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강좌는 8주에 걸쳐 성공적인 미래교육을 디자인하기 위해 현재 교육의 현황과 미래교육에서 예측되는 다양한 특성들에 대해 탐색하고자 합니다.
먼저 4주에 걸쳐 미래사회의 특성, 글로벌 교육의 현황, 현재 한국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들을 탐색할 것입니다. 이후 미래 사회의 변화에 따라 예측되는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인재 양성을 위한 직업교육과 창의인성교육의 구체적인 실천방법들도 알아봅니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조망해 본 후 행복한 미래교육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학생, 교사, 학부모, 학교의 역할과 기능들을 알아봅니다. 강의를 비롯하여 퀴즈와 토론 활동이 함께 진행됩니다.
교육의 현상황과 미래 사회에 예견되는 교육의 변화에 대해 본인만의 창의성을 발휘하여 예측하고 탐구하는 즐거운 시간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 |
송해덕[프로필] 현) 중앙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장 [주요저역서] |

※ 수강 접수 : 2018.11.07(수) ~ 2019.01.13(일)
※ 운영 기간 : 2018.11.12(월) ~ 2019.01.13(일)
※ 강의 개설 : 순차적 개설을 하며, 해당 주차일에 강의가 열립니다.
주차 | 강좌 | 내용 |
---|---|---|
1주차 | 미래사회와 미래교육 환경의 변화 |
1) 미래사회의 변화요인 2) 미래 교육환경의 변화조망 |
2주차 | 알파고 쇼크 이후 : 한국교육 문제를 말한다 |
1) 한국의 교육, 잘 해왔다. 2) 한국교육의 위기? 3) 우리교육에 주어진 과제 |
3주차 | 미래교육을 위한 글로벌 트렌드분석 |
1) 글로벌 교육 정책 분석 2) 교수-학습 환경의 변화 |
4주차 | 미래교육을 위한 시도 : 대학, 평생교육 |
1) 미래의 대학은? 2) 캠퍼스없는 대학, 생각해보기 3) 개별화 맞춤형 교육 |
5주차 | 4차 산업혁명과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
1) 지능정보 사회의 도래 2) 교육패러다임의 변화 |
6주차 | 미래직업과 교육 |
1) 미래 직업시장의 변화 2)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역량기반 교육 |
7주차 | 미래학습자를 위한 창의·인성 교육 |
1) 창의·인성 교육의 필요성 2) 디자인 씽킹 : 창의성을 위한 교육 3) 왜 인성인가? |
8주차 | 행복한 미래교육 생태계 |
1) 교육생태계의 변화 2) 역량향상을 위한 학습 생태계 사례 3) 행복한 미래교육 생태계를 위하여 |

총점 | 퀴즈 | 토론 |
---|---|---|
100점 | 50점 | 50점 |
*이수 기준: 총점 60점 이상


김랑
중앙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과정
rang.diana@gmail.com

신아름
중앙대학교 교육학과 석사과정
areumshinn@cau.ac.kr