-mail : sellicspell@gmail.com

강좌 수강 정보

이수/평가정보

평가유형: 퀴즈 30%, 토론 10%, 과제 30%, 기말고사 30%
이수증 발급 요건: 총점 60점 이상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
  1. Subject

    Humanities
    (Human Sciences)
  2. 강좌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기관입니다. 컨소시엄으로 운영 시, 대표기관의 명칭이 나타납니다

    Institution

    HANDONG GLOBAL UNIVERSITY
  3. 운영 기관의 전화번호 입니다.

    Phone

    054-260-1072
  4. 강좌의 구성 주차 수를 의미합니다. (강좌를 충실히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주당 학습시간을 의미합니다.)

    Course Week
    (Estimated Effort)

    14week
    (주당 02시간 00분)
  5. 본 강좌 이수자에게 인정되는 학습시간으로 해당 강좌의 동영상, 과제, 시험, 퀴즈, 토론 등의 시간을 포함합니다. (강의 내용과 관련된 동영상 재생 시간의 총 합계입니다.)

    Accredited learning time
    (Video Duration)

    11시간 00분
    (09시간 39분)
  6. 수강신청이 가능한 기간으로 해당 기간 내에만 수강신청이 가능합니다.

    Registration Period

    2019.02.18 ~ 2019.04.05
  7. 강좌가 운영되고 교수지원이 이루어지는 기간입니다. 이수증은 강좌운영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Classes Period

    2019.03.08 ~ 2019.06.13
  8. ※ 만족도 응답 표본 수 미달 등 일정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별점이 공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