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 개요
인간행위와 사회구조는 강의 제목 그대로 인간과 사회의 유기적 관계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하면서,
때로 개안(開眼; eye opening)의 기쁨을 경험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강의에서는 미시적 영역인 일상생활, 가족과 생애주기, Sexuality와 사랑에서부터 중간 영역인 조직과
네트워크, 노동 및 교육의 세계를 거쳐, 거시적 영역인 계층 구조, 미디어의 세계, 범죄와 일탈, 도시와 환경 등에 이르기까지 현대인이 발 담그고 있는 삶의 세계를 두루 탐색해볼 것입니다.
샘플 강좌
교과목 목표
1. 지금까지 깊은 성찰이나 비판적 고민 없이 당연시해온 “도그마”나 “통념”에 “물음표”(?)를 제기하며
사회적 편견이나 고정관념에서 자유로워지는 훈련을 합니다.
2. 사회학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인간 행위에 스며든 사회구조의 작동방식에 대한 통찰력을 키웁니다.
3.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포용력과 정보 통신기술 혁명의 영향력에 대해 민감성을 연마합니다.
강의 내용
- 사회학에 대한 이해
- 사회적 상호작용과 일상생활
- 사회화, 생애과정, 고령화
- 현대사회의 성과 사랑
- 가족과 친밀한 관계
- 섹슈얼리티와 젠더
- 조직과 네트워크
- 일과 경제생활
- 교육-성취지위로부터 귀속지위로
- 계층과 계급
- 범죄와 일탈
- 매스미디어-전통미디어와 뉴미디어
- 도시와 도시 공간
- 환경과 위험
주요교재 및 참고자료
주교재: 앤서니 기든스 지음, 2011년 <현대 사회학> 6판, 김미숙 외 옮김, 을유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