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이후의 사진
CAUk

인터넷 시대의 사진은 인류가 세상을 기록하고 소통하는 방식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전통적 사진의 시대 이후 21세기 본격적인 사진의 디지털화, 초연결 사회 (hyper-connected society)의 시작과 함께 변화되어 온 사진의 정체성에 대한 인문학적, 예술적 질문들을 작가의 관점에서 제시하고 작품 소개와 더불어 국내외 전문가들과 대담을 통해 논한다.

![]() |
천경우[프로필] |

※ 수강 신청 : 2020.08.11 ~ 2020.10.25
※ 운영 기간 : 2020.08.18 ~ 2020.10.25
※ 모든 주차의 강의가 18일에 일괄로 공개됩니다. 모든 강의와 퀴즈를 강의 운영 종료 이전에 모두 이수하시더라도 이수증 발급은 강의 운영기간 종료 후에 가능합니다.
주차 | 목차 | 세부목차 |
---|---|---|
1주 | 인간과 사진의 관계 |
1-1) 일상의 소통언어가 된 사진의 본성과 인간과의 관계 1-2) 사진을 통한 기억과정, 시간인식 |
2주 | 역사를 검토해 사진의 개념을 다시 정의하기-1 |
2-1) 디지털 시대의 사진 - 사진을 재정의 하기 2-2) 동시대의 관점으로 사진 발명의 역사 재조명 - 사진역사학자 박주석 교수와의 대담 (장소: 한국이미지연구소) |
3주 | What is Photography Now? |
3-1) 사진전공 학생들과 함께 동시대 사진의 다양한 질문들에 대하여 이야기 한다. - 중앙대학교 사진학과 학생들의 질문들을 바탕으로 |
4주 | 공간체험으로서의 사진전시 |
4-1) 사진을 통한 공간의 총체적 체험, 사진 컬렉션 - 전시기획자/ 포토북 디자이너 빌름 판 주텐달(Willem v. Zoetendaal)과의 대담 (장소: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Huis Marsellie 사진박물관) |
5주 | 가족, 기억 그리고 사라지는 사진앨범 |
5-1) 가족사진의 사회학 : 부르디외의 중간예술, 가족과 사진앨범 5-2) 사진앨범의 쇠퇴 : 사진의 물질성과 데이터로서의 사진, 가족 개념의 변모, 새로운 가족의 등장 -사진미학자/ 사진비평가 박평종 교수와의 대담 |
6주 | 사진과 퍼포먼스 |
6-1) 확장된 개념으로서의 사진-퍼포먼스, 천경우 작가의 작품 소개 6-2) 뉴욕 타임즈 스퀘어에서의 퍼포먼스 Versus 등 소개 |
7주 | 셀피(Selifie)의 시대 |
7-1) 창의적 표현의 민주화, 이미지의 개인성, 사진을 통한 정체성, 인스타그램과 사진, 요셉 보이스 - 독일 조형예술가 디륵 플라이쉬만(Dirk Fleishmann)과의 대담 (장소 : 신사동 인생사진관3) |
8주 | 역사를 검토해 사진의 개념을 다시 정의하기-2 |
8-1) 디지털 시대의 사진 - 사진을 재정의 하기 8-2) 조선의 사진과 포토그라피(Photography) - 사진역사학자 박주석 교수와의 대담 (장소: 한국이미지연구소) |
9주 | 공공미술과 환경으로서의 사진 |
9-1) 기술환경, 공공미술의 인식변화에 따른 공간, 환경으로서의 사진의 가능성 - 미술사학자/ 전시기획가 이지윤 교수와의 대담 |
10주 | 오브제 안의 전시장 - 포토북(Photobook) |
10-1) 사진작품집의 미적 탐구, 손안의 공간 체험으로서의 포토북 - 전시기획자/ 포토북 디자이너 빌름 판 주텐달(Willem v. Zoetendaal)과의 대담 (장소: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Van Zoetendaal Collection) |
11주 | 디지털 이미지 언어로서의 사진과 사진교육 |
11-1) 일상의 커뮤니케이션, 사진의 권력 11-2) 기술적 우월성에 기반을 둔 근대 사진, 사진언어 교육 |
12주 | 중국의 사진인식과 현대사진 |
12-1) 중국인들이 인식하는 사진과 현대사진작가들의 작품 소개 - 중국 왕춘첸(Wang Chunchen) 큐레이터와의 대담 (장소: 중국 북경 CAFA Museum) |
13주 | 한국사진의 뉴 제너레이션-Sizak |
13-1) 실험적인 한국 신세대 작가들의 작품 소개 13-2) 한국와 유럽에서의 전시 프로젝트 |
14주 | AI와 사진의 미래 |
14-1) AI는 사진의 생산과 수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4-2) 프로그램의 강제성에 종속되지 않고 인간의 자유를 추구하는 사진은 어디까지 가능할까? - 사진미학자/ 사진비평가 박평종 교수와의 대담 |

과제명 | 퀴즈 | 중간고사 | 기말고사 |
---|---|---|---|
반영비율 | 100% |
*이수 기준: 총점 60점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현우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예술학과 석사과정E-mail: newnew@cau.ac.kr
임성준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예술학과 석사과정E-mail: maanduu94@gmail.com
관련 강좌
현재 강좌와 관련있는 강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